차이로곰파
Chhairo gompa타시 샤가흐 조첸 초요호르 링(차이로, 체록 수도원) | |
---|---|
네팔 로어 무스탕 차이로의 라캉과 파드마삼바바 신궁방인 차이로 곰파 뜰 | |
종교 | |
소속 | 티베트 불교 |
종파 | 닌잉마 |
신 | 파드마삼바바 |
리더십 | 샤시 도지 툴라찬 |
위치 | |
위치 | 네팔 |
나라 | 네팔 |
지리 좌표 | 28°44′17.7″N 83°40′58.1″E / 28.738250°N 83.682806°E좌표: 28°44′17.7″N 83°40′58.1″E / 28.738250°N 83.682806°E |
건축 | |
창시자 | 차왕 씽렌 |
설정된 날짜 | 16세기 |
차이로 수도원(Wylie: tshe rogs dgon pa, THL Tsérok Sonvital)은 상부 무스탕에 세워진 티베트 불교 닌그마 학교의 첫 수도원이었다. 16세기에 설립되었으며, 현재의 네팔 무스탕 지구의 일부다.
이 마을과 곰파는 역사적인 소금 교역로에 위치하고 있으며, 중국이 친티베탄 운동가들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해 1960년대 네팔과의 국경을 폐쇄했을 때, 그리고 최근 다시 2008년 하계 올림픽 기간 동안 보안 문제로 인해 차이로 수도원과 차이로 마을의 인구가 감소하였다.[1][2]
마지막 남은 승려들은 1970년대에[3] 수도원을 떠났고 1981년까지 4명의 수녀들만이 수도원을 돌보고 있었다.[4] 1981년대와 1990년대 사이의 어느 시기에 채이로 곰파의 경영은 전적으로 차이로 마을에 맡겨졌다.
2000년대 중반부터 주요 곰파 단지를 재건축하려는 노력이 이루어졌다. 이 일은 수도원, 사당 방, 파드마삼바바 방, 그리고 이것들 주위에 사분면을 이루는 주요 방들로 제한된다. 수도사, 방문객, 순례자, 그리고 그들의 말을 위한 더 큰 수도원 단지는 동쪽에 폐허로 남아 있다.
이름 및 위치
Tashi Shagagh Jyochen Chhoyokhor Monastery, known locally as Chhairo Monastery, Chandanbari Monastery and historically as Tsérok Monastery,[5] is situated in Mustang District, Marpha Village development committee (VDC), Ward No. 9, Chhairo village, in the Western Development Region, Nepal at 2,680 metres (8,790 ft). 포카라에서 다울라기리 구역의 안나푸르나 트레킹 루트의 마르파 마을에서 남쪽으로 약 20분, 마르파 남쪽 큰길에서 작은 도보 다리로 도달한 칼리 간다키 강 왼쪽 둑에서 남쪽으로 약 1.5시간, 투쿠체 마을에서 북쪽으로 도보 약 1.5시간, 치망까지 표지판이 붙어 있다.[6]
타칼리 지역에 대한 무역의 영향
탁홀라 지역에서 유래한 민족언어주의 단체인 타칼리의 지역이다. 차이로 곰파는 티베트에서 네팔 남부까지 이어지는 역사적 염류 교역로에 위치해 있다.[7]
린암도 부근의 네충에 세관이 설치되었고, 이후 점솜, 무스탕, 차이로, 투쿠체 등에 세관이 설치되어 소금 거래를 담당하였다. 교역로는 1800년대 후반의 풍부한 정치, 사회, 종교, 문화 활동에 기여했다. 소금, 곡물, 가축 거래는 지역 탁구 사회의 경제적, 생활 수준을 향상시켜, 당시 주민들과 상인들 모두에게 봉사했던 곰파를 확립할 수 있는 좋은 환경을 제공했다.
창간
차이로 마을과 수도원의 이름은 네팔어로 차하라라고 불리는 이 지역의 폭포 이름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된다. 창시자인 차왕 씽렌(스쿠쇼 "The Illustrious"[8]라고 불림)은 기룽 수도원에서 온 탁족 주민이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대안이야기는 그가 라수와 지구의 다카르타스 판드라사야 홀라에서 차이로로 이주한 두 형제의 동생이었다고 말한다.
산가콜링이라고 불리는 파드마삼바 예배당은 본당 방의 북동쪽에 있는 작은 예배당이다. 18세기에 라마 상예가 지은 것으로 추정된다.[9]
영적 증명
수도원은 북부보물(Willie:byang gter) 혈통에 영적 뿌리를 두고 있는데, 티베트의 도르제 드라크, 카톡 수도원, 팔율의 세 닌마 어머니 수도원에서 처음 가르쳤다. 차이로 수도원은 특히 네팔과 탁 지역에서의 닌그마 가르침 확대에 기여하였으며 네팔 최초의 닌그마 수도원이었다.
차왕 씽렌의 제2 화신 재임 기간 동안 수도원은 번창했고, 물리적 인프라의 정도는 여전히 현재의 곰파 땅 밖에서 볼 수 있다. 이 숙소의 발자국은 수도원에서 공부한 라마, 수도사, 수녀들이 닌그마 학교의 성장과 그 지역의 다른 수도원 설립에 기여하는 것을 볼 수 있다.
투옥(툴쿠스)
첫 번째 화신은 셰르찬 가문에 있었으나 더 이상 자세한 내용은 알려지지 않았다.
차이로의 두 번째 라마 환생은 샨타 쿠마르 과찬의 형이었다. 고찬 가족과 현지인들은 그가 태어난 지 5, 6일이 지나자 그를 어루만졌던 햇빛이 무지개로 바뀌어 그를 환생으로 확인했다고 회상한다.
사후 3년 후, 제2의 화신인 40세의 라젠드라 바타찬은 제3의 환생인 투쿠체에서 태어났다.
지금의 화신은 라마가 되지 않는 쪽을 택했다. 따라서 그는 차이로 곰파의 운영권을 샤시 도지 툴라찬에게 위임했다.
몸과 영혼의 곰파 부활
몸
중국 점령에 대한 최초의 티베트 반란에 대응하여, 중국 정부는 네팔을 폐쇄했다.무스탕의 티베트 국경 통과. 상품 수요의 변화와 대체 노선 및 운송 수단의 개방은 역사적 교역 경로에 더욱 영향을 미쳤고, 채이로 곰파는 점점 영향력이 줄어들게 되었다. 시간이 흐르면서 곰파의 지역사회 사용도 감소했는데, 이는 지역 주민들이 대체 노동과 생계 수단을 찾아 이주함에 따른 것이다. 이 지역의 많은 종교 건축물이 그렇듯, 차이로에는 승려가 남아 있지 않았고, 핵심 사당방과 뜰만 유지할 수 있었던 지역 관리인들의 손에 넘겨졌다.
Chhairo 곰파의 그의 Nyngma 종파를 설립하는 데에는 12연간 Lhaphew, 2049년 BS에서 열린 기회에 더 넓은 중요성, Recognising Chhairo에서 대표단(약 1992년 CE)(Vikram Samvat), Tukuche의 gompa를 회복하는데 지원을 요청하는 데 Subba Tek 나르싱 Bhattachan,[10]는 부유한 가정과 긴 시간 고객들을 방문했다.[11]
예전의 영광과 강력한 건축 및 종교유산에 대한 그들의 선조들의 이야기에서 영감을 받아, 그들의 종교지도자인 사시 도지 툴라찬으로부터 자극을 받고 용기를 얻어, 일부 젊은 세대는 곰파 단지를 보수하고 보존하여 공동체를 부흥시키고, 폐단을 부흥시키는 데 관심이 있다.차이로 곰파(Chairo Gompa)와 관련된 다양한 활동을 통해 툭체(Tukche)의 직물을 통합한다.[12]
곰파 구조와 재산의 법적 현황에 대한 정보 수집은 물론, 필요한 작업의 범위를 결정하는 작업을 진행하는 차이로 재건정비위원회가 구성되었다.
2045년 BS (약 1997/98년) 기금을 조성하고 기술 보존 자문을 구하여 건축 회사가 예비 조사에 착수하고 재건축 범위와 추정치를 개발할 수 있도록 하였다.
2004/5년 이후, 재구성은 이전에 CRTP로 알려진 RWI에 의해 지원되었다.[13][14]
영혼
2012년 곰파들은 네팔 중서부 개발 지역의 주문라와 돌파 지역에서 7세에서 11세 사이의 여섯 명의 어린 소년들이 수도사가 되기 위해 훈련할 집이 되었다. 2012년 여름부터 2013년 가을까지 인접한 티베트 진영의 초등학교에서 네팔리, 티베트어, 영어를 배우며 주류 교육을 받았다.
재건축 추진 방향과 규모에 대한 의사결정에 지역사회가 계속 관여하고 있다. 현 라마 샤시 도지 툴라찬은 동생 차크라 툴라찬과 함께 건축가와 봉사단체와의 교류를 주도하고 있다. 차이로 마을 사람들은 석공, 목수, 일꾼, 일꾼, 라캉과 얄포의 관리인, 훈련 중인 6명의 젊은 승려들의 요리사와 관리인으로 고용되어 있다.
2013-2014년 겨울방학에 그들은 뤼펜 소남의 지도 아래, 포카라로 가는 겨울 동안, 차이로 곰파를 섬길 새로운 세대의 승려들을 위해 일하기 위해 좀더 규칙적인 성리학습을 시작했다.
구루 나왕 초호갈 텐진 (샤시 도지 툴라찬)
라마 샤시 도지 툴라찬은 연습용 라마가 아닌 현 화신으로부터 차이로 곰파를 책임지게 된 차이로 곰파의 정신적 지도자다. 곰파의 육체적 재건뿐만 아니라 곰파의 수도 목적을 다시 세우도록 끌려온 중서방 출신의 젊은 승려들의 가르침도 그에겐 책임이 있다.
종교 예술
두 채의 벽화 원본은 수세기 동안 불타고 있는 버터 램프와 향으로 인한 흙과 연기로 검게 그을려 있고, 또한 물이 스며들어 큰 피해를 입었다. (c) 2013년 어느 예배당 내부를 개조하지 않았다.
주곰파
샤이로 곰파의 창시자인 라마 치왕 틸렌은 sMon과 Gya Bris 스타일로 원래의 프레스코화를 그린 것으로 여겨진다.[15] 그들은 주로 U Birs와 심지어 Bal Bris의 요소들을 가지고 있는 sMon Bris 스타일이다. 라캉의 원래 프레스코화는 1960년 샤시 도지 툴라찬의 아버지 카말 도지 툴라찬에 의해 씻겨져 다시 만들어졌다.)1981년 중앙 제단상은 석가모니[16] (c)1994년 곰파 제단의 중심 인물은 제자들과 아난다, 사리푸트라 등이 나란히 한 점토상이었다. 채이로 곰파의 과거 라마와 은인의 수많은 작은 동상들도 발견된다. 제단 오른쪽 모퉁이에 설립자 치왕 틸렌의 실물 같은 흙 이미지가 앉아 있었다. 지붕 등불의 내부는 슬레이트 조각으로 장식되어 있었다.
파드마삼바 성당
3m의 점토와 대나무 파드마삼바 상이 방을 지배하고 있으며, 카이파 체쿠프가 만든 것으로 추정된다. 가장 최근의 벽화는 무스탕의 유명한 화가이자 샤시 도지 툴라찬의 아버지인 라마 카말 도지 툴라찬 덕분이다. (c) 2013년 볼 수 있는 그림들은 1953년에 완성되어 스몬 브리즈식이다.
건축
채이로 곰파 단지는 석벽이 있는 무스탕 지역의 전통적인 평평한 지붕 구조물을 따르고 있으며, 사원 뜰, 머리 라마 안채, 부엌, 승려들의 안채와 마구간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주요 곰파 뜰 사찰 경내에는 두 개의 종교적인 방이 있는데, 사당 방과 인접한 작은 파드마삼바 예배당이 있는데, 이 방은 다른 세 면에 2층 화랑으로 둘러싸인 슬레이트 포장된 안뜰로 안쪽으로 향하고 있다. 이 곳은 방문객들이 참춤을 볼 수 있는 곳이다. 북쪽 베란다만이 아직 서 있다.
사당방은 남아 있는 구조물 위로 솟아 있으며, 유일하게 자연 광원을 제공하는 작은 중앙 등불로 덮혀 있다.
Padmasambhava 예배당(Sanga Choling)은 북동쪽에 바로 인접해 있으며 작은 등불로 덮이기도 한다. 이것은 라마 상예에 의해 18세기에 건설된 것으로 여겨진다.[19] 이 사당방은 원래 갈포가 무너진 이후 현재 갈포역할을 하고 있다. 현재 이곳에는 수호신상 두 개가 소장되어 있다. 그들은 2013년 완공되면 새 갈포로 이전될 것이다.
마른 석조 벽은 대략 1미터 두께에 지붕 아래 1미터쯤 되는 목재 고리 대들보가 넥타이 역할을 한다. 라캉과 안뜰을 마주보고 있는 신관방의 벽에는 진흙이 도배되어 있고 라캉에는 불그스름한 점토, 예배당에는 백토 등이 있다.
창과 문은 탁구 지역의 공예가들의 영향을 받아 뉴아리 스타일로 되어 있다. 그것들은 간결하게 조각되어 있지만, 많이 칠해져 있다. 라캉에 있는 세 개의 위쪽 창문은 티베트의 표준적인 세부 사항을 반영하여 개구부에 보풀을 만들고 검은색으로 칠했다. 라캉 문에는 손잡이가 양각되어 있으며 티베트 문자로 장식되어 있다. 라캉의 내문걸이에 고정된 한 쌍의 조각상은 드바라팔라 또는 신전의 수호신이라고 한다.
라마의 숙소와 부엌 구조물은 라마의 숙소와 곰파의 원래 부엌이 안뜰을 둘러싸고 있다. 안마당의 북동쪽 구석에 있는 부엌 공간은 조리/식사 공간, 창고, 세탁실 등 3개의 방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인접한 헤드 라마 숙소는 같은 층이었으나 경사진 부지를 이용해 지상 마룻바닥 위층으로 지어졌다.
외벽은 대체로 건전하지만 라마의 숙소는 완전히 무너져 있었다. 2012년 젊은 승려들의 수면 공간인 라마를 위한 생활, 욕실, 부엌 숙소와 방문객들을 위한 추가 객실을 제공하는 복원 공사가 완료되었다. 새로운 얄포는 이 구조물의 꼭대기에 위치해 있으며, 현재 © 2013년에 장식되고 있다.
2005년부터 부엌은 안뜰 서쪽에 있는 한 층의 방에 위치했다.
수도사 숙소와 마구간. 수도사 숙소와 마굿간은 라마 숙소의 동쪽에 있으며, 기초 벽은 대체로 온전하지만 대부분 무너졌다. 이 단지는 원래 동서로 이어지는 중앙 척추벽으로 나뉜 두 채의 열린 마당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벽은 공간을 가로 20m, 세로 20m의 두 개의 정사각형 마당으로 나누었다.
북쪽 구간은 높은 지대에 세워진 단층 구조물이다. 북쪽 뜰의 내부 돌과 흙으로 된 산책로는 거주자들이 숙소 밖에 앉을 수 있는 공간을 제공했다. 남쪽 뜰 단지는 하층부에 조성되어 있으며, 일반적으로 2층으로 되어 있어 하층에는 가축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 상층에는 거처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어 있다. 바닥에는 흙으로 재목 장작과 널빤지가 깔려 있었다. 단지 내 이 구간이 가장 노후화돼 있지만 개발 및 확장 가능성에 가장 적합한 구간이다.
복구 계획
• IA 단계 - 사원 화합물의 긴급 보수 및 복구 • IB 단계 – 숙소를 개선 및 업그레이드하면서 헤드 라마 숙소와 주방의 원래 배치와 외관을 최대한 가깝게 재현 • 2단계 – 승려 숙소를 재구축하는 3단계 복구 계획이 있다. 불교 미술 연수원
장기 계획은 안정적인 지역을 거주할 수 있는 공간으로 바꾸어 승려들에게 거처를 제공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북쪽 뜰 주변의 건물들은 지역 경제 활성화를 위해 불교 미술 훈련, 불교 수련회 또는 공예 센터로 사용될 수 있다.
참조
- ^ China's Tibet-border ban threatens to starve Mustang Nepalese, Tibetan Review, retrieved 2 November 2013.
- ^ Famine in Nepal after China closes Tibet border, Thaindian News, retrieved 2 November 2013.
- ^ RWI website, RWI,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3 November 2013, retrieved 2 November 2013.
- ^ Jest. C (1981), Monuments of Northern Nepal, UNESCO.
- ^ Jest. C (1981), Monuments of Northern Nepal, UNESCO.
- ^ Trekking in the Nepal Himalaya, Lonely Planet, 2009.
- ^ "Restoring a Buddhist Monastery on the Trans-Himalaya Salt Route", Past Horizons, RWS/ Adventures in Preservation, retrieved 13 March 2013.
- ^ 칼리 간다키를 따라 있는 타칼리스, 본드카, 라마 수도원: 서부 네팔의 고대 소금길, RK 라이(1994) 책 믿음 인도
- ^ Jest. C (1981), Monuments of Northern Nepal, UNESCO.
- ^ Annapurna: A Trekker's Guide, Cicerone, 2013, ISBN 9781852846992.
- ^ Preserving the Past, LJ World, retrieved 13 March 2013.
- ^ Chhairo Gompa, John Sanday Associates, retrieved 13 March 2013[permanent dead link].
- ^ CTRP at Chhairo Gompa project, retrieved 3 November 2013.
- ^ The Chhairo Gompa project, Mick Minard,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6 June 2013, retrieved 13 March 2013.
- ^ Rai, RK (1994). The Thakalis, Bon dKar and Lamaist Monasteries Along the Kali Gandaki: The Ancient Salt Route in Western Nepal. Book Faith India. ISBN 8173030219.
- ^ Jest. C (1981), Monuments of Northern Nepal, UNESCO.
- ^ Restoring a Buddhist Monastery on the Trans-Himalaya Salt Route, Past Horizons, retrieved 13 March 2013.
- ^ Monk on a mission, Canada Tibet Committee 2004, retrieved 13 March 2013.
- ^ Jest. C (1981), Monuments of Northern Nepal, UNESCO.
- ^ Restoring a Buddhist Monastery on the Trans-Himalaya Salt Route, Past Horizons, retrieved 13 March 2013.
- ^ Monk on a mission, Canada Tibet Committee 2004, retrieved 13 March 2013.
- ^ "To volunteer at Chhairo Gompa".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3-06-26.
![]() | 위키미디어 커먼즈에는 차이로 곰파와 관련된 미디어가 있다. |
외부 링크
- ChhairoGompa.org 공식 웹사이트 [1]
- 무스탕 구 자치구 UN지도
- 네팔 히말라야의 트레킹(2009) 메이휴, 바인드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