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SS 호키암 (PF-5)

USS Hoquiam (PF-5)
USS Hoquiam (PF 5).jpg
1944년 6월 14일 캘리포니아 발레조 마레아일랜드 해군 야드에서 열린 USS 호키암호.
역사
미국
이름호키암
네임스케이크워싱턴 호키암
주문된타입 S2-S2-AQ1 선체, MCE 선체 1423[1]
빌더캘리포니아 리치몬드, 퍼머넌트 메탈스 리치몬드 조선소 4위
야드 번호48[1]
눕다1943년 4월 10일
재분류됨초계함(PF), 1943년 4월 15일
시작됨1943년 7월 31일
후원자:미스 헬렌 필브릭
커미셔닝됨1944년 5월 8일
해체됨1945년 8월 16일
식별
운명1945년 8월 16일 소련 해군으로 이양됨
소비에트 연방
이름EK-13[b]
획득한1945년 8월 16일
커미셔닝됨1945년[a] 8월 16일
해체됨1949년 11월 1일
운명1949년 11월 1일 미국으로 돌아왔다.
미국
이름타코마
획득한1949년 11월 1일
다시 실행됨1950년 9월 27일
해체됨1951년 10월 5일
스트리킨1972년 8월 1일
명예와
상을 주다
청동-서비스-별-3d.png 한국전 참전용사전투별
운명대한민국 해군, 1951년 10월 6일 이전
대한민국.
이름내통
획득한1951년 10월 6일
식별헐 기호: PF-65
운명1973년 폐기
일반적 특성
클래스 및 유형 타코마급 호위함 초계함
변위
  • 1,450 t (1,450 t) (경량 하중)
  • 2,415톤의 길이(2,454 t) (완전 하중)
길이303피트 11인치(92.63m)
37피트 6인치(11.43m)
초안13피트 8인치(4.17m)
설치된 전원
추진
속도20.3kn(37.6km/h, 23.4mph)
보완190
무장을

1944년부터 1945년까지, 1950년부터 1951년까지 타코마급 초계함 USS 호키암호(PG-113/PF-5)는 워싱턴 호키암호에 이름을 올린 미 해군의 유일한 함선이다.그녀는 또한 EK-13으로 소련 해군에서, 대한민국 해군에서 ROKS 내통 (PF-65)으로 복무했다.

건설 및 커미셔닝

호키암은 1943년 4월 10일 캘리포니아주 리치몬드 소재 퍼머넌트메탈리스몬드조선소 #4에 의해 해양위원회(MARCOM) 계약 1423호에 의해 하역되었고, 1943년 4월 15일 경비정 PG-113으로 재분류되었다.1943년 7월 31일에 발사되었고, 헬렌 필브릭 양이 후원한 호키암은 1944년 5월 8일에 임관되었으며, USCG의 P. E. 트림블 중령이 지휘를 맡았다.[3]

서비스 이력

미 해군, 제2차 세계 대전, 1944-1945년

호키암은 남부 캘리포니아 해안에서 표류한 후 1944년 8월 20일 캘리포니아주 샌프란시스코를 출발하여 워싱턴주 시애틀을 호출하고 알래스카주 코디악에 도착하여 1944년 8월 27일 알래스카주 알래스카주 코디악에 도착하여 알래스카주 해안에서 임무를 수행하였다.[3]1945년 3월 8일, 그녀는 두 명의 흑인 장교와 30명의 색색의 사병들과 함께 지휘를 하기 위해 해안경비대 중령 칼튼 스키너가 도착하면서 남북전쟁 이후 두 번째로 인종적으로 통합된 미국 해군 군함이 되었다.[4][5][6]

호퀴엄 섬 바다는 알래스카 해안을 따라 6월 1945[3] 때 – 소련 해군 프로젝트 훌라에서, 미국 해군 선박의 소비에트 연방 해군 콜드 베이, 알래스카,에서 소련을 기대하고 일본과의 전쟁에 입단 이전에 대한 비밀 프로그램에 전달 – 그 여자는 시애틀에 overha을 마쳤다로 선정되는 것까지patrolled.ul전근 준비를 하기 위해서요그 후 그녀는 콜드베이로 가서 새로운 소련 승무원들을 훈련시키기 시작했다.[7]

소련 해군, 1945-1949년

Following the completion of training for her Soviet crew, Hoquiam was decommissioned on 16 August 1945, at Cold Bay, and transferred to the Soviet Union under Lend-Lease immediately along with her sister ships Tacoma (PF-3), Sausalito (PF-4), Pasco (PF-6), Albuquerque (PF-7), and Everett (PF-8).즉시 소련 해군에 임관한 호키암스토로제보이 코라블("에스코트선")으로 지정되어 소련군 복무 중 EK-13으로[b] 개칭되었다.[a]그녀는 곧 소비에트 연방의 페트로파블롭스크캄차츠키행 콜드베이를 출발하여 소련 극동 지역에서 초계함으로 근무했다.[7]

1946년 2월, 미국은 제2차 세계대전 동안 사용하기 위해 소련에 빌려준 선박의 반환 협상을 시작했다.1947년 5월 8일, 미국 해군 장관 제임스 5세. 포레스타일은 미 해군이 제2차 세계대전을 위해 소련으로 이양한 585척의 전투함 중 480척을 EK-13으로 돌려주길 원한다고 미 국무부에 통보했다.선박 반환 협상이 장기화되었으나 1949년 11월 1일 소련은 마침내 일본 요코스카에서 미 해군에 EK-13을 반환했다.[7]

미 해군, 한국전쟁, 1950-1951년

호키암은 예전 이름으로 되돌아가 1950년 6월 25일 한국전쟁이 발발할 때까지 요코스카의 태평양 예비군 함대에서 놀고 있었다.그녀는 1950년 9월 27일 중령 E. A. 레인을 지휘하고 다시 지휘했다.잠시 쉬쉬한 후, 그녀는 한국을 떠나 유엔 해군 부대에 입대하기 위해 떠났다.1950년 10월 25일 원산 앞바다에 도착한 그녀는 수륙양용 상륙을 하는 동안 항만통제선 및 검열선 역할을 했다.이후 두 달 동안 그녀는 한국 북동쪽 해안을 따라 순찰, 호위, 항만 통제, 통신 업무를 수행했다.[3]

1950년 12월 말, 호키암은 일본으로 떠나기 전 흥남에서 피난하는 동안 항만 통제 작전을 도왔다.1950년 12월 30일 요코스카에 도착한 그녀는 간단한 점검을 받은 뒤 1월 말부터 1951년 3월 초까지 일본 연안에서 드론 표적함 역할을 했다.그녀는 1951년월 8일 한국 해역으로 돌아왔고 이후 6개월동안 원산 송진까지 동해안을따라 운항했다.그녀는 적의 해안선을 파괴하기 위해 고안된 침입과 괴롭힘 순찰에 참여했고, 원산 앞바다에서 대잠수함전 작전을 수행했으며, 적의 해안 시설과 해안 보급로를 폭격했다.[3]

1951년 5월 7일 적의 해안 지대와 교전하던 중, 호키암은 포화에 의해 피해를 입었다.그녀는 일본으로 돌아가 수리차 1951년 5월 16일 요코스카에 도착했다.수리를마치고 1951년 6월 4일 출국해 일본 사세보를 방문한 뒤 원산으로 이동해 1951년 6월 10일 도착,폭격과요격 임무를 재개했다.그녀는 1951년 9월까지 동해안을 순찰했다.1951년 9월 9일 요코스카로 돌아온 후, 1951년 10월 5일 해직되었다.[3]

대한민국 해군, 1951-1973

해체되자마자, 그 배는 즉시 대한민국에 임대되었고, 미 해군은 결국 1972년 8월 1일 해군 함정 등록부에서 그녀의 이름을 쳤다.1951년부터 1973년 폐기될 때까지 대한민국 해군에서 내통(PF-65)으로 복무했다.[2]

수상

미 해군은 호키암에게 한국전 참전용사 5명을 수여했다.[3]

메모들

  1. ^ a b 냉전 기간 동안 사용할 수 없는 소비에트 시대의 기록에 대한 접근을 포함하는 프로젝트 훌라: 일본과의 전쟁에 있어서의 소련-미 비밀 협력에 따르면, 프로젝트 훌라함은 미국 해군으로부터의 이전과 동시에 소련 해군에 임관되었다; 다양한 대형 인판들의 이전과 관련하여 24페이지의 사진 캡션을 참조하라.착륙선(LCI(L))과 27페이지의 코로나도(PF-38)의 이적에 관한 정보를 시도해 보았는데, 이 정보는 러셀이 이양 과정을 전형적으로 나타낸 것이라고 한다.As sources, Russell cites Department of the Navy, Ships Data: U.S. Naval Vessels Volume II, 1 January 1949, (NAVSHIPS 250-012), Washington, DC: Bureau of Ships, 1949; and Berezhnoi, S. S., Flot SSSR: Korabli i suda lendliza: Spravochnik ("The Soviet Navy: Lend-Lease Ships and Vessels: A Reference"), St. Petersburg, Russia:벨렌, 1994년
  2. ^ a b 미국 해군 전투함대 Hoquaim [3]사전에는 Hoquaiam이 소련군에서 EK-14로 명명되었고 NavSource Online: 프리깃 포토 아카이브 호콰임(PF 5)[2]PG-113은 이런 말을 되풀이하지만,[7] 냉전 기간 동안 사용할 수 없는 소련 시절의 기록에 대한 접근을 포함하는 프로젝트 훌라: 대일전쟁에서의 소련-미 비밀협력은 이 배의 소련 이름이 EK-13이었다고 보고한다.As sources, Russell cites Department of the Navy, Ships Data: U.S. Naval Vessels Volume II, 1 January 1949, (NAVSHIPS 250-012), Washington, DC: Bureau of Ships, 1949; and Berezhnoi, S. S., Flot SSSR: Korabli i suda lendliza: Spravochnik ("The Soviet Navy: Lend-Lease Ships and Vessels: A Reference"), St. Petersburg, Russia:벨렌, 1994년

참조

  1. ^ a b 2014년 카이저 4호.
  2. ^ a b c Navsource.
  3. ^ a b c d e f g h DANFS 2015.
  4. ^ "Hoquiam (PF 5)". NavSource Naval History. Retrieved 20 September 2020.
  5. ^ Thiesen, William H. (23 February 2017). "The Long Blue Line: Coast Guard Officers Jenkins and Russell—Trailblazers of Ethnic Diversity in the American Sea services". U.S. Coast Guard. Retrieved 20 September 2020.
  6. ^ Thiesen, William H. (26 October 2017). "The Long Blue Line: Cutters Sea Cloud and Hoquiam—Barrier-breaking ships in U.S. Desegregation". U.S. Coast Guard. Retrieved 20 September 2020.
  7. ^ a b c d 러셀 1997, 페이지 39.

참고 문헌 목록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