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트 그룹
Rootes Group![]() ![]() | |
유형 | 한정된 |
---|---|
산업 | 자동차 산업 |
설립됨 | 사업 – 1913년 |
창시자 | 윌리엄과 레지날드 루트스 (1971) |
현존하지 않는 | 1971년 해체된 마르케 |
운명 | 크라이슬러 사에 인수 |
후계자 | 크라이슬러 유럽, 후기 푸조 |
본부 | , 영국 |
위치수 | 런던, 라이튼, 린우드, |
서비스 영역 | 영국과 전 세계 |
주요인 | 루테스 형제 |
상품들 | 자동차, 상용차 및 관련 서비스 |
자회사 | Rootes Limited 및 (60% 소유)험버 홀딩: 코메르, 힐만, 캐리어, 싱어, 선빔, 탤벗 |
루테스 그룹 또는 루테스 모터스 리미티드사는 영국의 자동차 제조업체였으며, 이와는 별개로 주요 자동차 유통업체와 대리점 사업이었다.런던의 웨스트엔드에서 운영된 이 제조업체는 미들랜드와 영국 남부의 유통 및 딜러 사업에 기반을 두고 있었다.1928년부터 시작된 10년 동안, 매우 성공적인 유통과 서비스 사업으로 번창했던 루테스 형제 윌리엄과 레지날드는 그들이 팔고 있는 제품에 대한 더 긴밀한 통제를 위해 제조에 들어가기를 열망했다.[1]한 형제는 동력장치, 다른 형제는 조향장치와 제동장치라고 불렸다.[2]
두 형제는 프루덴셜보증의 재정 지원으로 힐만, 험버, 싱어, 선빔, 탤벗, 코메르, 캐리어 등 영국의 유명 자동차 제조업체들을 사들여 모기업인 루테스의 60센트짜리 자회사 험버 리미티드(Humber Limited)를 통해 이들을 지배했다.[3]
1960년 한창이던 루테스는 코벤트리와 버밍엄의 미들랜드에, 영국 남부 액턴, 루턴, 던스타블에, 스코틀랜드 서부에 린우드에 새로운 공장을 세웠다.런던 피카딜리의 데본셔 하우스에 있는 그것의 사무실으로부터, 그것은 루테스와 다른 자동차 제조업체들의 수출과 국제 유통과 런던, 켄트, 버밍엄 그리고 맨체스터에서의 그것의 지역 유통과 서비스 운영을 통제했다.영국 외 9개국에 조립공장이 있었다.[1]
루테스 그룹은 1963년 알루미늄으로 결합한 소형차인 힐만 imf의 도입으로 인해 자본이 부족했고 산업 관계 문제와 손실을 견뎌낼 수 없었다.상호 합의에 의해, 1964년 중반부터 루테스 모터스는 1967년 루테스 가문으로부터 지배권을 사들인 크라이슬러 사에 의해 단계적으로 인수되었다.[1]1978년 말까지 크라이슬러 UK의 다양한 요소들 중 마지막 요소는 푸조와 르노에 팔렸다.[4]
역사와 기업 발전
다른 제조업체를 위한 딜러 및 대리점
루테스는 1913년 윌리엄 루테스가 아버지의 호크허스트 자동차 사업에서 독립한 자동차 판매 대리점으로 켄트주 호크허스트에 설립했다.루테스는 1914년까지 그의 작전을 메이드스톤으로 옮겼고 그곳에서 에어로 엔진을 수리하기로 계약했다.1917년 루츠 리미티드(Rootes Limited)를 결성해 1897년 부친이 설립한 자동차 사업의 메이드스톤 지부를 인수해 항공기 엔진 수리 사업과 항공기 부품 제조 사업을 확장했다.1919년에 자동차와 상용차량의 유통이 재개되었고 운영은 런던과 다른 지역으로 확대되었다.[3]1924년에 이르면 루테스는 영국에서 가장 큰 트럭과 자동차 유통업체가 되었다.[5]그들은 데본셔 하우스 피카딜리에 있는 그들의 전시장은 롤스로이스, 다임러, 선빔, 오스틴, 힐만, 피아트 또는 클라이노가 제조한 145파운드에서 3,000파운드의 신차를 공급할 수 있다고 광고했다.
제조 — 험버 리미티드
해외 판매에 특별한 노력을 기울였고, 수출 기회가 자동차 생산으로의 이전을 보증하는 것이 분명해졌는데, 이는 1년 후 험버 리미티드와 커머셜 카 리미티드사가 힐만 자동차 회사의 지배지분을 매입한 데 이어 1928년에 달성한 것이다.힐만과 코메르트는 험버 리미티드사의 전유 자회사로 만들어졌고 루테스 형제의 지분 보유는 결국 험버 보통주의 60%가 되었다.[3]루테스 형제는 이제 강력한 판매 매력으로 잘생긴 차를 제조하는 능력을 보여줄 수 있었다.
험버 사이클
페달 자전거에 대한 국내 및 수출 수요의 부활이 있었고, 1932년 2월 랄리는 험버 사이클의 모든 트레이드 마크를 획득했다.제조는 랄리의 노팅엄 공장으로 이관되었다.[6]
루츠 증권 유한회사
루테스 주식회사는 1933년에 루테스 증권 주식회사로 개칭되었다.대공황기에는 캐리어 모터스 리미티드 1934, 선빔 모터 컴퍼니 리미티드 1934, 클레멘트 탤벗 리미티드 1934, 영국 경철 프레스 리미티드 1937 등이 모두 험버 리미티드사의 자회사로 인수되었다.런던의 메이페어 코칭빌더와 롤스로이스, 다임러 딜러 스루프앤마벨리 리미티드 등이 1926년[3] 사들인 왕실 영장은 언제나 자랑스럽게 전시되어 있었다.
Rootes Ltd 및 수출
루테스 리미티드사는 1933년 루테스 형제의 수익성이 매우 높은 핵심 사업인 모터 유통과 서비스 기능, 수출 시장의 확대와 발전을 위해 설립되었다.[3]1924년 영국에서 가장 큰 트럭과 자동차 유통업체였으며 자본을 창출하여 제조업체인 힐만(Hillman)을 인수하고, 힐만(Hillman)을 제조업체인 험버(Humber)와 합병하고, 루테스 형제에게 험버(Humber)를 사게 할 제조 자회사를 지배하게 했다.
영국 자동차 제조업체의 해외 대표성은 그룹 멤버에 국한되지 않았다.[7]
소유권 및 통제, Rootes 패밀리
'루츠 모터스 리미티드'는 지주회사인 루츠증권 리미티드(Rootes Securities Limited)의 1949년 11월 16일자로 추정되는 새 이름이다.1917년 초기 자본의 대부분은 두 루츠 형제에 의해 제공되었다.그 후 사업의 확장은 필요한 경우, 예를 들어 힐만 매입, 프루덴셜 보증 컴퍼니 Limited와 주로 미드랜드 은행의 대출로 보충된 이익잉여금으로 조달되었다.1949년 11월 24일, 3,025,000파운드의 교환으로 루테스 모터스 주식은 대중에게 발행되었다.루테스는 이제 상장회사였고 새로운 자본은 프루덴셜과 미들랜드 은행 대출금을 상환했다.그러나 상장된 주식은 우선주였다.주식 자본은 100만 파운드의 보통주를 모두 인수했던 새로운 파트너 프루덴셜과 함께 현재 루츠 일가의 손에 남아 있었다.[3]외부주주는 험버 리미티드 지분율이 계속 높았다.험버가 대중에게 발행한 우선주는 상장된 채 남아 있었다.[8]또한 루츠 인수 차량 수출 사업과 인도 자동차 유한회사에서 외부 주식 보유가 있었다.[9]
이때 종업원은 총 1만 7천 명이었다.루트는 평균적으로 자회사 자본의 약 80%를 소유했다.제조업 자회사들은 부분 소유의 험버 리미티드사를 통해 보유되었다.제조는 코벤트리의 3개 공장에서 루턴, 크릭우드, 액턴에서 더 많은 공장들과 함께 수행되었다.오스트레일리아에는 전적으로 소유된 조립 공장이 있었고 아르헨티나, 아일랜드 공화국, 인도에는 동료들과 함께 소유된 유사한 시설들이 있었다.마케팅 자회사인 피카딜리의 데본셔 하우스에서는 켄트의 5개 지점, 노스켄싱턴 서비스 부서, 버밍엄과 맨체스터 지점과 해외 유통회사들이 공동 소유하기도 했다.[3]
우선주를 상장한지 불과 12개월이 지나지 않아 루테스 형제는 사망관세가 보유지분 및 사업에 미칠 영향을 인식했고 두 형제는 루테스모터스의 보통주의 4분의 1을 현재 보유주들에게 제공했다.[10][11]1954년[12] 11월과 1959년 11월에는 우선주와 사채주가 추가로 발행되었다.수출 금융 계열사인 루츠 인수 유한회사가 매각되었다.[13]
제2차 세계 대전
대부분의 다른 영국 자동차 제조업체들처럼 제2차 세계 대전 루트스의 발발과 함께 군비 생산에 관여하게 되었다.1940년, 정부의 그림자 공장 계획에 따라 루테스는 거대한 조립 공장을 코벤트리 근처의 라이튼-온-둔스모어에 건설했는데, 최초의 종류 중 하나는 브리스톨 블렌하임이다.제작에는 RAF 중폭격기 '핸들리 페이지 핼리팩스'가 포함됐다.이것들은 1941년부터 1943년까지 리버풀 근처의 스페크 공항과 스태퍼드셔의 블라이더 브릿지에 있는 그림자 공장에서 지어졌다.루테스는 험버와 코메르트를 기반으로 군용 차량도 제작했다.
루테스는 2차 세계대전 직후 드물게 사업 판단 착오를 겪었다.그가 전쟁 배상금을 받기 위해 볼프스부르크에 있는 폭스바겐 공장을 방문했을 때, 그는 그것과 비틀은 아무런 가치가 없다고 말했다.
전후 인수
틸링-스테븐스 유한회사가 자회사인 벌컨 모터스와 함께 1950년 하반기에 인수되었다.[9]1956년 새로운 인수는 싱어 모터스 유한회사였다.[14]배지를 제작하는 Hillmans인 Rootes's Singers는 약간 더 고급스런 소형차 구매자들을 목표로 했다.
전후 개발

전쟁이 끝난 후 루테스는 또한 전 세계의 위성 제조 사업, 특히 오스트랄라시아(루트 호주)와 중동 지역을 후원했다.후자의 가장 잘 알려진 예는 힐만 헌터를 기반으로 한 이란제 페이칸이다.1950년 켄트주 메이드스톤에 본사를 둔 트럭과 버스 제조업체인 틸링스텐스를 인수했다.
루테스는 주요 홈 시장 경쟁자들에게 약간의 프리미엄 가격으로 가격을 매긴 다양한 자동차를 성공적으로 판매했는데, 이는 그들이 디자인과 마감에서 우위에 있다는 것을 근거로 정당화되었다.
Studebaker 스타일리스트 Raymond Loewy는 Rootes의 디자인 컨설턴트였다; 그의 영향력의 증거는 1956년 Audax 자동차 제품군에서 가장 쉽게 볼 수 있다. 이 차종에는 일본의 Isuzu Motors가 면허를 받고 생산한 모델인 Hillman Minx도 포함된다.
엔지니어링 혁신
루테스는 1954년 설저 브라더스 개념을 바탕으로 한 새로운 슈퍼차지 디젤 엔진을 도입했다.이것은 Commer TS3 2행정 3기통 엔진으로 실린더당 피스톤을 안쪽으로 향하게 하는 2개의 반대편인 실린더당 피스톤이 벨 크랭크를 통해 크랭크축을 벨 크랭크로 구동시켰다.3.25리터 엔진은 90hp(67kW)를 개발했는데, 이는 용량의 2배가 넘는 현대식 4행정 디젤 엔진에 해당한다.
이 엔진은 산업용 엔진뿐만 아니라 코메르 트럭에서도 사용되었다.1968년 크라이슬러 인수 이후 생산이 중단되었다.
범위 합리화
힐먼은 구매 당시 대형차를 만들고 있었다.힐먼이 자회사가 된 직후 스트레이트-88을 도입했지만, 대공황이 심화되면서 철회됐다.그들의 2-1/2와 3리터짜리 차는 1930년대 중반에 다시 스타일링되어 험버 스니페로 개명되었고, 그들의 작은 민x는 루츠 산맥의 주축인 "빵과 버터" 멤버가 되었다.선빔은 스포츠 매력은 이어갔지만 전후를 소형차와 중형차로 축소했다.험버는 소형 스셉트레로 끝나는 대형 고급 승용차, 스니프와 변종, 고급 중형차를 만들었다.중간 크기의 험버스의 중간 휴식기는 전후의 선빔에 의해 채워졌다.코메르트와 카리에르는 상용차 브랜드였다.코메르트는 모든 범위의 밴, 트럭, 트랙터 및 버스 섀시와 일부 배지 설계 소형 차량을 힐만 레인지에서 제조했다.카리에르는 주로 시내 및 특수 목적의 트럭, 밴, 버스를 대표했지만, 마지막에는 코메르 사단의 배지 엔지니어링 모델이 포함되어 있었다.
선빔 타이거
1960년대에 선빔의 알파인 컨버터블은 미국 시장에서 적당히 성공을 거두었다.루테스는 알프스의 판매가 보다 강력한 모델로 개선될 것으로 판단했다.그 결과 1964년에 그들은 260 cu in (4,261 cm3)의 포드 V8 엔진으로 구동되는 V8 파생 모델인 타이거를 도입했다.캐롤 셸비는 타이거 프로토타입 개발에 관여했다.
1967년에 이어 289 cu(4,7363 cm) 모델이 나왔지만, 크라이슬러 차량이 포드 자동차에 의해 구동되는 것은 부적절하다고 여겨져 거의 제작되지 않았다.타이거에 크라이슬러 V8을 설치하는 것을 고려했지만, 그들의 엔진은 포드 엔진보다 크고 무거웠으며, 뒤쪽에 장착된 배급업자는 한정된 판매량으로 볼 때 감당할 수 없는 섀시 디자인을 요구했을 것이다.
힐만 imf와 린우드로 이사
1963년 루테스는 코벤트리 클라이맥스 엔진 설계(원래 소방 펌프에 사용됨)를 기반으로 혁신적인 올 알루미늄 OHC 엔진을 장착한 콤팩트 리어엔진 살롱인 힐만 임팩트를 선보였다.경쟁사 BMC의 인기 미니에 대한 루트스의 대응으로 의도된 것이었고, 그 조립을 위해 페이즐리와 엘더슬리, 렌프루셔의 경계에 있는 새로운 공장(린우드 공장이라고 한다)이 건설되었다.린우드로의 이사는 침체된 지역에 공장을 짓기 위해 '산업발전증명서(IDCs)' 원칙을 도입한 영국 정부에 의해 회사가 떠안게 됐다.린우드 노동자들은 자동차 조립에 대한 경험이 없었고 자동차의 제조 품질과 신뢰성이 떨어졌다.또 다른 문제는 부품 공급업체가 아직 미들랜즈에 기반을 두고 있다는 점이었고, 이 회사는 라이튼에서 가공하기 위해 린우드에서 반쯤 완성된 엔진 주물을 운반하는 비용을 발생시켰고 조립이 끝나면 린우드로 되돌아갔다.완성된 imfs는 남쪽으로 라이튼으로 돌아왔고, 그 결과 왕복 600마일(970km)을 달렸다.imf 자체는 낙후되었고, 설계에 대한 구매자의 무관심과 함께 빌드 품질과 신뢰성 문제가 판매 부진에 반영되었다.1963-65년 상당히 성공적인 출발 이후, imf는 잘 팔리지 않았다.린우드에서의 잦은 파업과 증가하는 보증 요청으로[citation needed] 인해 생산 손실이 발생하여 루츠는 다른 모델을 개발할 돈이 없었다.
경기이력
1950년대 루테스의 홍보에는 영국과 유럽의 주요 자동차 집회에 참가하는 전략이 포함되었다.스털링 모스와 쉴라 반담은 그들의 최고의 드라이버였고, 1955년 몬테카를로 랠리에서 선빔-탈봇 90대 승리는 가장 의미 있는 승리였다.
1968년 루테스는 런던-시드니 마라톤의 공장 팀에 들어갔다.힐만 헌터를 운전한 앤드류 코완은 예산이 더 많은 다른 공장 팀과의 경직된 경쟁에 대항해 놀라운 승리를 거두었다.
사업전략
William Rootes의 특별한 사업 기술은 마케팅에 있었다."그는 초특급 판매원이었다."[1]루테스 형제의 제조 사업은 항상 매력적인 외모를 가진 견고하고, 믿을 수 있고, 잘 설계된 중간 시장 차량으로 가장 잘 알려져 있었다.잘 알려진 루츠 모델로는 힐만 민스, 후임 힐만 헌터, 험버 슈퍼 스니프, 선빔 알파인 등이 있다.
William Rootes는 각 시장 틈새에 대한 특정 브랜드를 사용하여 Rootes 그룹을 만들었다.
경영승계
1964년 루테스 경의 죽음에 이어 아들 윌리엄 제프리 루테스가 제2대 루테스 경으로 취임해 루테스 모터스의 새 회장이 됐다.1967년 5월 1일 루테스 경은 울버햄프턴 태생의 경영자 길버트 헌트를 루테스 그룹의 새로운 전무이사로 임명했다.헌트의 임명은 이 기간 동안 그 사업에 대한 지배력과 지배력을 쌓고 있던 크라이슬러사의 지원으로 이루어졌다.[15]
크라이슬러
1964년 6월 루테스 모터스는 크라이슬러 사가 현재 주주들에게 시장가격의 두 배인 30퍼센트의 이자를 주고 비투표 우선 자본에 50%의 지분을 시장가격의 거의 세 배에 달할 것이라고 발표했다.그 구매는 영국에게 통제권을 넘겨줄 것이다.[16]완성되면 루테스 가문은 여전히 크라이슬러 사를 능가할 것이다.[17]구매는 1964년 10월에 완료되었다.1966년에는 보통주의 45%, 비투표주의[18] 65%로 보유지분을 늘렸고 1967년 1월에는 루테스모터스 자본의 약 3분의 2로 보유지분을 늘렸다.[19]Rootes Motors Limited – Chriser UK Limited의 새로운 이름은[20] 1970년 6월 30일 자정부터 발효되었다.[21]
크라이슬러(1967-78년)
루테스의 사망은 런던에 있는 BLSP 공장에서 산업 관계 문제로 인한 손실로부터 시작되었고, 공급망을 무너뜨린 연쇄적인 문제가 있었다.[22]1960년대 중반까지 루테스는 곤경에 처한 imf의 상업적 실패 속에서 막대한 손실을 입은 후 미국의 크라이슬러 주식회사에 의해 점진적으로 인수되었다.이 회사의 회계연도는 7월 31일까지 계속되었고, 1967년 7월 31일에 끝난 해에 루테스는 겨우 380만 파운드의 세전 이윤을 신고할 수 있었다.[23]이는 1964년 이후 처음으로 보고된 이익이며 1966년에 끝나는 해에 1070만 파운드의 프리택스 손실과 비교된다.[23]새로운 모델 투자를 위한 자금 부족은 그 회사의 마지막 10년 동안 두드러진 특징이었다.
크라이슬러는 또한 최대 라이벌인 포드나 GM과 같은 완전히 독립적인 유럽법인을 갖고 싶어하기 때문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그 회사를 장악하고 싶어했다.크라이슬러는 프랑스의 심카와 스페인의 바레이로스를 동시에 인수해 루테스(현재의 '크라이슬러 영국'으로 개칭)와 합병해 크라이슬러 유럽을 만들었다.1971년까지 루스라는 이름은 거의 사라졌고, 1970년대에 다른 브랜드 이름들은 점차적으로 폐지되었다.1977년까지 힐만만이 남았는데, 그 때 역시 크라이슬러라는 이름으로 보류되었다.코메르라는 이름도 1970년대에 단계적으로 폐지되었는데, 1976년까지 이 그룹의 밴과 트럭 모델들이 대부분 닷지 명판을 사용하고 있다.
자서전인 아이아코카에서 리 아이아코카 전 크라이슬러 회장이 루테스 작전에 대해 폄하하면서 크라이슬러가 절대 사지 말았어야 했다고 썼다.크라이슬러 UK는 힐만 어벤저(1970년 도입)와 힐만 헌터(1966년 도입)와 같은 다양한 후륜 구동 패밀리 카를 계속 사용했고, 지금까지도 그 들끓는 문제를 대부분 해결했던 imf는 새 경영진으로부터 대부분 무시당했다.imf의 상업적 기회는 피아트 127, 르노 5 등 1970년대 초 신규 수입품이 출시돼 영국 시장에서 수입차 인기 상승을 주도했던 것에서 도움이 되지 않았다.
1960년대 후반, 크라이슬러는 미국에서 루트즈 자동차를 판매하기 위해 노력했다.이러한 노력은 성공하지 못했다.미국에서의 마케팅은 1968년 일부 기간 동안 루테스 자동차가 배기 가스 배출 요구 사항을 준수하지 못했기 때문에 판매용으로 자동차를 제공할 수 없었기 때문에 제약을 받았다.
1970년대 초 준중형차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크라이슬러는 북미의 힐만 어벤져를 플리머스 크리켓으로 내세웠다.이 시도는 불과 2년 만에 중단되었다.동시에, 크라이슬러의 닷지 사업부는 일본 미쓰비시로부터 공급받은 "하위기업"으로 닷지 콜트를 제공했다.콜트는 크리켓의 종말을 재촉하면서 인기 있고 신뢰할 수 있는 자동차를 증명했다.
그러나 아르헨티나의 크라이슬러사는 힐만 어벤저 기반의 도지 1800을 제조하기 시작했고, 이 차는 1990년까지 계속 생산되었다.지난 10년간의 생산 기간 동안 폴크스바겐은 그 회사가 크라이슬러의 아르헨티나 사업을 인수한 후 폴크스바겐으로 전락했다.1980년까지 브라질 변종도 있었다.
1970년대 초까지 크라이슬러 유럽은 영국과 프랑스 공장에서 생산되고 관련 시장에서 크라이슬러와 심카 양쪽에서 판매되는 두 개의 새로운 패밀리 카 제품군을 개발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었다. 이는 경쟁사인 포드와 제너럴 모터스가 가지고 있던 영국과 독일 모델의 통합과 유사하다.ng를 그때 빼다
크라이슬러 알프스(프랑스에서는 심카 1307/1308로 판매)는 1975년 도입돼 파리 근교 푸아시에 있는 옛 심카 공장뿐 아니라 라이튼의 옛 루테스 공장에서 생산됐다.크라이슬러 선빔은 어벤저 바닥판 기반의 3도어 해치백으로 1977년 힐만 imf의 후임으로 도입됐다.또한 크라이슬러 UK는 크라이슬러의 유럽 제품군 설계에 상당한 기여를 했다.알프스와 선빔뿐만 아니라 알프스의 살롱 파생상품, 탈봇 솔라라라(1980년 초 크라이슬러가 유럽 사업장을 푸조에 매각한 후 출시), 크라이슬러/심카 호라이즌 등이 있었다.알프스와 호라이즌은 둘 다 "올해의 유럽 자동차"로 뽑혔고, 호라이즌은 크라이슬러에 매우 성공적이었으며 10년 이상 다양한 기구에서 생산을 계속했던 미국의 플리머스 호라이즌과 닷지 옴니의 기본이었다.
imf는 1976년에 마침내 단종되었고, 헌터는 3년 후에 그 뒤를 따랐다(이란에서 계속 생산되었지만).실제로 이란판 자동차의 부품은 1980년대 동안 영국의 성공적인 수출이었다.
비록 알프스의 이름은 여전히 사용 중이고 후에 알프스와 솔라라 특별판 모델인 민스와 라피어가 붙여졌지만, 1977년에 출시된 어벤져 기반의 크라이슬러 선빔 해치백만이 루츠 계통을 존속시켰다.라피어 이름에 대한 권리는 회사의 후계자들에게 남아 있었고, 몇 개의 한정판 푸조 모델에서 결국 다시 부활되었다.205년형, 405년형, 605년형 SRI 모델의 특별한 Sceptre판도 있었다.이것은 60년대 살롱의 사이드 플레쉬에 크롬 효과 Sceptre 필기체를 가진 검은색 플라스틱 배지를 사용했다.푸조 자동차의 경우, 프론트 윙의 부틀리드 및 하부 후면에 스셉트레 배지를 적용했다.
크라이슬러는 1970년대의 대부분을 루트와 심카 지역을 하나의 일관성 있는 전체로 통합하려고 노력하는데 실패했었다.영국 사단의 전통적인 공학적 후륜 구동 자동차는 영국 밖에서는 제한적이었지만, 12년 동안 국내에서 총 3만 대가 팔린 최초의 자동차인 어벤저와 헌터는 뉴질랜드에서 비교적 성공적이었다.헌터 생산은 1979년까지 아일랜드에서 계속되었고, 이란 호드로에 의해 이란에서 페이칸으로 몇 년 더 건설되었다.
불행하게도, 미국에서 문제가 발생하면서, 크라이슬러는 그들의 제품군 전체를 새로 고치는 데 투자할 자본이 없었고, 더 현대적인 경쟁으로 인해 오래된 디자인의 판매는 정체되었다.또한 생산시설은 구식이고, 산업관계 문제는 지속적이며, 품질에 대한 평판이 좋지 않았다.[citation needed]
대규모 손실과 공장이 문을 닫을 경우 주변 지역의 높은 실업률이 발생할 위험에도 불구하고 라이튼과 린우드 공장은 정부의 잦은 구제금융 대상이었다.
푸조 (1978–2007)
정부의 지원에도 불구하고, 크라이슬러 유럽에 대한 문제의 가중치는 1977년에 그것의 붕괴를 초래했고, PSA 푸조-시트로엥의 1978년 인수로 이어졌다.PSA는 곧 문제가 된 스코틀랜드의 린우드 공장에 대해 도끼를 휘둘렀고, 루테스의 역사책에서 탈봇 마크를 꺼내 이전의 크라이슬러와 심카의 불량 모델들을 다시 배지했다.라이튼이 구조되는 동안 PSA는 중형 상용차에는 별 관심을 갖지 않았고 르노의 트럭 부문과 연계해 구 코메르/도지/캐리어 트럭 및 밴 공장이 운영되었다.도지에서 유래한 마지막 트럭(최근 르노로 악화된)을 철수시킨 후 르노 베히쿨레스 인더스트리엘스의 엔진 생산 공장이 되었다.
[필요하다]
푸조의 소유로 단종된 최초의 루츠 모델은 1979년 헌터였으며, 이후 생산 공구는 이란으로 넘어가면서 페이칸이 현지 생산에 들어갔으며, 2004년까지 계속되었다.[citation needed]중동 전역, 특히 택시로서는 흔히 볼 수 있는 풍경으로 남아 있다.1981년 린우드의 폐쇄는 어벤져에게 (적어도 유럽에서는) 종말을 고했다.크라이슬러는 자동차에 대한 권리를 보유했고 아르헨티나에서 생산을 계속했다.린우드의 죽음은 또한 탈봇 선빔이 생산 4년 만에 죽었다는 것을 의미했다.그 후계자는 푸조 104호를 기반으로 프랑스인이 만든 탤벗 삼바(Talbot Samba)로 1982년 2월 영국에서 판매되기 시작했다.그러나 이 단계에 이르러서는 푸조가 1980년대 중반쯤 시트로엥뿐만 아니라 205 플랫폼에서 탈봇이 불량 슈퍼미니를 출시할 예정이었지만, 푸조는 호평을 받은 새로운 205 슈퍼미니를 공개하는 것이 1년 앞으로 다가왔다.
심카 기반 모델(지평선, 알파인, 솔라라라)은 1979년부터 부활한 탤벗 배지를 사용하여 라이턴에서 계속 제작되었다.그러나 탈봇 배드모델은 1979년 영국 시장에서 약 12만대에서 1984년 약 2만5000대로 판매가 감소하는 동시에 푸조 브랜드가 205대의 성공에 힘입어 강세를 보이고 있는 등 이후 몇 년간 인기가 떨어졌다.
1985년까지 PSA는 승용차에 대한 3마르크 전략을 포기하겠다고 발표했고, 탤벗 애리조나로 개발된 호라이즌 대체차는 1985년 가을 출시 당시 푸조 309호가 되었고, 라이턴 공장에 조립된 최초의 푸조 배드 자동차가 되었다.애리조나의 스타일링은 나머지 레인지와 어울리지 않아 확대된 심카 1108과 흡사했다.탈봇 배지는 승용차에 단종돼 1986년 5월 알파인, 솔라라라, 삼바 등이 모두 생산을 마쳤고, 1년 뒤 마지막 호라이즌 모델들이 스페인과 핀란드의 생산라인을 떠났다.Talbot 브랜드는 푸조와 피아트사이의 모험의 일부인 익스프레스 밴에서 1994년까지 살아남았다.
라이턴 공장은 처음에 유지되어 1987년부터 309번과 나란히 푸조 405호를 조립하는 작업을 계속했으며, 1992년 말 309번지의 후계자(푸조 306호), 그리고 마침내 1998년부터 푸조 206호를 조립했다.
라이튼은 1998년에 마지막 푸조인 206호를 조립하기 시작했다.그 자동차의 성공이 절정에 달했을 때, 그 공장은 수요를 만족시킬 수 있는 용량으로 일하고 있었다.Ryton이 PSA의 전반적인 전략에서 중요한 것은 프랑스와 스페인의 PSA의 주요 공장에 비해 생산 능력이 제한된 조립 작업으로서 특히 두 주요 도로 사이의 위치가 확장을 불가능하게 만들었기 때문이다.
2006년 4월, 라이튼의 미래를 둘러싼 수년간의 추측 끝에 PSA 그룹은 푸조 206의 생산이 슬로바키아로 옮겨지고 라이튼 공장은 내년 안에 문을 닫을 것이라고 발표했다.
그 공장의 생산은 2006년 12월 12일에 중단되었다.라이턴에서 거의 60년 동안 자동차 제조를 해 온 종말을 맞이했고, 자동차 산업의 마지막 남은 루츠 그룹과의 직접적인 연계를 끊었다.공장 폐쇄로 2,000명 이상의 일자리가 없어졌다.얼마 지나지 않아 철거되었다.루테스 그룹의 유일한 물리적 잔재는 크라이슬러 시대에 원래 설립되었지만, 그 후 PSA에 의해 매각되어 현재 재규어 랜드로버가 소유하고 있는 휘틀리 연구 개발 센터뿐이다.[citation needed]
기념
윌리엄 루테스가 1914년에 사업을 시작한 메이드스톤은 2007년까지 루테스라는 이름을 그들의 건물에 간신히 유지했다.1938-39년 루테스용으로 건설되었으며, 2등급으로 등록되어 있다.[note 1]2007년 1월 1일, 비즈니스 그룹 내의 다른 40개 대리점에 맞추어, 이름이 루티스 메이드스톤에서 로빈스 & 데이 메이드스톤으로 변경되었다.로빈스 앤 데이는 프랜차이즈인 많은 자동차 대리점과 반대로 푸조 UK가 전적으로 소유하고 운영하고 있다.[citation needed]
루테스가 코번트리 역사에 기여한 공로는 워릭대학이 코번트리 외곽의 주 캠퍼스 부지에 가장 큰 거주지 중 하나인 루테스 홀을 명명하면서 기념하고 있다.
이 명칭은 1990년대 초 클레멘탈봇 자동차 공장의 래드브로크 그로브 부지 대부분에 건설된 주택 단지인 루츠 에스테이트에 대한 짧은 접근권 안에 살아 있다.[24]재개발의 주요 접근권인 슈루즈베리 가(街)는 클레멘트-탈봇의 설립자인 찰스 체트윈드-탈봇(20대 슈루즈베리 백작)의 이름을 딴 것이다.제2차 세계대전 직후 클레멘트-탈봇 공장 건물들은 루테스 그룹 런던 행정부와 서비스 창고로 전환되었고, 이후 워릭 라이트가 구입했다.원래의 건물들 중 하나인 탤벗 행정 구역은 현재 래드브로크 홀로 알려져 있으며, 주 출입구 위에 백작의 볏이 높이 솟아 있다.세입자인 선빔 스튜디오는 1938년부터 1939년까지 그리고 1945년부터 1946년까지 그곳에서 잠시 생산된 선빔-탈봇 자동차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주택가에는 험버 드라이브(Humber Drive)와 힐만 드라이브(Hillman Drive)라는 짧은 링크가 있고, 작은 공원 양쪽에 선빔 초승달이 있다.
참고 항목
메모들
- ^ "루테스 자동차 전시장과 작업장, Maydstone은 다음과 같은 주요 이유로 2등급에 지정되었다. * 이 건물은 모더니스트 자동차 전시장과 원래 원단의 상당 부분을 보유하고 있는 워크샵의 예로서 건축적인 관심을 받고 있다.* 이 건물은 렌밀 연못에 인접한 웅대한 규모와 마을 중심 위치, 그림 같은 배경 등으로 건축적 관심이 높은 건물로, 이 초기 자동차 산업과 관련된 다른 건물들과 구별된다.* 이 건물은 매우 성공한 영국의 자동차 제조업체의 두드러진 표현으로, 자동차 소유 확대가 국가의 물리적, 사회적 구조에 혁명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던 시기에 지어졌다."History England 접속 2019년 4월 26일
참조
- ^ a b c d 버터워스 J. B. (Bloomfield G.T.) "루츠, 윌리엄 에드워드, 최초의 남작 루츠 (1894–1964)"옥스포드 국립 전기사전, 2004. 옥스포드 대학 출판부.온라인 접속을 위해서는 가입 또는 도서관 접속이 필요할 수 있다.2015년 8월 9일 접속
- ^ 코벤트리 표준 1956년 6월 29일
- ^ a b c d e f g 프로스펙투스, Rootes Motors Limited.The Times, 1949년 11월 21일; 페이지 8; 이슈 51544
- ^ Motor-Cars, The Times, 화요일, 1927년 5월 3일, 페이지 2; 이슈 44571
- ^ 켄트와 서섹스 쿠리어, 2008년 4월 25일, 페이지 28
- ^ 로저 로이드 존스, 마린딘 존 루이스, 마크 이슨, 롤리, 영국 자전거 산업: 경제 및 비즈니스 역사, 1870–1960, 애쉬게이트 출판, 2000. ISBN1859284574
- ^ 로버-루트 이동.The Times, 1950년 3월 2일; 페이지 11; 이슈 51629.
- ^ 시티 노트.1949년 11월 21일 월요일; 페이지 8; 이슈 51544
- ^ a b 루츠 모터스 유한회사타임즈, 1950년 12월 29일 금요일; 페이지 10; 이슈 51885
- ^ 뉴스 인 브리프The Times, 1950년 10월 3일; 페이지 6; 51812호
- ^ 시티 노트.The Times, 1950년 10월 3일; 페이지 9; 51812호
- ^ 시티 노트.The Times, 1954년 10월 15일; 페이지 11; 이슈 53063
- ^ 루츠 모터스 유한회사The Times, 1959년 10월 26일; 페이지 17; 이슈 54601
- ^ 가수들을 장악하기 위한 루트.The Times, 1955년 12월 30일; 페이지 8; 53415호
- ^ "News: Rootes MD is Gilbert Hunt". Autocar. 126 (3710): 91. 23 March 1967.
- ^ 자동차 회사의 빅딜.The Times, 1964년 6월 5일; 페이지 12; 이슈 56030
- ^ 루테스 경은 크라이슬러에게 '우리의 시장을 지배하지 말라'고 말했다.The Times, 1964년 6월 8일; 페이지 5: 56032호
- ^ 크라이슬러 펀드는 루츠?The Times, 1966년 12월 6일; 페이지 12; 이슈 56807
- ^ 크라이슬러 루테스 인수 승인The Times, 1967년 1월 18일; 페이지 1; 이슈 56842
- ^ 루트의 손실은 1천만 파운드에 이를 수 있다: 이름은 사라질 것이다.The Times, 1970년 5월 2일; 페이지 11; 이슈 57859
- ^ 비즈니스 다이어리.뿌리의 뿌리 뽑기는 앞으로 나아간다.The Times, 1970년 7월 1일; 페이지 27; 이슈 57906
- ^ "Rootes Group". Everything2.com. Retrieved 25 April 2019.
- ^ a b "News and views: Rootes make a profit". Autocar. 129 (3793)): 99. 24 October 1968.
- ^ 켄싱턴과 첼시의 루츠 에스테이트 로얄 자치구.2019년 4월 26일 접속
외부 링크
![]() | 위키미디어 커먼즈에는 루트 그룹과 관련된 미디어가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