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구아테라 어류 중독

Ciguatera fish poisoning
시구아테라 어류 중독
기타 이름시구아테라, 시구아테라
Ciguatoxin.svg
시가와톡신의 화학구조
전문독성학 Edit this on Wikidata
증상설사, 구토, 무감각, 가려움, 덥고 추위에 대한 민감성, 현기증, 약함[1][2]
평상시 시작30분에서 2일[3]
기간몇 주 내지 몇[3]
원인들특정 암초 어류[2]시구아톡신마이토톡신
위험요소Barracuda, 그루퍼, 모레이 뱀장어, 호박, 농어, 철갑상어.[2]
진단법증상과 최근 생선을[1] 먹는 것을 기준으로 한다.
차등진단마비성 조개중독, 신경독성 조개중독, 스컴브로이드 식중독, 복어중독[1]
치료만니톨, 가바펜틴, 아미트리피라인[1][2]
예후사망위험도 < 0.1%[2]
빈도[2] 5만 원

단순히 시가테라라고도 불리는 씨구아테라 어류중독(CFP)은 특정 독소에 살점이 오염된 암초 어류를 섭취해 발생하는 식품매개성 질환이다.[2] 이런 개개의 물고기는 시가의 독성이 있다고 한다. 증상으로는 설사, 구토, 무감각, 가려움, 덥고 추위에 대한 민감성, 현기증, 허약 등이 있을 수 있다.[1][2] 증상의 시작은 30분에서 최대 이틀까지 섭취하는 독소의 양에 따라 다르다.[3] 설사는 4일까지 지속될 수 있다.[1] 어떤 증상들은 전형적으로 몇 주에서 몇 달 동안 남아있다.[3] 느린 심박수저혈압과 같은 심장 질환도 발생할 수 있다.[2]

관련된 특정한 독소는 시가와톡신마이토톡신이다.[2] 그것들은 원래 열대아열대 해역의 산호초와 그 주변에서 자라는 작은 해양 생물인 감비에르디스커스 독성균에 의해 만들어졌다.[2] 이것들은 초식성 물고기에 의해 먹히고, 차례로 더 큰 육식성 물고기가 먹는다.[2] 독소들은 먹이 사슬 위로 이동하면서 더욱 집중된다.[3] 가장 자주 관련된 물고기는 barracuda, groupper, moray 장어, 호박, 바다 베이스, 철갑상어 등이다.[2] 진단은 최근 생선을 먹은 사람의 증상과 함께 사람의 증상에 근거한다.[1] 만약 같은 생선을 먹는 많은 사람들이 증상이 나타나면, 그 진단은 더 가능성이 높아진다.[1] 만약 그들이 이전에 먹었던 물고기의 일부가 있다면, 이것은 또한 진단을 확인하기 위해 테스트될 수 있다.[1]

예방 노력으로는 암초 생선을 먹지 않는 것, Barracuda와 같은 고위험 생선을 먹지 않는 것, 생선 간이나 노루, 생선 대가리를 먹지 않는 것 등이 있다.[2] 시구아톡신은 맛도 냄새도 없고, 재래식 요리에 의해 파괴될 수도 없다.[2] 일단 시가에테라 어중독이 발생하면 특별한 치료법은 없다.[2] 만니톨을 고려할 수도 있지만, 만니톨의 사용을 뒷받침하는 증거는 그리 강하지 않다.[1] 일부 증상을 치료하기 위해 가바펜틴이나 아미트라인이 사용될 수 있다.[2]

질병관리본부는 매년 세계적으로 약 5만 건의 환자가 발생하는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2] 다른 추정치는 연간 최대 50만 건을 제시한다.[1] 해산물 중독이 가장 빈번하다.[3] 그것은 35°N에서 35°S 사이의 태평양, 인도양, 카리브해에서 가장 흔하게 발생한다.[2] 산호초 악화와 해산물 교역 증가로 이 질환의 위험성이 높아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2] 중독으로 인한 사망 위험은 1,000분의 1 미만이다.[2] 조건 날짜에 대한 설명은 최소 1511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3] 1787년에 소개된 현재의 이름은 쿠바의 스페인어 기원이며, 원래 단발성 연체동물 치타리움 피카(Cittitarium pica.[3]

징후 및 증상

인간에게 있어서 시가테라의 특징적인 증상은 위장, 심혈관, 신경학적 효과를 포함한다.[4][5] 위장 증상으로는 메스꺼움, 구토, 설사 등이 있는데, 보통 두통, 근육통, 안감각, 사지 마비, 입과 입술의 저림, 뜨겁고 차가운 감각의 반전,[6][7] 아탁시아, 현기증, 환각 등의 신경증상이 뒤따른다.[8][5] 심한 시가에 걸리면 감기 알로디니아도 생길 수 있는데, 이는 추위와 접촉할 때 타는 듯한 느낌이다.[4] 신경학적 증상은 지속될 수 있고 시가테라 중독은 때때로 다발성 경화증으로 오진되기도 한다.[9] 심혈관 증상으로는 서맥증, 빈맥증, 저혈압, 고혈압, 직교성 빈맥증, 운동불내증, 리듬장애 등이 있다.[10] 그 상태로 인한 죽음은 일어날 수 있지만 매우 드물다.[11]

디즈파레우니아와 다른 시가에테라 증상은 시가에테라 중독을 앓고 있는 파트너와의 성교 후 건강한 남성과 여성에게서 발생했으며, 이는 독소가 성적으로 전염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12] 독이 든 산모의 젖먹이 유아에게서 설사와 얼굴 발진이 보고되어 시가에테라 독소가 모유로 옮겨가는 것으로 나타났다.[13]

이 증상은 몇 주부터 몇 년까지 지속될 수 있으며, 극단적인 경우 20년 이상 지속되어 종종 장기적 장애로 이어질 수 있다.[14] 대부분의 사람들은 시간이 지나면서 서서히 회복된다.[15]

원인

감비에르디스커스 독성물질은 시가와톡신, 마이토톡신, 감비에르산, 스카리톡신 등 다수의 유사한 폴리테더 독소와 긴 사슬 알코올 팔리톡신의 생산을 담당하는 1차 다이노플라겔산염이다.[16][17] 시가를 유발할 수 있는 다른 디노플라겔라테스에는 프로로센트럼 spp, 오스트레옵시스 spp, 쿨리아 모노티스, 테카디늄 spp, 암피디늄 카테아 등이 있다.[18]

진단

진단은 최근 생선을 먹은 사람의 증상과 함께 사람의 증상에 근거한다.[1] 같은 생선을 먹는 다수의 사람이 증상을 보이면 진단 확률이 높아진다.[1] 만약 그들이 이전에 먹었던 물고기의 일부가 있다면, 이것은 또한 진단을 확인하기 위해 테스트될 수 있다.[1] 마비성 조개중독(PSP), 신경독성 조개중독(NSP), 스컴브로톡신 어류중독, 복어중독 등 다른 잠재적 원인도 배제해야 한다.[1]

뜨거운 감각과 차가운 감각의 반전은 때때로 CFP의 증상으로서 장내 '플루'[19]와 구별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치료

시가에테라 중독에 대한 효과적인 치료법이나 해독제는 알려져 있지 않다. 치료의 주역은 보조적인 보살핌이다. 니페디핀이나 베라파밀같은 칼슘 채널 차단제가 흉부를 통한 혈액순환이 원활하지 못하거나 통증을 느끼는 등 초기 질환이 지나간 후에도 남아 있는 일부 증상들을 치료하는 데 효과적이라는 증거가 있다. 이러한 증상은 마이토톡신에 의한 혈관 수축 때문이다.[5][20][21][22] 시구아톡신은 신경계시냅스에서 전압에 의한 나트륨 채널을 여는 임계값을 낮춘다. 나트륨 채널을 열면 탈극화가 일어나며, 이는 순차적으로 마비, 심장수축, 고온과 저온의 감각 변화를 일으킬 수 있다. 비록 모든 경우에 이익이 발생하는 것은 아니지만, 아미트리프라인과 같은 어떤 약들은 피로마취와 같은 몇몇 증상들을 감소시킬 수 있다.[23][24]

만니톨

만니톨은 한 연구에서 증상 반전이 보고된 후 중독에 사용되기도 했다.[5][25] 동물에[26] 대한 후속 연구와 인간에[27] 대한 사례 보고서도 만니톨의 장점을 발견하였다. 그러나 무작위적이고 이중 맹목적인 임상실험에서 만니톨과 일반 식염수의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다.[28] 이것에도 불구하고 그것의 용도는 여전히 고려될 수 있다.[1]

역학

현재 연간 추정 세계 발병률은 2만~5만 명이지만, 많은 수가 미신고로 인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29]

시가테라는 시가와톡신을 생성하는 미생물의 제한된 서식지 때문에 아열대열대 해역, 특히 태평양과 카리브해에서만 흔히 볼 수 있으며, 주로 열대 암초 해역에서 잡은 물고기와 관련이 있다.[4] 관광뿐만 아니라 암초 어류의 수출도 다른 지역에서 발전하는 경우를 종종 차지한다.[29]

씨구아톡신은 400종이 넘는 암초 어류에서 발견된다. 모든 암초 생선의 소비를 피하는 것이 노출을 피하는 유일한 확실한 방법이다.[30] 식당에서 파는 수입 생선은 열대성 독소의 증상에 익숙하지 않은 의사들에 의해 설명되지 않는 독소를 함유하고 질병을 일으킬 수 있다.[30][31] 씨구아톡신은 또한 농장에서 기른 연어에서도 발생할 수 있다.[32] 게다가, 식당과 소매점에서 암초 생선을 생선 이외의 생선으로 표시하는 대체 종은 시가에테라를 피하려는 소비자들의 노력을 복잡하게 만들 수 있다.

20세기와 21세기

  • 1994년 노벨상 수상자인 소설가 사울 벨로우는 세인트루이스에서 휴가 중 붉은 도미를 먹고 시구아테라로 죽을 뻔했다. 마틴은 그의 마지막 소설인 Ravelstein에서 소설화되었다.[33]
  • 2007년, 성에서 10명. 미주리 루이스는 수입 생선을 먹고 이 병에 걸렸다.[34]
  • 2008년 2월 미국 식품의약국(FDA)은 텍사스-루이지아나 해안선 근처의 멕시코만 북부 플라워 가든 뱅크스 국립 해양 보호구역에서 여러 발병을 추적했다. FDA는 시가에테라 중독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해산물 가공업체에 대해 보호구역에서 80km 떨어진 곳에서 잡은 여러 종의 물고기를 먹었을 가능성이 높다고 권고했다.[35]
  • 2010년 8월부터 2011년 7월까지 뉴욕시에서 8건의 시구아테라 어류 중독이 발생했다. 발병은 뉴욕 퀸즈의 한 어시장에서 구매한 barracuda와 groupper와 관련이 있었다.[36]
  • 2012년 1분기 카나리아 제도 란자로테의 2개 식당이 시가테라 중독의 원인이었던 것으로 추정되면서 2012년 4월 18일 새로운 어업 규정이 발령됐다. 첫 발병 건은 2012년 2월에 보고되었다. 식사하는 사람들은 호박고기를 먹은 지 몇 시간 후에 구토, 설사, 복통으로 고통을 받았다. 두 번째 사건은 4월 초 란자로테에 살고 있고 모두 지역 식당에서 호박으로 만든 음식을 먹은 6명의 사람들에게 영향을 끼친 사건이다.[37]
  • 2014년 3월 호주 뉴사우스웨일스주 맥스빌 인근에서는 레크리에이션 어부가 스콧의 머리(NSW)에서 55파운드짜리 스페인산 고등어(스컴버러스 통조림)를 잡은 뒤 친구들과 가족들에게 나눠주면서 9명이 입원했다.[38]
  • 2015년 4월 캐나다 뉴브런즈윅 주 세인트존에서 공해에서 얻은 열대어를 먹은 뒤 포타시선 선원 14명이 입원했다.[39] 이 사건 이후, 해양 케이터링 서비스는 영국 식품법이 선원들이 그들의 배에서 음식을 얻기 위해 낚시를 하는 것을 불법으로 규정하고 있다는 것을 선주들에게 상기시켜주었다.[40]
  • 2016년 9월, 한 영국 휴가객이 멕시코에서 밀월 중 시가에테라 중독을 일으키는 해조류에 오염된 생선을 먹고 사망했다.[11]
  • 2016년 10월 인도 망갈로르의 한 수출업체가 공급한 생선 머리를 먹고 100여 명이 시가테라 중독에 걸렸다.[41]

역사

시구아테라는 외과의사의 동료 중 한 명인 윌리엄 앤더슨에 의해 1774년 HMS Resolution의 승무원에 의해 처음 묘사되었다.[42]

연구원들은 따뜻한 기후 조건에 의해 발생된 시가테라가 부분적으로 서기 1000년에서 1400년 사이에 폴리네시아인들의 철새 항해를 촉진시켰다고 제안한다.[43][44]

민화

시가테라가 흔한 호주 북부에서는 두 가지 다른 민속학 방법이 물고기에 시가와톡신이 유의한지 여부를 탐지하는 것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첫 번째 방법은 파리가 오염된 물고기에 착륙하지 않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 두 번째는 고양이가 먹는 것을 거부하거나 오염된 생선을 먹은 후 구토/표시 증상을 보인다는 것이다. 세 번째, 덜 일반적인 시험 방법은 용의 물고기 비늘 아래에 은화를 넣는 것이다. 만약 동전이 검게 변하면, 그 이론에 따르면, 그것은 오염된다.

그랜드 케이맨과 다른 섬에서는 현지인들이 물고기 한 조각을 땅바닥에 놓고 개미들이 그 위를 기어 다닐 수 있게 함으로써 barracuda를 시험할 것이다. 만약 개미들이 살을 피하지 않고 그것을 먹을 것이라면, 물고기는 안전한 것으로 간주된다.[citation needed]

도미니카 공화국에서는 이름이 R자(5~8월)를 포함하지 않는 수개월 동안 특정 종류의 생선은 시가테라 독소에 감염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먹지 않는 것이 일반적인 생각이다.

이러한 시험들 중 많은 것의 타당성은 과학적으로 거부되었다.[45]

민간요법

문어 관목이라고도 알려진 헬리오트로피움 푸에르테리아누스(Boraginum)의 잎은 많은 태평양 섬에서 시가테라 어중독을 치료하는 전통 약으로 사용된다. 노년기 문어 덤불 잎에는 항바이러스, 항균, 항산화, 항염증 성질로 알려진 로즈마린산과 파생물이 함유되어 있다.[46] 로즈마린산은 항염증일 뿐만 아니라 그들의 행동 장소에서 시가아톡신을 제거할 수도 있다.

바누아투의 말라쿨라 섬에 사는 언어학 연구원의 시가테라 중독에 대한 설명은 "우리는 지역 사람들이 우리에게 말한 대로 해야만 했다: 소금과 해산물을 피해야 했다. 단 음식을 먹어라. 그리고 그들은 우리에게 나무 줄기에 자라는 양치류의 뿌리로 만든 차를 주었다. 그 중 어떤 것도 도움이 되었는지는 모르겠지만, 몇 주 후에 그 증상은 희미해졌다."[47]

다양한 카리브해 민속과 의례적인 치료는 쿠바와 인근 섬에서 시작되었다. 가장 흔한 구식 요법은 구아나바나 주스 관장 이후 잠자리를 쉬는 것이다.[citation needed] 푸에르토리코에서 원주민들은 독성 증상을 씻어내기 위해 비타민 B가 풍부하다고 알려진 맹그로브 버튼으로 만든 를 마신다.[citation needed] 이러한 치료법에 대한 연구비가 지원된 적이 없다. 그 밖의 민간요법으로는 산테리아 제사 때 직접 위장관을 포팅하고 피를 흘리는 것에서부터 비둘기로 병든 사람들을 '세척'하는 것까지 다양하다.[citation needed]

참고 항목

각주

  1. ^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Friedman, MA; Fernandez, M; Backer, LC; Dickey, RW; Bernstein, J; Schrank, K; Kibler, S; Stephan, W; Gribble, MO; Bienfang, P; Bowen, RE; Degrasse, S; Flores Quintana, HA; Loeffler, CR; Weisman, R; Blythe, D; Berdalet, E; Ayyar, R; Clarkson-Townsend, D; Swajian, K; Benner, R; Brewer, T; Fleming, LE (14 March 2017). "An Updated Review of Ciguatera Fish Poisoning: Clinical, Epidemiological, Environmental, and Public Health Management". Marine Drugs. 15 (3): 72. doi:10.3390/md15030072. PMC 5367029. PMID 28335428.
  2. ^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Food Poisoning from Marine Toxins - Chapter 2 - 2018 Yellow Book". CDC. 2017. Retrieved 1 June 2018.Public Domain 글은 공개 도메인에 있는 이 출처의 텍스트를 통합한다..
  3. ^ a b c d e f g h "Ciguatera Fish Poisoning (CFP)". Marine biotoxins.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2004. p. Chapter 7. ISBN 978-92-5-105129-0.
  4. ^ a b c Isbister G, Kiernan M (2005). "Neurotoxic marine poisoning". The Lancet Neurology. 4 (4): 219–28. doi:10.1016/S1474-4422(05)70041-7. PMID 15778101. S2CID 34159698.
  5. ^ a b c d Clark RF, Williams SR, Nordt SP, Manoguerra AS (1999). "A review of selected seafood poisonings". Undersea Hyperb Med. 26 (3): 175–84. PMID 10485519.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1-08-11. Retrieved 2008-08-12.
  6. ^ Patel, Ryan; Brice, Nicola L.; Lewis, Richard J.; Dickenson, Anthony H. (December 2015). "Ionic mechanisms of spinal neuronal cold hypersensitivity in ciguatera". The European Journal of Neuroscience. 42 (11): 3004–3011. doi:10.1111/ejn.13098. ISSN 0953-816X. PMC 4744673. PMID 26454262.
  7. ^ Vetter, Irina; Touska, Filip; Hess, Andreas; Hinsbey, Rachel; Sattler, Simon; Lampert, Angelika; Sergejeva, Marina; Sharov, Anastasia; Collins, Lindon S (2012-10-03). "Ciguatoxins activate specific cold pain pathways to elicit burning pain from cooling". The EMBO Journal. 31 (19): 3795–3808. doi:10.1038/emboj.2012.207. ISSN 0261-4189. PMC 3463840. PMID 22850668.
  8. ^ Swift A, Swift T (1993). "Ciguatera". J. Toxicol. Clin. Toxicol. 31 (1): 1–29. doi:10.3109/15563659309000371. PMID 8433404.
  9. ^ Ting J, Brown A (2001). "Ciguatera poisoning: a global issue with common management problems" (PDF). Eur. J. Emerg. Med. 8 (4): 295–300. doi:10.1097/00063110-200112000-00009. PMID 11785597. S2CID 17935300.
  10. ^ Hokama, Y. (1988-01-01). "Ciguatera fish poisoning". Journal of Clinical Laboratory Analysis. 2 (1): 44–50. doi:10.1002/jcla.1860020110. ISSN 1098-2825. S2CID 72302620.
  11. ^ a b "Newlywed bride dies 10 days after wedding from heart attack believed to have been caused by 'contaminated fish'". The Daily Telegraph. Telegraph Media Group. 13 October 2016.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22-01-12. Retrieved 14 October 2016.
  12. ^ Lange W, Lipkin K, Yang G (1989). "Can ciguatera be a sexually transmitted disease?". J. Toxicol. Clin. Toxicol. 27 (3): 193–7. doi:10.3109/15563658909038583. PMID 2810444.
  13. ^ Blythe D, de Sylva D (1990). "Mother's milk turns toxic following fish feast". JAMA. 264 (16): 2074. doi:10.1001/jama.264.16.2074b. PMID 2214071.
  14. ^ Gillespie N, Lewis R, Pearn J, Bourke A, Holmes M, Bourke J, Shields W (1986). "Ciguatera in Australia. Occurrence, clinical features, pathophysiology and management". Med. J. Aust. 145 (11–12): 584–90. doi:10.5694/j.1326-5377.1986.tb139504.x. PMID 2432386.
  15. ^ Pearn J (2001). "Neurology of ciguatera". J. Neurol. Neurosurg. Psychiatry. 70 (1): 4–8. doi:10.1136/jnnp.70.1.4. PMC 1763481. PMID 11118239.
  16. ^ 파우스트, MA, 굴리지 RA. 유해 해양 다이노플라겔레이트 식별. 스미스소니언 협회, 미국 국립 헤르바륨의 기부금. 42:1-144. 2002.
  17. ^ 녹조 유해 국립청, 시구아테라 어류 중독 우즈홀 해양학 연구소
  18. ^ 유해한 녹조류 국립 사무소, 씨구아테라 어류 중독: 원인 유기체: 우즈홀 해양학 연구소
  19. ^ Lehane, Leigh; Lewis, Richard J (November 2000). "Ciguatera: recent advances but the risk remains". International Journal of Food Microbiology. 61 (2–3): 91–125. doi:10.1016/S0168-1605(00)00382-2. PMID 11078162.
  20. ^ Attaway D, Zaborsky O (1993). Marine Biotechnology. p. 8.
  21. ^ Fleming L. "Ciguatera Fish Poisoning". Woods Hole Oceanographic Institution.
  22. ^ Schlossberg D (1999). Infections of leisure. p. 13. ISBN 978-3-540-94069-2.
  23. ^ Davis R, Villar L (1986). "Symptomatic improvement with amitriptyline in ciguatera fish poisoning". N. Engl. J. Med. 315 (1): 65. doi:10.1056/NEJM198607033150115. PMID 3713788.
  24. ^ Hampton M, Hampton A (1989). "Ciguatera fish poisoning". J. Am. Acad. Dermatol. 20 (3): 510–1. doi:10.1016/S0190-9622(89)80094-5. PMID 2918120.
  25. ^ Palafox N, Jain L, Pinano A, Gulick T, Williams R, Schatz I (1988). "Successful treatment of ciguatera fish poisoning with intravenous mannitol". JAMA. 259 (18): 2740–2. doi:10.1001/jama.259.18.2740. PMID 3128666.
  26. ^ Mattei C, Molgó J, Marquais M, Vernoux J, Benoit E (1999). "Hyperosmolar D-mannitol reverses the increased membrane excitability and the nodal swelling caused by Caribbean ciguatoxin-1 in single frog myelinated axons". Brain Res. 847 (1): 50–8. doi:10.1016/S0006-8993(99)02032-6. PMID 10564735. S2CID 11662638.
  27. ^ Williamson J (1990). "Ciguatera and mannitol: a successful treatment". Med. J. Aust. 153 (5): 306–7. doi:10.5694/j.1326-5377.1990.tb136931.x. PMID 2118229. S2CID 204082685.
  28. ^ Schnorf H, Taurarii M, Cundy T (2002). "Ciguatera fish poisoning: a double-blind randomized trial of mannitol therapy". Neurology. 58 (6): 873–80. doi:10.1212/WNL.58.6.873. PMID 11914401. S2CID 1428110.
  29. ^ a b Marcus, Erin N., Ciguatera fish poisoning, retrieved 6 April 2015
  30. ^ a b Schep LJ, Slaughter RJ, Temple WA, Beasley DM (2010). "Ciguatera poisoning: an increasing occurrence in New Zealand". N. Z. Med. J. 123 (1308): 100–102. PMID 20173810.
  31. ^ Geller R, Olson K, Senécal P (1991). "Ciguatera fish poisoning in San Francisco, California, caused by imported barracuda". West. J. Med. 155 (6): 639–642. PMC 1003121. PMID 1812639.
  32. ^ DiNubile M, Hokama Y (1995). "The ciguatera poisoning syndrome from farm-raised salmon". Annals of Internal Medicine. 122 (2): 113–114. doi:10.7326/0003-4819-122-2-199501150-00006. PMID 7992985. S2CID 6474969.
  33. ^ 리더, 자커리, 사울 벨로우의 삶: 사랑과 투쟁 1965-2005 페이지 528.
  34. ^ "Bizarre fish poisoning sparks alarm". NBC News. 2019-05-01. Retrieved 2019-05-07.
  35. ^ "FDA Advises Seafood Processors About Ciguatera Fish Poisoning in the Northern Gulf of Mexico Near the Flower Garden Banks National Marine Sanctuary" (Press release). 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2008-02-05. Retrieved 2008-02-07.
  36. ^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CDC) (2013). "Ciguatera fish poisoning - New York City, 2010-2011". MMWR. Morbidity and Mortality Weekly Report. 62 (4): 61–5. PMC 4604878. PMID 23364271.
  37. ^ Cliffe-Jones, Mike Jules (April 17, 2012). "Isolated Cases of Ciguatera Poisoning in Lanzarote". Information Lanzarote. Information Lanzarot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5 March 2016. Retrieved 31 October 2015.
  38. ^ "Ciguatera poisoning from Spanish Mackerel caught off Scotts Head". ABC News. 2014-03-04. Retrieved 2017-10-16.
  39. ^ "Balsa 85 ID'd as ship in Saint John whose crew was hit by food poisoning". CBC New Brunswick. CBC. CBC. 13 April 2015. Retrieved 31 October 2015.
  40. ^ "Seafarers told no fishing!". The Sea. No. 236. Mission to Seafarers Limited. Jul–Aug 2015.
  41. ^ "Love your fish? Then know about seafood poisoning too". Times of India. 4 October 2016. Retrieved 14 October 2016.
  42. ^ 샌더스, 리사(4월 5일 2010년)."물고기 이야기".뉴욕 타임즈도요.2010-04-10 Retrieved.그 병은 처음으로 1774년에 HMS결의안에 쿡 선장의 남 태평양 탐험의 선원들이 외과의 조수로 소개되었다.그 승무원, 존 앤더슨, 증상은.(뉴욕 타임즈는 부정확하게 존은 윌리엄 안데르센의 첫 이름을 제공한다.) 큰 물고기는 열대 바다에서 잡힌 먹었던 몇몇 동료 선원들을 설명해 기록했다.
  43. ^ Rongo, Teina; Bush, Mark; Van Woesik, Robert (2009). "Did ciguatera prompt the late Holocene Polynesian voyages of discovery?". Journal of Biogeography. 36 (8): 1423–32. doi:10.1111/j.1365-2699.2009.02139.x.
  44. ^ "Did fish poisoning drive Polynesian colonization of the Pacific?". news.mongabay.com. 7 July 2009. Retrieved 1 June 2018.
  45. ^ Park, D. L. (1994). "Evaluation of methods for assessing ciguatera toxins in fish". Reviews of Environmental Contamination and Toxicology. 136: 1–20. doi:10.1007/978-1-4612-2656-7_1. ISBN 978-1-4612-7623-4. PMID 8029489.
  46. ^ Rossi, Fanny; Jullian, Valérie; Pawlowiez, Ralph; Kumar-Roiné, Shilpa; Haddad, Mohamed; Darius, H. Taiana; Gaertner-Mazouni, Nabila; Chinain, Mireille; Laurent, Dominique (2012). "Protective effect of Heliotropium foertherianum (Boraginaceae) folk remedy and its active compound, rosmarinic acid, against a Pacific ciguatoxin". Journal of Ethnopharmacology. 143 (1): 33–40. doi:10.1016/j.jep.2012.05.045. PMID 22706150.
  47. ^ Dimock, Laura (June 2010). "Rescue mission for fading tongue". New Zealand Education Review.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4-01-04. Retrieved 2014-01-04.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