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SS 민다나오(ARG-3)

USS Mindanao (ARG-3)
USS Mindanao (ARG-3) at Norfolk, Virginia (USA), on 16 December 1943 (BS 60181).jpg
1943년 12월 16일 USS 민다나오
역사
미국
이름.
  • 엘버트 허바드
  • 민다나오
동명인
주문된타입 EC2-S-C1 선체로서 MCE 선체 983[1]
빌더메릴랜드볼티모어, 베들레헴 페어필드 조선소
야드번호2133[1]
누웠다1943년 4월 11일
개시.1943년 5월 13일
획득한1943년 5월 20일
위탁.1943년 11월 6일
폐지되었다1947년 5월 17일
스트릭1961년 9월 1일
신분증
운명.
일반적인 특징
종류 및 종류루손급 내연기관 수리선
유형타입 EC2-S-C1
변위
  • 4,023 롱톤 (4,088 t) (경부하)
  • 14,350톤 (14,580t) (풀로드)
길이441피트(134.57m) 6인치
비임56 피트 11 인치 (17.35 m)
초안23피트(7.0m)
설치된 전원
추진력
스피드12.5 kn (23.2 km/h, 14.4 mph) (선박 시험)
보완하다장교 31명, 사병 552명
무장

USS 민다나오(ARG-3)는 1943년부터 1947년까지 미 해군에서 근무한 루손급 내연기관 수리선이다.그녀는 1980년에 인공 암초로 침몰했다.

역사

건설

민다나오필리핀에서 두 번째로 크고 가장 남쪽에 있는 섬인 민다나오 섬에서 이름을 따왔으며, 이 이름을 가진 두 번째 미 해군 함정이었다.1943년 4월 11일 메릴랜드주 볼티모어에 있는 베들레헴 페어필드 조선소(Bethlehem-Fairfield 조선소, Inc.)와 맺은 해사위원회(MARCOM) 선체 983계약에 따라 자유선 엘버트 허바드(SS Elbert Hubbard)로 퇴역하고, 1943년 5월 13일 해군의 후원을 받았다.

태평양 전쟁

체사피크 만에서 셰이크다운된 후, 민다나오는 1943년 12월 20일 태스크 그룹 29.7(TG 29.7)에 합류하여 1944년 1월 27일 쿠바, 파나마 운하, 뉴칼레도니아 누메아로 출항하여 남태평양 서비스 비행대에서 임무를 보고하였다.수리선은 즉시 충분한 작업을 해야 한다는 것을 알았다.2월 25일, 그녀는 에스피리투 산토에서 중요한 임무를 계속하기 위해 출항했고, 9월에는 필리핀 [3]원정을 위한 군대를 위해 마누스에 도착했다.

후드폭발

후드산이 약 350야드(320m) 떨어진 곳에서 폭발한 직후 민다나오에서 구조작업이 진행 중이다.파편 충돌로 큰 구멍이 뚫리는 등 민다나오의 선체와 상부 구조물에 큰 손상을 입힌 것에 주목하십시오.조망권은 항만 구역과 나란히 앞을 내다보고 있다.민다나오는 이 폭발로 180명의 승무원이 사망하고 부상했다.그녀는 1944년 12월 21일까지 수리 중이었다.(왼쪽부터) YPB-6(잠정식별), 2개의 LCVP 및 YPB-7이 나란히 또는 근처에 있습니다.

현재 TG 30.9로 11월 10일 아침 시아들러 항구에 정박하고 있었으며, 이때 탄약선 후드산이 폭발했다.350야드(320m) 떨어진 민다나오는 특히 상부구조물에 큰 손상을 입었다.승무원 중 82명이 사망하고 98명이 [4]부상했다.해안에서 온 시비들과 함께 생존자들은 즉시 부상자들을 구조하고 잔해를 치우기 시작했는데, 이 작업은 7일이 걸렸다.수리는 11월 18일, Seabees와 Medusa에서 온 사람들과 장비들의 도움을 받아 그녀 자신의 선원에 의해 이루어졌다.12월 21일까지 민다나오는 다른 [3]선박의 엔진을 수리하는 주요 기능을 재개할 준비가 되어 있었다.

1945년 2월과 3월에 솔로몬 열도로 짧은 항해를 한 후, 민다나오는 3월 27일 울리티에 도착하여 오키나와 원정을 위한 배를 준비하였다.그곳에서 10월 9일까지 근무하다가 오키나와[3]상하이에 출항했다.

폐로와 운명

점령군 지원 임무를 마치고 민다나오는 1946년 3월 26일 귀국길에 올랐다.그녀는 7월 12일 텍사스 오렌지에 도착하기 전 로스앤젤레스 산 페드로, 파나마 운하 지대발보아콜론, 루이지애나 뉴올리언스, 텍사스 갤버스턴전화를 걸었다.그녀는 1947년 5월 17일 대서양 예비 함대에 합류하기 위해 그곳에서 퇴역했고,[3] 해군 선박 등록부에서 떨어져 1961년 해양 위원회(MARCOM)로 옮겨진 후에도 오렌지에 남아 있었다.1961년 5월 9일 그녀는 텍사스 보몬트있는 국방예비군 함대에 입대하여 1976년 4월 19일까지 머물다가 해군에 의해 장비를 제거당했다.1976년 9월 28일, 민다나오는 1980년 3월 12일 마침내 플로리다의 인공 암초 [5]프로그램의 일부가 되기 위해 철수할 때까지 버지니아 리 홀에 있는 제임스 강 NDRF에 들어갔다.

1980년 11월 11일, 전 민다나오는 플로리다 데이토나 비치 앞바다에 있는 85피트 깊이의 수심 26m의 인공 암초를 형성하기 위해 급습되었다.29°12.00°N 80°44.87°W / 29.20000°N 80.74783°W / 29.200°N 80.74783 좌표: 29°12.00°N 44.87°W / 29.200°N 80.74783km

메모들

  1. ^ a b 베들레헴 페어필드 2008.
  2. ^ Navsource 2017.
  3. ^ a b c d e DANFS 2015.
  4. ^ 길레, 1963년 2월, 페이지 89
  5. ^ Marad.
  6. ^ 리프 2008.

참고 문헌

온라인 자원

  • "Mindanao II (ARG-3)". Dictionary of American Naval Fighting Ships. Naval History and Heritage Command. 10 August 2015. Retrieved 5 May 2017.Public Domain 이 문서에는 퍼블릭 도메인에 있는 이 소스로부터의 텍스트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 "Bethlehem-Fairfield, Baltimore MD". ShipbuildingHistory.com. 14 August 2008. Retrieved 4 May 2017.
  • "USS Mindanao (ARG-3)". Navsource.org. 3 March 2017. Retrieved 5 May 2017.
  • "MINDANAO (ARG-3)". United States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Retrieved 5 May 2017.
  • "Artificial Reef Sites Information". Volusia County Reef Research Dive Team Inc. 17 April 2008. Retrieved 27 July 2008.

외부 링크

  • NavSource Naval History의 USS 민다나오(ARG-3) 사진 갤러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