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라키어

Araki language
아라키
네이티브:바누아투
지역아라키 섬, 에스피리투 산토
원어민
8 (2012)[1]
언어 코드
ISO 639-3akr
글로톨로지arak1252
ELP아라키
이 글에는 IPA 음성 기호가 수록되어 있다. 적절한 렌더링 지원이 없으면 유니코드 문자 대신 물음표, 상자 또는 기타 기호를 볼 수 있다. IPA 기호에 대한 소개 가이드는 도움말을 참조하십시오.IPA.

아라키바누아투에스피리투 산토 섬 남쪽에 있는 아라키 섬(로컬로는 [ˈɾaki]로 알려져 있다)에서 사용되는 거의 멸종된 언어다. 아라키는 점차 이웃 섬에서 온 언어인 탕고아대체되고 있다.

현재 상황

아라키는 2012년에 8명의 원어민이 이웃 언어인 탕고아를 향해 언어 이동이 진행 중인 것으로 추정되었다. 섬의 나머지 인구는 아라키에 대해 소극적인 지식을 갖고 있어, 이해할 수는 있지만 말하는 능력은 제한되어 있다. 아라키 어휘의 상당 부분뿐만 아니라 언어의 특이적 구문현상과 음성현상이 상실되었다. 피진 비슬라마는 아라키 지방의 많은 연사들이 언어 프랑카로 사용하고 있지만, 주로 포트빌라루간빌의 두 마을에서 사용되며, 시골 지역에서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아라키는 2002년에 언어학자 알렉산드르 프랑수아에 의해 묘사되었다.[2]

연도 Pop Spkr 출처
1897 103 103 밀러(1990년)
1972 72 트라이온(1972)
1989 112 80 트라이온과 샤르펜티에(1989)
1996 105 105[a] 그라임스(1996)
1998 121 34 변수-보기리(2008)

분류

아라키는 오스트로네시아어족오세아니아 지부에 속해있다; 더 정확히 말하면, '북부와 중앙 바누아투어족' 그룹에 속해있다.

음운론

아라키는 16개의 자음 음운과 5개의 모음으로 이루어진 음운학적 목록을 가지고 있는데, 이 목록은 다음 두 가지 표에 나와 있다.

자음

아라키에는 일반적으로 음절의 시작 부분에 나타나는 16개의 자음이 있는데, 일부 예외는 있다.

아라키 자음
빌라비알 언어학 치조류 벨라르 글로탈
콧물 m ⟨m⟩ ⟨m n ⟨n⟩ ŋ ng⟩
플로시브 p ⟨p⟩ ⟨p̈⟩ t ⟨⟩ k ⟨k⟩
애프랙레이트 T tʃ ⟨j⟩
프리커티브 β ⟨v⟩ ð̼̼⟨v S ⟨s⟩ h ⟨⟩
플랩 ɾ r⟩
트릴 r ̄⟩̄⟩
측면 l ⟨⟩

아라키어를 유창하게 구사하는 사람만이 플랩[ɾ]과 수조[r][3]를 구별할 수 있고, 그들만이 언어 자음을 구별하고 발음할 수 있다. 이 언어의 '수동적' 사용자는 이 자음을 양음 자음이나 치경 자음으로 대체한다.[4] 많은 젊은 사람들이 아라키어를 할 수 있다고 주장하지만, 그들은 대개 수동적인 화자여서 언어 자음을 사용하지 않는다.

모음.

모음 음소는 다음과 같다.

모음.
앞면 뒤로
높은 i u
중앙의 e o
낮음 a

아라키는 음소성 긴 모음을 가지고 있지 않다. 또한, 그 언어는 음소성 쌍둥이를 가지고 있지 않다. 그러나 연속 모음의 문자열은 언어에서 가능하다. 이 경우 각각의 모음은 별도의 음절을 짓는다.

음절구조 및 응력

아라키에 있는 대부분의 음절은 열려 있다(CV). 단어 스트레스의 디아크론적 효과는 일부 음절의 불규칙적인 상실을 초래했고, 단어의 최종 자음이 많은 CVC와 CCV의 새로운 음운 패턴을 창조했다. 비록 한 단어 내에서 두 개 이상의 자음의 군집이 불가능하지만, 긴 자음 군집은 더 긴 언어 순서로 나타날 수 있다.

아라키에서 워드 스트레스는 보통 펜ultimate 음절에 나타나는데, 적어도 그 단어의 마지막 음절이 - (C)V 형식일 때는 그렇다. 이차적인 스트레스는 단어 왼쪽 방향으로 가는 두 번째 음절마다 들릴 수 있다. 스트레스는 어휘소가 전체 음운론적 단어를 형성하기 위해 모든 부속물을 받은 후에만 할당된다. 최종 고모음 삭제 과정(바누아투 언어에서 일반적임)은 스트레스 규칙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쓰기 시스템

아라키 문자
편지 a e h i j k l m n ng o p p r r s t u v
발음 a e h i Tʃʃ k l m n ŋ o p t ɾ r s t u β ð̼

구식 맞춤법에서는 t͡ʃ에 ⟨c⟩, ɾ에 ⟨d⟩, r에 ⟨r⟩, ŋ에 ⟨g⟩을 사용하였다.

문법

아라키 구문은 명사, 형용사, 동사, 부사, 숫자, 시연을 포함한 개방형 어휘소와 종종 단음절의 진부표현인 닫힌 형태소 집합으로 나눌 수 있다.

워드 오더

아라키에서 구성 순서는 엄격히 제목-verb-object(SVO)이다. 직접 목적어 사이에는 명확한 형식적 경계 - 포함되든 안 되든 항상 술어 구절의 내부적-과 사선 주장: 부사, 전치사구 및 간접적 목적어 사이에는 항상 동사구절 밖에 나타난다.

명사들

많은 오세아니아어처럼 아라키어에서도 동사뿐 아니라 명사(다른 통사적 범주뿐만 아니라)도 포식적이다. 명사는 직접적으로 포식하는 동사와는 다른데, 이는 그들이 주어가 앞에 설 필요가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사만이 세계의 실체를 직접 언급할 수 있고, 더 큰 문장 구조로 들어가는 주장을 할 수 있다.

구문론적으로 말하면 명사는 문장의 주제, 타동사의 목적 또는 전치사의 목적, 동사나 형용사에 금지된 모든 구문학적 슬롯이 될 수 있다. 고유명사-장소명사-개인명사-는 아라키 명사의 세계적인 범주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명사구조의 구조

바누아투의 많은 언어와 달리 아라키는 프로토 오셔닉의 명사 기사 *na를 유지하지 않았고, 다른 필수 명사 결정자도 유지하지 않았다. 그 결과 명사 루트는 스스로 유효한 NP를 형성할 수 있다.

명사구에는 반드시 머리가 있어야 한다 - 이것은 명사, 독립 대명사 또는 특정 표현물이 될 수 있다. 형용사는 NP헤드가 될 수 없지만 빈헤드마다의 지원이 필요하다. 다른 모든 요소는 선택 사항이다. 최대 NP는 대부분 선택 사항인 다음 구성 요소 순서를 따라야 한다.

  1. 기사: 복수 다이, 부분적 , 확정 va.
  2. 명사 또는 빈 머리 마디 또는 소유주 { { 명사 + (소유 분류자 +)에 의해 형성된 '유형 번들'
  3. 형용사;
  4. 음경 표식기 di.
  5. 증명어.
  6. 주어 clitic(일반적으로 mo) 앞에 나오는 숫자(절과 유사함)
  7. 관련 조항
  8. 전치사구

한 NP에서 서너 가지 이상의 요소를 만나는 일은 드물다.

물품 및 참조 추적 장치

의미론적으로 말해서, 기사가 없는 명사는 비특정적일 뿐만 아니라 구체적일 수 있고, 확정적일 수도 있고 무한할 수도 있다. 게다가, 성별-생존이 없을 뿐만 아니라, 심지어 숫자도 대부분 과소평가되어 있다; 문맥과 부분적으로는 동사의 개인 표식만이 단수와 복수 참조를 구별하는데 도움이 된다.

아라키에서는 특정 NP의 참조를 추적하는 데 도움이 되는 여러 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위의 리스트에 나타난 와 같이 진부한 va, di, mada, dai, re, mo hese이다.

친임벌주의 va와 포스트임벌주의 di는 둘 다 양극성 관계를 나타낸다. va는 명사 바로 앞에 배치되며, 담화-내부 아나포라(즉, 이전 맥락에서 이미 도입된 용어를 참조)에 대한 코드. di는 그 명사를 바로 따르며, 그 앞에 있는 직접적인 문맥('이'의 영어의 아나포닉적 사용과 유사함)을 가리키는 것 같다.

구성 {va Ndi}이(가) 존재하지 않음 두 진부한 표현은 서로 다른 용도가 있어야 한다는 의미다.

빈 머리 마다는 NP의 시작 부분에서 찾을 수 있다. 그것은 결코 혼자 일어나는 것이 아니라, 형용사나 장소 이름이 항상 따라다닌다. 그것의 역할은 작은 단어에서 영어 'one'과 유사한 방법으로 다음 단어로 정의되는 인간 개인을 가리키는 것이다. mada는 개인적인 명목상이라고 말할 수 있다. 그것은 명확성이나 숫자를 포함하지 않는다.

복수 표식기 다이(dombar marker dai)는 NP의 복수성을 명시적으로 표시하며, 그렇지 않으면 결코 코드화되지 않으며, 종종 암묵적으로 남는다. 이 절에서 언급한 다른 모든 마커와 마찬가지로 이 마커도 선택 사항이다.

'하나'를 뜻하는 숫자 정량자인 특정 비한정 mohese참조자가 담화에 처음 도입될 때 필수적이지는 않더라도 매우 흔하게 사용된다. 모헤세는 다른 숫자와 대비되는 숫자 술어로 쓰일 수 있지만, 담화에 비한정, 즉 새롭게 도입된 것으로 표시하기 위해 NP에 따른 일종의 기사로 가장 많이 사용된다.

부분적-무정적 친임상적 리(partitive-infinite pro-clatic re)는 NP가 특정 개념의 새로운 비특정적 사례를 언급할 때 사용된다. 이 개념을 이해하려면 영어 문장 '바나나를 먹었다'와 '바나나가 먹고 싶다'를 비교해보자. 두 경우 모두 비한정일 뿐 아니라, 첫 번째 문장에서 바나나는 특정 바나나를 가리키기 때문에 구체적이지 않고, 두 번째 문장에서 바나나는 특정 바나나를 지칭할 수 있기 때문에 특별하지 않다. 이러한 의미적 차이는 영어로 문법화되지 않지만, 아라키어로, 비특정적 무기한 참조의 표식어로 re를 사용한다.

앞에서 언급한 참조 추적 장치의 기능은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확정적 무기한
특정 N // va N // N di
'케이크가 준비되었다.'
N // N mo 헤스
'케이크를 먹었다.'
비특정 N
'나는 케이크를 좋아한다.'
N // 리 N
'케이크가 먹고 싶다.'

동사들

동사는 주제의 진부한 말이 선행하는 서술어다. 명사와는 달리 직접적인 술어(즉, 정략이 없으면)를 형성할 수 없고, 실체를 지칭할 수도 없고, 문장의 주제도 형성할 수 없다. 그들은 명사를 단순히 따라간다고 해서 직접 수정할 수는 없다. 의미론적 관점에서 동사는 행동, 사건 또는 상태를 가리킨다. 아라키에 있는 각 동사는 반드시 리얼리스나 이레알리스 무드로 표시해야 한다.

동사 구절의 유일한 필수 요소는 머리와 주제의 정이다. 이것은 동사가 헤딩하는 구절뿐만 아니라 형용사나 숫자가 헤딩하는 구절에도 확장될 수 있다. 특정한 조건 하에서 명사는 부정과 같은 기분에 대한 예상 특성을 부여받은 경우 소위 'VP'의 수장이 될 수도 있다.

통사적 관점에서 아라키는 직설적인 동사와 타동사를 대조한다.

자동사

자동사 동사는 절대 개체 NP나 타동사 접미사를 사용하지 않는다.

그것들은 형태학적으로 비변형적이다(즉, 형태학적 표시를 받지 않는다).

타동사

타동사는 NP 또는 객체 접미사로 객체 인수를 사용한다. 대부분의 전이성(또는 전이성) 동사는 전부는 아니지만 형태학적으로 그렇게 표시할 수 있다. 이는 일반적으로 transitivity 접미사 -i 및/또는 객체 개인 접미사의 존재를 의미한다.

어떤 동사는 보통 사선(일반적으로, 전치사) 보어가 따르기 때문에 사선전치사를 갖는다고 설명할 수 있다.

아라키는 보통 직역 동사를 허용하지 않는다. 영어가 두 개의 직접적인 사물을 가지고 있는 곳에서는, 내가 당신에게 약간의 돈을 주듯이, 아라키는 하나의 보어스를 직접적인 사물로 가지고 있는 반면, 다른 것은 비스듬한 케이스로 할당될 것이다. 따라서 VP 내부에는 한 개의 보완자가, 그 외부에는 다른 보완자가 나타난다.

대칭동사

아라키에 있는 일부 동사는 그 통사적 주체를 환자나 에이전트의 사례 역할로 표시하도록 허용한다.

(1)

미하라살라

문짝

3:R

에이드

개방된

미하라살라 모에데

문:R 열림

'문이 열렸다/열렸다.'

(2)

1sg:R

이데

개방된

미하라살라

문짝

남에데 미하라살라

1sg:R열림도어

'문을 열었다.'

그러나 이러한 현상은 영어보다 아라키에서 더 제한적이다.

동사 연재

아라키는 하나의 동사 구문에 두 개의 동사 루트가 나타나도록 하여 일종의 복잡한 동사 {V1, V2}을 형성한다. 보통 한 번에 두 개 이하의 동사가 나타날 수 없다. 이 두 동사의 시리즈는 하나의 무드-피제적 클라이트와 동일한 측면 표지를 공유한다. 이것은 그들이 의미론적으로 같은 주제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이 두 동사 사이에는 어떤 목적어나 다른 보완물도 삽입할 수 없다. V의2 형태학 및 통사적 문맥에 의해 승인된 경우, 두 번째 동사의 오른쪽에 Transitity 접미사 -i와 객체 접미사가 나타난다.

동사 연재는 아라키에서 다른 많은 오세아니아어보다 훨씬 드물다. 두 동사 중 어느 한 동사가 동작 동사여야 생산성이 있는 것 같다. 또 다른 흔치 않은 패턴은 두 번째 요소가 stative 동사 또는 형용사일 때: V는2 V의1 방식을 나타낸다.

아라키에서 훨씬 빈번한 전략은 조항 체인의 그것이다.

개인 마커

아라키의 경우 '개인적인 표식'('프로눈''보다는 '개인적인 표식'을 논하는 것이 더 적절하다. 형태론적 인물 표시는 1번, 2번, 3번 등 7개가 있으며, 비성악적 1번인 경우에는 포괄적/독점적 구분이 있다.

독립 대명사

단수형 복수형
1인칭 포함성의 na 니카
배타적 카미삼
2인칭 엔(i)코 카미심
3인칭 니아 n(i

피실험자 클리틱스 및 개인 마커

다음 표는 언어 문장으로 피사체의 일상적인 표시를 제공하는 진부한 내용을 보여준다. 그들은 두 가지 분위기를 표현한다: 현실비현실이다.

제목 클리틱스 및 개인 마커
리얼리스 이레알리스
단수형 복수형 단수형 복수형
1인칭 포함성의 남으로 na 공동의
배타적 가면을 쓰다 카미자
2인칭 o ha
3인칭 공동의 ha

무드가 realis로 코딩되는지 irrealis로 코딩되는지 여부는 동사구의 형식성에 달려 있다.

숫자

숫자들은 (직관적인) 동사처럼 구문적으로 행동하며, 언어 어휘소의 하위 집합을 형성하도록 주장될 수 있다. 그것들은 항상 인물과 양식(Realis/Irrealis)에 민감한 주제 클리틱에 의해 소개되어야 한다.

(3)

나루 구

어린아이의1sg

3:R

듀아

두 개

나루 구 모 두아.

child-1sg :R 2

"나에게는 아이가 두 명 있어."(불이 켜졌다. 내 아이는 두 명이다)

기수

숫자는 다음 표에 열거되어 있다.

아라키 영어
모 헤스 하나
모두아 두 개
모롤루 3개
모 비사리 4개
모 리마 다섯
mo haion(o) 여섯
모하이피루 일곱
모하알루 여덟
모하이스아 아홉
모 사가불(u) 열 개
모 사가불 코미나 모 헤세 열한
모 사가불 코마나 모 두아 십이
모가불두아 스무 살
모가불두아모헤세 스물하나
모가불롤루 30년
모가불하이피루 칠십
모 가불 사가불루 100
모 가불 사가불루 모 사가불루 백 십 명
모 가불 사가불루 두아 이백
모 가불 사가불루 사가불루 천 명

서수

순서형 번호는 최소한 2-5의 접두사 ha-로 형성된다. 더 많은 수의 사람들이 이미 이것 또는 유사한 접두사 ha-를 그들의 급진적인 것에 통합했다.

숫자 '1'은 mudu 'first'라는 수식어를 가지고 있다.

서수 형식은 특히 dan(i)이라는 단어와 함께 사용되며, 요일을 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사용된다.

아라키 영어
댄 무두 월요일
하두아 댄 화요일
하롤루 단 수요일
하바리단 목요일
하리무자단 금요일
하이오노단 토요일
하이프시루 단 일요일

형용사

형용사의 뚜렷한 범주가 없는 많은 언어와 달리 아라키는 이런 식으로 이름 붙여질 수 있는 어휘소를 가지고 있다. 형용사의 어휘 범주는 두 가지 기본 원리로 정의된다.

  • 형용사는 술어가 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숫자나 동사와 같은 주제의 명사 앞에 있어야 한다.
  • 형용사는 명사구의 명사를 직접 수정할 수 있으며, 주어 clatic (반대. 숫자)이나 상대적 구조 (반대. 동사) 없이 가능하다.

형용사는 항상 그들이 수정한 명사를 따르고 숫자 앞에 온다.

(4)

피이라

여자

헤테히테

작다

3:R

헤스

하나

피이라 헤테헤테 모 헤세

woman small :R 원

'젊은 여자'

애드전

부전어는 비록 동사구절 안에 있지만, 구문적 위치가 즉시 동사 급진적 동사를 따르는 어휘 항목의 꽤 작은 범주를 형성한다. 동사가 타동사일 경우, 다음과 같이 동사 rodical과 transitiviser 접미사 및/또는 객체 접미사 사이에 부가물이 삽입된다.

(5)

1sg

발을 동동작

SEQ

나크

때리다

타하

RES

므사레코!

데드-OBJ:2sg

나파낙 타하 미샤레코!

1sg SEQ 죽다-OBJ:2sg

"죽일 거야!"(불빛. 뺑뺑이 너)

부사

항상 동사 구에 통합되는 부사와는 달리 부사는 결코 그렇지 않다. 그것들은 조항의 시작 부분이나 끝에 나타날 수 있다. (비유형) 부사의 표시되지 않은 위치는 동사-객체 번들 뒤에 있는데, 여기서 전치사 구절도 역시 그렇다. 부사의 범주는 직접적으로 형성되는 모든 단어, 즉 전치사 없이 비스듬한 보어들을 포함한다.

(6)

브자파

굴을 파다

di

ANA

3:R

로호

머무르다

IPFV

사하니

저 위에

카우라의

위에

V̈apa di mo Roho ro saha-ni kaura.

동굴:3R 위-위-위-위-위-상태 유지

'동굴은 저 위에 있다, 위쪽에 있다.'

시위

지시문은 참조 추적을 위한 명사와 연관되거나 전체 조항을 그 범위로 한다. 비록 그들이 부분적으로는 위치 부사처럼 구문적으로 행동하지만, 표현적인 단어들은 형태학적으로 쉽게 식별되는 특정한 패러다임을 형성한다.

환원법

아라키는 어떤 식으로든 강렬한, 복수 혹은 복수 개념으로 표현하기 위해 환원법을 사용한다. 의미론적으로 언어적 축소는 사물의 비주연성/일반성과 같은 특징을 유발하며, 따라서 일반적으로 명사적합성과 관련이 있다. 또한 축소복제는 단어의 통사적 범주를 바꿀 수 있는 유일한 것은 아닐지라도 주된 장치다. 환원 발생:

  • 명사에서 명사까지(다원성을 나타내며, 때로는 소소함량('Many Ns, 'Small Ns')을 나타낸다.
    예: 나루 '아들' → 나나루 'sons', 후다라 'dirt' → 후다후다라 '흙의 작은 입자'
  • 명사에서 동사 또는 형용사(세계의 a가 아니라, 일반적으로 그것에 의해 야기되는 과정/상태를 가리킴)에 이르는 말이다.
    예: alo 'sun' → aloalo '햇볕이 잘 든다'
  • 동사에서 동사로(강화된 의미, 복수성, 반사성, 분배성, 불완전성, 부정성 중 하나를 도출한다).
    예: v̈ano 'walk' → v̈nov̈ano 'race'
  • 동사에서 명사까지(일반적으로 동사의 바로 그 개념을 참조)
    예: '말하기; → 소도도 '말하기, 메시지, 언어'

구조적으로 아라키는 세 종류의 환원법을 가지고 있다.

CV 환원법

그 단어의 첫 음절은 축소되었다.

나루나나루('son', 'sons')
로쿠도롤로쿠도('angry')
레보사이레레보사이('intelligent')

CVCV 환원법

그 단어의 처음 두 음절은 축소되었다.

m̈arahum̈̈ ('arahu('fear', '두려워')
veculuvcuveculu('becuveculu')
후다라 → 후다후다라('dirt', '흙의 작은 입자')

뿌리감소법

그 단어의 전체 근원은 축소된다.

데브데 → 데브데브데브데('pull')
aloaloalo ('태양', '햇볕이 잘 든다')
sodo소도도('말하기', '말하기, 메시지, 언어')

절구조

위에서 언급했듯이 아라키는 엄격한 SVO 언어다. 이것은 주장, 명령, 의문문 등 다른 문장 유형은 단어 순서의 변화를 수반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것은 유럽 언어에서 일어나는 것과는 대조적이다. 이러한 문장의 유형은 다른 방식으로 다를 수 있다.

필수 사항

모든 필수 문장은 가상 사건을 언급하기 때문에 정의상 Iralis 형식성을 취한다. 그 동사는 반드시 그 주제의 틀에 박혀 있어야 한다.

(7)

O

2sg

뤼엔-이-아!

도움--TROBJ:1sg

오, 이런!

2sg 도움--TROBJ:1sg

'도와줘!'

따라서 프로소디를 제외한 모든 필수 문장은 의도나 가까운 미래를 표현하는 문장과 정식으로 동일하다(예: '나를 도와줘야 한다' 또는 '나를 도와줄 것이다').

음의 순서는 일반적인 부정 표식기 ce를 사용하지 않고 모달 클라이테 칸 '금지'를 사용한다.

(8)

1sg:Irr

PROH

sa

올라가다

lo

LOC

이미나의

집집마다3sg

Na kan sa lo-a-na.

1sg:Irr {go.up} 하우스-3sg

'나는 가면 안 된다./ 나는 그의 집에 가면 안 된다.'

질문

의문문장은 Realis나 Irrealis의 양식 중 하나를 취할 수 있다.
예/아니요 질문은 해당 질문과 유사하지만, 프로소디는 제외한다.
꽤 자주, 질문은 최종 태그로 표시된다... vo-ce-re... '아니면?'
WH-questions에서 의문 단어들은 그들이 대체하는 단어와 같은 자리를 차지한다(즉, 그들은 현장에 남아 있다).

아라키안 심문어로는 sa 'what', se 'who', vee 'where', gisa 'when', 비자 'how many' 등이 있다. 심문 기사('what X, that')는 사바(sava)로, 더 긴 형태의 sa이다. 그것은 명사 앞에 온다, 예를 들면 사바 히나 '무엇인가'이다. sa 'what'에서 두 개의 의문 단어가 파생된다: sohe sa ' like what → how'와 m̈ara sa 'what → why'이다.

부정

일반부정표기는 하나의 형태소 ce로, 명령어를 제외한 모든 음성 문장에 사용된다. 그것은 항상 술어 구절의 첫머리에 오며, 주제의 정략을 따른다. 리얼리스나 이레알리스 무드에 결합할 수 있다.

부정 ce는 예를 들어 측면 표시기와 같은 다른 요소들과 결합하여 복잡한 음의 형태소를 만든다. 예를 들어,

  • 부정 ce + 측면 'again' → 'no no no no'
  • 부정 ce + 측면 m̈isi 'still' → '아직'
  • 부정 ce + 부분적 re 'some' → 'not one'
  • 부정 ce + NP re hina '어떤 것' → '아무것도'
  • 부정 ce + 부사 n-re-dan '언젠가는' → '절대'

개체 위치에 있는 {negation re + 동사 + partic re} 조합은 이 개체의 비존재를 암시하는 빈번한 효과를 가진다. 구성 {ce re + N}은(는) 복합 술어 ce re로 문법화되었으며, 이는 '존재하지 않으며, 존재해서는 안 된다'는 뜻이다.

실존 문장

ce re는 음의 실존적 술어를 형성하도록 일반화되었기 때문에, 진화 2단계에서 긍정적 실존적 문장(즉, 'N'이 있다)이 부정 없이 단순히 동일한 술어 re를 사용하게 될 것이라고 기대할 수 있다. 사실, 이것은 보통 불가능하다.

긍정의 실존형 문장은 결코 re를 사용하지 않고, 다른 전략을 사용해야 한다. 여기에는 술어 mo hese 'one'의 사용 또는 위치 구절이 포함된다.

복잡한 문장

조정

조항 링크로서의 조정은 아라키에서 널리 퍼지는 것과는 거리가 멀다: 조항 체인은 단연 선호되는 전략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몇몇 코디네이터들이 존재하는데, 그 의미는 단순히 'and'보다 더 정확하다.

가장 빈번한 코디네이터는 pani ~ pan 'and'이지만, 보통 다음과 같은 적대적인 의미를 지니고 있다.

(9)

1inc:R

ce

NEG

짐을 싣다

알다

레시-아,

참고-OBJ:3sg

파니

그렇지만

니아

3sg

3:R

로호

머무르다

IPFV

Cam ce leves lesi-a, pani nia mo rooho 로.

1inc:R know see-OBJ:3sg 그러나 :3R stay

'우리는 그를 볼 수 없다. 그러나 그는 곁에 있다.'

'or'의 단어는 voni ~ von ~ vo이다.

m̈ara '왜냐하면'은 조정 효과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자주 사용하는 것은 비슬라마 코디네이터 'ale(프랑스 알레즈에서 파생된 것)'이다. 가능한 의미는 'OK; then; now; so; last'이다.

NP 조정 'X와 Y'는 아라키어로 다음과 같은 세 가지 방법으로 번역할 수 있다.

  • 명사 유사 전치사 nida- 'with';
  • 자유 대명사만 있는 혜성 접미사 -n(i)
  • 개인 대명사가 있는 숫자 롤루 '3 → and'

조건부 시스템

아라키에는 영어 'if'에 해당하는 세 가지 마커가 있는데, 바다, 아루, 코드다. 놀랍게도, 이 세 개의 마커 중 두 개는 Realis modality와 호환된다.

  1. Co de 'suppose, say that → if'는 Realis modality와 양립할 수 없는 유일한 마커다. 미래의 가능한 상황을 가리킬 수도 있고, 현재에 대한 반사실적 가설을 제시할 수도 있다.
  2. 아루는 조건절(본조항에는 Realis 또는 Irrealis 마크가 포함될 수 있음)에 Realis modality와 함께만 나타난다. 그것은 미래에 대한 가능한 가설이나 과거의 반사실적 상황을 가리킬 수 있다.
  3. 바다는 아라키에서 흔한 후순위자로, 아마도 뿌리 바다이 'say, tell'에서 어원학적으로 파생되었을 것이다. 주제 조항에 사용될 때, 바다는 종종 Realis 무드와 연관된다. 과거의 단일 이벤트(영어 'when'), 글로벌 상황의 일반 이벤트(영어 'whenver') 또는 미래의 가능한 이벤트(영어 'when', 'if', '경우')를 가리킬 수 있다.

조항 체인

조항 체인은 어떤 조정자, 후순위자 또는 그들 사이의 어떤 다른 종류의 명시적 연결 없이 최소한 두 개의 조항(C와12 C)을 조합한 것이다. 프로소딕 기준에서, 그들의 경계에서 어떤 일시 중지도 들리지 않으며, 적어도 두 개의 자율 문장 사이와 같은 일시 중지도 들리지 않는다. 동사 연재와는 반대로, 모든 동사는 선행 동사와 같은 주어를 가리키든 말든 자기 주어가 선행되어야 한다. 아라키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장이 완벽하게 통용된다.

(10)

라쿠

남자

3:R

변수의

테이크-OBJ:3sg

사탕발림하다

돌로 만든

3:R

평면-아이-아

던지다-TROBJ:3sg

3:R

sa

올라가다

3:R

코비

넘어지다

3:R

시보

내려가다

Racu mo variables-a sulle mo plan-i-a mo sa mo covi mo sivo.

남자 :R take-OBJ:3sg 돌 :R 던지기--TROBJ:3sg :R {go.up} :R fall :R {go.down}

'남자는 돌을 가져다가 (돌을) 위로 던지고 (돌을) 엎어진다.

문장의 애매함에 주목하라: 아래로 떨어지는 것이 실제로 사람이 아니라 돌이라는 것을 분명히 하는 것은 문맥일 뿐이다. 절 체인 구성의 높은 빈도는 실제 담화에서 가장 빈번한 단어를 크라이티모(제3자 Realis, 단수 또는 복수자)로 만든다.

조항 체인을 사용하여 다양한 상황을 설명할 수 있다.

  • 시간 계승 및 결과
  • 단일 복합 작용의 두 단계
  • 두 사건의 동시성;
  • 액션에 대한 주석.
  • 공간 역학;
  • 시간 역학;
  • 보초적 객체;
  • 관련 조항
  • 숫자 구문.

특이한 특성

아라키는 바누아투의 몇 안 되는 언어 중 하나이며, 실제로 세계에서는 언어 자음 세트를 가지고 있다.

아라키에는 혼전정지와 더불어 일련의 음성정지가 부족하며, 이 두 가지 모두 오세아니아어군에 만연되어 있다.

아라키는 관절의 치경점에 있어서 음소 분화의 수가 유달리 많다. 특히 주목할 만한 것은 치경조기치경조 플랩 1의 대비가 존재한다는 점이다.

언어보존

2008년 6월, 지속가능발전과 문화대화를 위한 자크 시라크 재단은 아라키어 보존에 주력할 뜻을 밝혔다.[5][6] 특히 "Sorosoro: Pour quee ligues du monde" 프로그램을 통해 시라크 재단이 다루고자 하는 언어 위험 상황의 예로 이 언어를 들 수 있다. 소로소로는 그 자체가 아라키어로 "호흡, 말, 언어"[7]라는 뜻이다.

참고 및 참조

메모들

  1. ^ Variables-Bogiri(2008)는 이것이 과대평가임을 시사하며 45명의 스피커를 대체적으로 추정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참조

  1. ^ 프랑수아(2012:98).
  2. ^ 이 항목에 포함된 모든 정보는 그의 문법 아라키: 바누아투사라져가는 언어인 바누아투(프랑수아(2002)에서 나온다.
  3. ^ 프랑수아(2002년), 페이지 18.
  4. ^ 프랑수아(2002년), 페이지 6.
  5. ^ "New foundation seeks to preserve rare Vanuatu language". Radio New Zealand International. June 9, 2008. Retrieved September 19, 2011.
  6. ^ 2008년 6월 8일 AFP 통신 "치락은 '양심을 일깨우기 위해' 재단을 출범시킨다.
  7. ^ 시라크 재단의 페이스북 페이지를 참조하고 J. 시라크의 인터뷰, 2008년 6월 5일을 참조하라.

참고 문헌 목록

외부 링크

R:Realis:Realis mood Irre:Irrealis:Irrealis mood OBJ:객체:객체(문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