혼다 시빅 하이브리드
Honda Civic Hybrid혼다 시빅 하이브리드 | |
---|---|
![]() | |
개요 | |
제조사 | 혼다 |
생산 | 2001–2015 |
조립 | |
차체 및 섀시 | |
클래스 | 소형차(C) |
보디 스타일 |
|
배치 | 프론트 엔진, 프론트 휠 구동 |
관련 | 혼다 시빅 |
연대기 | |
후계자 | 3세대 혼다 인사이트 |
혼다 시빅 하이브리드는 혼다 시빅이 하이브리드 전기 파워트레인을 탑재한 변형 모델이다. 혼다는 2001년 12월 일본에 시빅 하이브리드를 도입했다가 2015년 단종했다. 미국 캘리포니아주 항공자원위원회(CARB)로부터 첨단기술 부분 제로 배출 차량(AT-PSEV) 인증을 받은 최초의 하이브리드 자동차였다.
시빅 하이브리드는 혼다 인사이트와 유사한 통합 모터 어시스트 하이브리드 시스템을 사용한다. 시빅 하이브리드는 세단 구성으로만 판매되었다.
1세대(ES9; 2003-2005)
1세대(ES9) | |
---|---|
개요 | |
생산 | 2001–2005 |
연식 | 2003-2005년(미국) |
파워트레인 | |
엔진 | 1.3 L LDA 시리즈 I4 SOHC |
전송 | 5단 수동 CVT자동의 |
하이브리드 드라이브트레인 | 병렬 하이브리드 |
치수 | |
휠베이스 | 103.1인치(2,619 mm) |
길이 | 2003: 174.6인치(4,435 mm) 2004-05: 175.4인치(4,455 mm) |
폭 | 67.5인치(1,714 mm) |
높이 | 2003: 56.7인치(1,105mm) 2004-05: 56.3인치(1,105mm) |
7세대 시빅을 기반으로 한 시빅 하이브리드는 2001년 12월 일본 시장에 처음 선보였다. 혼다는 당시 세계에서 가장 연비가 좋은 5인승 가솔린 생산차라고 주장했다.[1] 2002년 봄 미국에 2003년 모델로 도입되었다. 카바로부터 첨단기술 부분 제로 배출 차량(AT-PSEV) 인증을 받은 최초의 하이브리드 차량이다.[2]
디자인
혼다 시빅 하이브리드의 1세대는 7세대 혼다 시빅을 기반으로 했다. 가솔린-전기 하이브리드 시스템을 탑재한 혼다의 첫 주류 차량으로 인사이트에 이어 두 번째 하이브리드 모델이 됐다. 모델 수동 변속기 도시 46mpg‑으로 평가 받았다.미국/고속 도로 51mpg‑(5.1L/100 km;55mpg‑imp).미국 미국 환경 보호국에 따르면(4.6L/100 km;61mpg‑imp), 가장 연료 효율적인 five-passenger 세단 북미에서톤에서 팔리는 도요타 프리우스와 동일한 마일리지에 대해 연료 마일리지 estimates,[3](EPA)그는 시간을 보낸다.[4]
- 트윈 스파크 플러그는 2밸브 연소실로 보내지는 희박한 연료-공기 혼합물에 불을 밝힌다.
- VTEC 실린더 컷오프 시스템을 갖춘 1.3리터 싱글 오버헤드 캠 i-DSI 희박 연소 내연기관. 감속 중에 3개의 실린더가 비활성화될 수 있도록 한다. 엔진은 5700rpm에서 85hp(63kW), 3300rpm에서 87lb³ft(118 N⋅m)의 토크를 발생시킨다.
- 공회전 정지 - 신호등에서 정지하면 엔진이 자동으로 꺼진 다음 운전자가 브레이크에서 발을 떼면 즉시 재시동하여 연료 효율을 높이고 배기 가스 배출량을 줄이는 데 기여한다.
- 10kW(13 hp) 브러시리스, 영구 자석 보조 모터, 감속 시 배터리 충전(재생 제동) 시 제너레이터 역할을 한다.
- 엔진과 전기 모터의 조합 출력은 모두 93hp(69kW)로 5,700rpm이다. 최대 토크는 수동 변속기 모델의 경우 1,500rpm에서 116lblbft(157 N⋅m), CVT 모델의 경우 3,000rpm에서 105lblbft(142 N⋅m)의 정격이다.
- 1.0Ah 용량의 144 V 니켈금속 하이드라이드 배터리.
- Honda Multimatic S 연속 가변 변속기 또는 5단 수동 변속기.
- 캘리포니아 항공자원위원회(CARB)의 ULEV 또는 AT-PSEV 인증.
- 알루미늄 휠의 저회전 저항 타이어(P185/70R14) 및 회생 제동
- 전동식 파워스티어링.
가솔린 엔진과 변속기 사이에 전기 모터가 끼워져 있어 최대 13마력을 제공한다. 모터는 또한 발전기 역할도 하며, 뒷좌석과 트렁크 사이에 위치한 자동차의 니켈-금속 하이드라이드 배터리를 충전하고 스타터 모터 역할을 한다.
시빅 하이브리드의 모터는 인사이트의 모터보다 약 1/4인치(6.4 mm) 더 두껍다. DC 브러시리스 모터의 자기 코일을 개선하여 크기를 늘리지 않고 이전 모델보다 30% 더 큰 보조 및 회생 토크를 달성한다.
Insight의 모터보다 더 많은 토크(46lbft 대비 36lbft)를 생성한다. 전기는 직렬로 연결된 120개의 1.2볼트 Ni-MH D 셀로 구성된 배터리에 저장된다. 배터리는 Insight의 총 용량(6.0 대 6.5 Ah)보다 감소하지만 더 빠르고 효율적으로 충전 및 방전할 수 있다. 에너지 손실 감소를 통해 배터리 모듈의 효율성이 향상된다. 배터리는 IPU(Intelligent Power Unit)라는 패키지에 전기 컨트롤러와 함께 들어 있다. 새로운 포장은 시스템의 크기를 50% 줄이고 트렁크의 뒷좌석 뒤에 IMA 장비를 배치할 수 있게 해준다. 단위의 무게는 63파운드(29kg)에 불과하며 인사이트보다 3분의 1 정도 작다.
각 실린더에 있는 두 개의 스파크 플러그는 순차적 또는 동시에 발화할 수 있어 린 연소 모드 중 보다 효율적인 연소를 가능하게 하고 보다 자주 린 연소 작동을 가능하게 한다. 이 엔진은 평탄한 도로에서 시간의 60% 이상을 공기와 연료 사이의 희박하게 22:1의 비율로 작동할 수 있다. 엔진의 VTEC 실린더 공회전 시스템은 자동차가 감속할 때 4개의 실린더 중 3개의 밸브를 닫고, 엔진에 손실되는 동력을 50% 감소시키며, IMA가 제동 중에 더 많은 전기 에너지를 추출할 수 있게 해준다. 흡기 및 배기 밸브를 작동하는 로커 암에는 밸브 리프트 모드와 공회전 모드 중 두 가지 모드가 있다. 그것들은 동기화하는 피스톤을 통해 결합된다. 감속 중에 싱크로 피스톤은 리프트 모드 로커 암을 분리하여 밸브가 정지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여 실린더에서 효과적으로 밀폐된다.
공회전 정지 기능은 정지할 때 엔진을 자동으로 차단한 후 운전자가 브레이크에서 발을 떼면 즉시 재시동한다. 이 자동 공회전 정지 시스템은 연료 효율을 높이고 배기 가스 배출을 줄이는 데 기여한다. 정지 및 주행 중 차량이 처음 정지할 때는 엔진이 꺼지지만, 16km/h(10mph)를 넘지 않고 다시 멈추면 15초 이상 정차하지 않으면 엔진이 꺼지지 않는다.[8]
전기 모터의 도움을 받아 3,700rpm 미만의 조합 토크는 비 하이브리드 시빅의 1.7L 엔진에서 이용할 수 있는 것보다 더 크다.
새로운 전면 공기댐과 후면 스포일러를 활용하여 연비가 6% 향상되고 차체 하부 패널이 수정되어 드래그 계수가 0.30에서 0.28로 감소하며, 기생 손실 감소 및 특수 하부 롤링 저항 타이어의 감소로 인해 기존의 파워 스티어링을 전원으로 대체한다. 던롭 타이어는 인사이트나 프리우스와 같은 다른 하이브리드 타이어에 비해 승차감을 향상시키고 도로 소음을 줄여준다. 인사이트와 비교하면 타이어가 넓으면 고속도로 속도에서 안정성이 향상된다. 자동차와 운전자는 이 차가 10.9초 안에 0~97km/h(0–60mph)를 가속할 수 있다고 보고했다.
연비
시빅 하이브리드는 비 하이브리드 차량보다 연료 효율이 40% 더 높을 것으로 추정된다.[9]
수상 및 인정
- 시빅 하이브리드의 엔진은 2002년부터 2004년까지 3년 연속 올해의 국제엔진상 '1리터~1.4리터' 부문과 2003년과 2004년 '최고의 연비' 부문에서 수상했다.[citation needed]
- 2003년 미국 에너지 효율적 경제 위원회(Council for Energy Efficient Economy)가 선정한 10대 그린스트 차량 중 에너지 효율적 경제 부문: 도요타[10] 프리우스와 공동 3위
보조 설계 변경사항
2003년과 2004년 사이에 전면 및 후면 범퍼 커버, 후드, 헤드라이트 등에 영향을 준 약간의 디자인이 새로워졌다. 내부에는 소형 센터 콘솔이 운전석 팔걸이를 교체했고 뒷좌석에는 조절식 헤드레스트를 장착했다.[11]
2세대(FA3/FD3; 2006-2011)
2세대(FA3/FD3) | |
---|---|
개요 | |
생산 | 2005–2011 |
연식 | 2006–2011 |
파워트레인 | |
엔진 | 가솔린: 1.3L LDA 시리즈I4SOHC 전기: 158볼트 15kW |
전송 | CVT 자동 |
하이브리드 드라이브트레인 | 병렬 하이브리드 |
치수 | |
휠베이스 | 106.3인치(2,700 mm) |
길이 | 2006-08: 176.7인치(4,488 mm)(USDM) 2006-08: 4,540mm(178.7인치)(JDM) 2009: 177.3인치(4,503mm) |
폭 | 69.0인치(1,753 mm) |
높이 | 56.3인치(1,105mm) |
연석 중량 | 1,305 kg(2,877 lb)(USDM) 1,260 kg(2,778 lb)(JDM) |
2세대 시빅 하이브리드는 8세대 시빅을 기반으로 한다. 다른 사이빅들과 마찬가지로 북미와 일본 시장 모델들 간의 외관에도 약간의 스타일링 차이가 있다.
디자인
2세대 시빅 하이브리드의 파워트레인은 1세대와 비슷하며, 다음과 같은 주목할 만한 변화가 있다.
- 4세대 통합 모터 지원(IMA)으로 업데이트
- 20hp(15kW)의 더욱 강력한 전기 모터
- 5.5Ah 용량의 158.4V (132 x 1.2V) 니켈-금속 하이드라이드 배터리 및 부피 12% 감소.[12]
- 적당한 속도로 순항할 때 4개의 실린더를 모두 비활성화할 수 있는 3단계의 i-VTEC 및 VCM(Variable Cylinder Management)으로 업데이트됨. 엔진 출력은 6000rpm에서 93hp(69kW), 4500rpm에서 89lb³ft(121 N nm)로 증가한다.
- 엔진과 모터를 합친 출력은 모두 6,000rpm에서 110hp(82kW)이다. 최대 토크는 2,500rpm에서 123파운드힘(167 N nm)의 정격이다.
- 에어컨용 새 하이브리드 컴프레서.
- 연속 가변 변속기는 고속에서 가속도를 개선하고 엔진 rpm을 줄이기 위해 최대 기어비와 최소 기어비 사이의 9% 더 넓은 2.52 - 0.421:1의 기어비를 제공한다.[12]
- 단종된 수동 변속기 옵션.
- 미국의 EPA 연비 추정치는 도시 49 mpg‑US(4.8 L/100 km), 고속도로 51 mpg‑US(4.6 L/100 km)로 증가한다.[13] (2008년: EPA는 연료 마일리지를 추정하는 방법을 개정했으며,[14] 그 결과 2008년 모델에 대한 EPA 등급은 시티 40mpg‑US(5.9 L/100km), 고속도로‑US 45mpg(5.2 L/100km)
- 15인치 경량 공기역학적 알로이 휠로 업데이트됨(캐나다의 Civil DX-G에도 라이터가 탑재됨).
- 50개 주에서 AT-PSEV 인증.
Honda는 고성능 자석과 고밀도 권선을 사용해 전기 모터의 출력을 1세대와 비교할 때 2,000rpm에서 20hp(15kW)로 50% 증가시킬 수 있다. 모터 속도를 제어하는 인버터는 모터 ECU와 통합되어 보다 정밀한 제어를 하여 효율성과 연비가 향상된다. 배터리 출력은 약 30% 증가하여 158.4V이다. 배터리 보관함은 냉각 성능과 진동 내구성 향상을 위해 설계되어 장기적인 신뢰성을 향상시킨다. 전기 모터의 높은 출력은 자동차가 평평한 노면에서 순항할 때 24–32 km/h (15~20 mph)의 속도로 전기만으로 주행할 수 있게 한다.
에어컨에 내장형 전기 모터가 추가돼 엔진, 전기 모터, 또는 둘 다로 구동할 수 있다. 정지 상태에서 배터리로 구동되는 컴프레서는 실내를 시원하게 유지한다. 가솔린 엔진에 의해 구동되는 추가 압축기도 급속 냉각이 필요할 경우 결합된다. 내부 온도가 안정적일 때 에어컨은 배터리로만 공급된다. 브레이크 페달을 밟는 순간 가솔린 엔진이 다시 살아난다.
신형 3단 i-VTEC 밸브트레인은 저rpm, 고rpm, 실린더 공회전 모드를 갖췄다. 고출력 밸브 타이밍은 엔진의 출력을 9% 증가시키는 데 도움이 된다. 감속 중에는 엔진이 공회전 상태로 유지된다. 4개의 실린더 모두 연소가 없고 실린더는 밀폐되어 엔진에 의한 펌핑 손실이 감소한다. 그 결과 제동 중 낭비되는 에너지의 회수가 10% 향상된다.
디지털 디스플레이는 배터리로 얼마나 많은 전기를 보내는지 또는 얼마나 사용하는지를 보여주는 계기 대시보드에 통합되어 있다. 차가 적당히 브레이크를 밟으면 모든 초록색 막대가 밝아져 에너지를 되찾았다. 자동차가 더 세게 브레이크를 밟으면 재래식 브레이크가 작동한다.
이전 세대와 비교할 때, 차가 더 빠르고, 더 정교하고, 고속도로 속도에서 더 조용하며, 차체가 더 딱딱하고, 요철을 더 잘, 그리고 더 조용하게 다루는 수정된 서스펜션이 있다는 것을 차와 운전자는 발견했다.[15]
연비
자동변속기가 장착된 2006년 가솔린 엔진의 유일한 시빅 세단과 비교하면, 시빅 하이브리드는 도시 주행에서 약 63%의 연비 증가와 고속도로 주행에서 약 27%의 연비를 제공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CVT 변속기는 주어진 rpm에서 최고 효율을 달성하도록 설계되었다.[16]
혼다가 시빅 하이브리드의 연비를 허위 광고하고 차주들이 주행거리를 현저히 낮추고 있다는 주장이 2012년 제기된 집단소송에서 나왔다.[17] 로스앤젤레스 타임스는 2012년 5월 혼다를 상대로 가스 마일리지 허위 광고 혐의로 최소 36건의 소액 소송이 제기됐다고 보도했다.[18]
일부 사용자들은 혼다가 전기 모터의 출력을 줄이고 가솔린 엔진에 대한 의존도를 높여 하이브리드 배터리의 수명을 연장하는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설치한 후 시빅 하이브리드의 연비가 감소했다고 보고했다.[19]
배터리 수명
2014년 2월 컨슈머리포트는 2009~2010년 모델에서 배터리 고장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응답자 중 30% 이상이 지난 12개월 이내에 배터리 교체가 필요하다고 보고했으며, 대부분은 보증에 따라 교체되었을 것이라고 밝혔다.[20] Honda는 배터리 수명을 연장하기 위해 소프트웨어 업데이트가 발표되었지만 일부 소유자들은 이러한 업데이트가 연비와 전력 감소로 이어졌다고 보고했다.[18][19] 132 NiMH 세포 팩은 개별 세포의 감시나 충전이 불가능해 불균형을 겪고 있다.[citation needed] 모니터링은 12개의 셀 서브 팩 레벨에서 가능하지만 충전은 가능하지 않다.[citation needed] 몇 년/마일 사용 후, 세포들은 서로 약간 다른 속도로 충전/배출되면서 불균형이 된다.[citation needed] 결국 강한 세포는 팩의 상부 용량을 제한하고 약한 세포는 팩의 낮은 용량을 제한하여 팩의 사용 가능 용량을 감소시키고 있다.[citation needed]
2015년 Honda는 2009~2011년 사이비 하이브리드의 IMA 배터리 보증을 모두 10년/15만 마일로 연장했다.[21]
시장접수
시빅 하이브리드는 미국에서 두 번째로 잘 팔리는 전기 하이브리드카로 꼽힌다.[22]
소유원가
컨슈머리포트는 2006년 4월 하이브리드 차량이 소유기간 5년 이상 스스로 비용을 지불하지 않는다는 기사를 실었다. 다만 하이브리드 차량의 감가상각 계산에는 오류가 있었다. 그것은 하이브리드가 소유권 첫 5년 동안 그들의 주인에게 얼마나 많은 추가 비용이 들 것인지를 과대평가하는 결과를 낳았다.[23] 혼다 시빅 하이브리드의 상환 기간은 5년 미만이었다.[24] 2010년 10월, Vinical은 미국 시장을 위해 복합 소유 비용 분석을 수행했다. 이 분석에서 하이브리드 차량의 5년 소유 비용을 전가스 제품과 비교했다. 분석 결과 2010년 혼다 시빅 하이브리드는 자동변속기가 장착된 2010년 혼다 시빅 EX 2D 쿠페에 비해 1830달러가 더 들었다(보고서는 연간 15,000마일을 주행하고 있으며 연료 가격은 2010년 10월 이전 5개월 동안의 가중 평균에 근거한다고 가정한다).[25]
2010년 8월 오토블로그는 시빅 하이브리드의 교체 배터리가 2100달러(약 2100원)에 소매되었다고 보고했다.[26]
기타시장
시빅 하이브리드는 2007년 8월 말레이시아에 도입됐다.[27] 2007년 11월 중국, 2008년 6월 인도에서 발사됐다.[28]
모터스포츠
혼다 시빅 하이브리드는 2007년 24시간 뉘르부르크링에 출전해 220개 팀 중 108위로 출발했다. 24시간 경주는 세계에서 가장 고된 코스 중 하나인 뉘르부르크링 주변에서 열린다.[29] N조의 명사 혼다 시빅 하이브리드는 짐 클라크 랠리에서 레이스를 펼치며 2등을 차지했다.[30]
수상 및 인정
- 2006년 올해의 북미 자동차와 나머지 시빅 제품군[31]
- 2006년 올해의 모터트렌드카 상과 나머지 시빅 제품군.[32]
- 2006년 캐나다 자동차 기자 협회(AJAC) 대체 동력 차량 부문 수상.[33]
- 2006년 세계 그린카[34] 우승자
3세대(FB4; 2012-2015)
3세대(FB4) | |
---|---|
![]() | |
개요 | |
생산 | 2011–2015 |
연식 | 2012–2015 |
파워트레인 | |
엔진 | 가솔린: 1.5 L Honda LEA 시리즈 수냉 4행정 SOHCi-VTEC+IMA 전기: 20kW 리튬이온, 144V |
전송 | CVT 자동 |
하이브리드 드라이브트레인 | Honda(통합 모터 어시스트) 및 Eco 어시스트 |
치수 | |
휠베이스 | 2,670mm(인치) |
길이 | 4,525 mm (내부) |
폭 | 1755mm(69인치) |
높이 | 1,210mm(56인치) |
연석 중량 | 1,520kg(2,822lb) |
마지막 시빅 하이브리드는 미국과 캐나다에서 2012년 모델로 2011년 출시됐다. 90마력과 97lbft의 토크를[35] 내는 1.5리터의 대형 i-VTEC 엔진과 니켈금속 하이드라이드 대신 리튬이온 배터리 팩을 탑재했다. 대형 엔진은 중거리 토크를 개선하기 위해 1.3-L 엔진을 대체한다.[36] 엔진과 연속 가변 변속기 사이에 놓인 DC 브러시리스 영구 자석 모터는 20kW(23hp)와 78lbft의 토크를 제공하며 무게는 0.7kg(1.5lb)이 적다.[37] 2012 Civil Hybrid는 도시 및 고속도로 주행 사이클의 EPA 등급이 44mpg‑US(5.3L/100km; 53mpg‑imp)로, 이전 세대의 경우 40mpg‑US‑US(5.9L/100km; 52mpg‑imp‑imp)보다 개선됐다.[38]
시빅 하이브리드는 최신 IMA(Integrated Motor Assist) 병렬 하이브리드 시스템을 탑재하고 있으며, 혼다 하이브리드 차량으로는 최초로 리튬으로 구동되는 새로운 20kW 모터도 탑재하고 있다.[36] 새 배터리는 5kW 더 강력하고 9kg(20lb) 더 가벼우며 공간도 36% 덜 차지한다.[36] 배터리 용량이 35kAh에서 100kAh(4.5Ah)로 증가한다.[36]
개선된 공기역학 및 Honda ECO Assist 기술이 함께 제공된다.[39] ECO 어시스트 기술은 운전자가 보다 연비 효율적인 운전 스타일을 채택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정보시스템으로,[40] 일본 혼다 하이브리드 차량의 경우 연비를 약 10% 향상시키는 것으로 입증됐다.[41]
생산
시빅 하이브리드 세단 생산은 2012년 4월 인디애나 공장에서 시작된 아쿠라 ILX 하이브리드 생산에 이어 2013년 초 일본 스즈카에서 미국 인디애나 주 그린스버그로 이전됐다.[42]
판매의
혼다는 2009년 2월 북미에서 19만대 이상 판매된 것을 포함해 2001년부터 25만5000대 이상의 시빅 하이브리드를 판매했다고 보도했다.[43] 한동안 시빅 하이브리드는 미국에서 두 번째로 많이 팔린 하이브리드 전기차였다.[22]
지역별 누적 판매량(2009년 1월 말 기준)[43] | ||||||
---|---|---|---|---|---|---|
지역 | 판매시작 | 누적매출 | ||||
일본. | 2001년 12월 | 22,899 | ||||
북아메리카 | 2002년 3월 | 191,493 | ||||
유럽 | 2003년 5월 | 34,757 | ||||
아시아/오세아니아 | 2004년 2월 | 5,514 | ||||
중국 | 2007년 11월 | 280 | ||||
다른이들 | 2006년 5월 | 306 | ||||
합계(단위): | 255,249 |
2007년 한 해 동안 전세계적으로 5만 개 이상의 시빅 하이브리드가 판매되었다고 보고되었다.[44]
마일리지 클레임에 대한 법적 조치
헤더 피터스는 2012년 1월 로스앤젤레스 고등법원 소청장으로부터 2006년 시빅 하이브리드가 제조사가 광고한 마일리지 청구권을 충족하지 못했다고 주장해 9867달러의 상금을 받았다.[45]
혼다는 이 결정에 대해 한 판사가 차량의 연비 등급이 미국 환경보호청(EPA)의 요건을 충족하고 있으며, 그러한 등급은 차량 간 비교를 위한 것이라고 판결하면서 항소심에서 승소했다.[46]
2003년부터 2009년까지 혼다 시빅 하이브리드를 구입하거나 임대했던 소비자는 2013년 4월 19일까지 집단소송 합의서에 현금결제 및 리베이트 인증서를 청구해야 했다. 그러나 결산관리자는 이미 클레임 검토에 착수했으며, 지난달에 확인된 클레임을 가진 사람들에게 수표를 우편으로 발송하기 시작했다.
2012년 3월, 혼다 캐나다는 미국에서 최종 확정되었을 때, 캐나다의 소유자 및 임차인과의 미국 집단 소송 합의를 기리기 위해 서약서를 발행했다. 현재까지 관련 당사자들에 대한 후속조치는 없었으나, 혼다 출시 직후 퀘벡 법원과 캐나다 소유주 및 임차인을 대신해 퀘벡 법정에서 집단소송이 시작됐다.
중단
혼다는 시빅 하이브리드가 혼다 어코드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혼다 시빅 GX, 아쿠라 ILX 하이브리드 등과 함께 판매 부진으로 2015년 모델년 이후 단종될 예정이라고 밝혔다.
참조
- ^ 혼다, 신형 시빅 하이브리드 세단 발표 - 2016년 3월 4일 웨이백 머신에 보관된 세계에서 가장 연료 효율이 높은 5인승 가솔린 차량
- ^ 첨단 기술 부분 제로 배출(AT-PSEV)을 획득한 Civil Hybrid 최초의 하이브리드 차량 2016년 3월 4일 웨이백 머신에 보관
- ^ EPA 연료 추정치 2003 Civil Hybrid 2012년 3월 20일 웨이백 머신에 보관
- ^ 2002 Honda Civil Overview 2013년 3월 12일 웨이백 머신에 보관
- ^ "2003 Honda Civic Hybrid - Road Test".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7 October 2011.
- ^ Honda, Wayback Machine에 2014년 4월 22일 보관된 2003 Civil Hybrid를 위한 새로운 IMA 시스템 개발
- ^ "2003-2005 Honda Civic Hybrid - Road Test & Review - Automobile Magazine". 1 May 2002.
- ^ "2003 Honda Civic Hybrid". Ars Technica.
- ^ "Green Autos in the Showroom, But Few on the Road".
- ^ Greenest 2003 자동차 및 SUV 2014년 12월 16일 웨이백 머신에 보관
- ^ "2004 Honda Civic Hybrid gets a Full Compliment [sic] of Interior and Exterior Enhancements". Honda Newsroom. Retrieved 22 July 2017.
- ^ a b "2006 Honda Civic Powertrains".
- ^ 2006년 Honda Civil Hybrid EPA 등급 2016년 3월 4일 웨이백 기계에 보관
- ^ "About EPA Fuel Economy Ratings".
- ^ "Car and Driver 2006 Honda Civic Hybrid - Road Test". CarandDriver. 1 January 2006.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6 September 2011.
- ^ i-VTEC®에서 iPod®에 이르기까지 All New 2006 Honda Civil이 2014년 1월 7일 웨이백 머신에서 최신 기술을 메인스트림에 도입
- ^ 로드 워리어: 일부 하이브리드 차량 소유자가 2013년 3월 13일 웨이백 머신에 보관된 차량에 대해 불만을 나타남
- ^ a b Hirsch, Jerry (10 May 2012). "Honda wins appeal in Civic Hybrid mileage lawsuit" – via LA Times.
- ^ a b "DailyTech - Honda Civic Hybrids Encounter Battery Life Problems, Software Update Problematic for Som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5 March 2017. Retrieved 24 March 2017.
- ^ "2015 Subaru Outback and Legacy - Video Review - Consumer Reports".
- ^ "Archived copy" (PDF).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7 October 2015. Retrieved 6 October 2015.CS1 maint: 제목으로 보관된 복사본(링크)
- ^ a b "Alternative Fuel Vehicles (AFVs) and Hybrid Electric Vehicles (HEVs)". U.S. Dept of Energy-Alternative Fuels and Advanced Vehicles Data Center. Retrieved 1 August 2010. 각 하이브리드 모델에 대한 연도별 세부 정보를 보려면 Excel 파일을 클릭하여 여십시오(Sales 1999-2009).
- ^ Consumer Reports (7 March 2006). "Consumer Reports Revises Financial Analysis in Report on Ownership Costs for Hybrid Cars". Consumers Unio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1 September 2007. Retrieved 27 April 2007.
- ^ "The dollars & sense of hybrid cars".
- ^ Vincentric. "Hybrid Compariso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4 February 2011. Retrieved 1 February 2011.
- ^ Sam Abuelsamid (16 August 2010). "Honda's fix for Civic Hybrid batteries". Auto Blog. Retrieved 16 August 2010.
- ^ "Civic Hybrid Fast Gaining Acceptance". Honda Malaysia (Press release). 26 June 2009.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4 October 2011.
- ^ "Honda begins sales of all-new Insight dedicated hybrid vehicle". Honda Motor Co. Worldwide site.
- ^ y Wayne Cunningham (11 September 2007). "Civic Hybrid completes 24-hour race". cnet Reviews.
- ^ Franca Davenport (21 October 2008). "Lotus accelerates hybrid rally car development". The Daily Telegraph.
- ^ "Honda Sweeps 'North American Car and Truck of the Year' Awards 2006 Honda Civic and 2006 Honda Ridgeline Take the Top Honors" (Press release). Honda. 8 January 2006.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1 February 2015.
- ^ "Motor Trend Announces 2006 Car Of The Year". Motor Trend.
- ^ "Honda Civic Hybrid awarded the Best New Alternate Power Vehicle for 2006". GreenProgress.
- ^ "2006 Honda Civic Hybrid Wins 'World Car of the Year Award' for Greenest Car" (Press release). Honda.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1 February 2015.
- ^ Sutton, Mike. "2012 Honda Civic Hybrid - Instrumented Test". Car and Driver (Nov 2011 issue).
- ^ a b c d Ryan Gehm. "Fuel economy the focus for Honda Civic engineers". SAE International.
- ^ "2012 Honda Civic Hybrid Specifications and Features". Honda. Retrieved 3 March 2021.
- ^ Christopher Jensen (23 September 2011). "Keeping Hybrid Weirdness at Bay". The New York Times. Retrieved 25 September 2011.
- ^ "New 2012 Honda Civic lineup boosts fuel economy in all models; Hybrid and HF offer 40+ mpg". Green Car Congress. 18 February 2011.
- ^ "Honda Civic Si Concept coupe and Civic Concept sedan debut at NAIAS; hybrid and natural gas variants". Green Car Congress. 12 January 2011.
- ^ "Honda Study Finds Insight's Eco Assist System Results in Average 10% Improvement in Fuel Economy After 300 Drives, Up to 20% Max". Green Car Congress. 12 February 2010.
- ^ "Honda to build Civic Hybrid in Indiana, will boost plant capacity by 25%". AutoNews.
- ^ a b "Honda Reaches 300,000 Units in Cumulative Global Sales of Hybrid Vehicles" (Press release). Honda Motor Co. 18 February 2009.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4 March 2010. Retrieved 14 January 2010.
- ^ Hiroko Nakata (6 July 2008). "Toyota leads charge for new 'green' power source". Japan Times. Retrieved 22 July 2010.
- ^ AP통신 "여성이 혼다 시빅하이브리드보다 스몰 클레임 수트 쟁탈" 야후! 뉴스, 2012년 2월 2일, 2012년 2월 2일 회수
- ^ Edvard Pettersson and Maurice Possley (9 May 2012). "Honda Wins Reversal of Small-Claims Loss Over Hybrid Mileage". Bloomberg.
외부 링크
- 혼다 월드와이드의 시빅 하이브리드
- 혼다 시빅 하이브리드
- 혼다 시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