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즈 라틴어 알파벳

Gaj's Latin alphabet
가즈 라틴어 알파벳
가예바 라틴어
스크립트유형
기간
19세기 초 ~ 현재
언어들세르보크로아티아어
관련 스크립트
상위 시스템
차일드 시스템
슬로베니아 문자
몬테네그로 라틴 문자
마케도니아어 라틴 문자
유니코드
라틴어의 부분 집합
이 기사는 국제 음성 알파벳(IPA)음성 표기를 포함합니다. IPA 기호에 대한 소개 가이드는 도움말을 참조하십시오.IPA. [ ], / ⟨ ⟩의 구분은 IPA § 괄호 및 전사 구분자를 참조하십시오.

가즈의 라틴어 알파벳(세르보-크로아티아어: 가예바 라틴리카 / г ајева латиница, ɡ ː ě바 라트 ǐ니차(, абецеда: ěː) 또는 가지카(, ɡǎ어: гајица어, ɡǎ지차)는 세르보크로아티아어와 그 모든 표준어를 쓰는 데 사용되는 라틴 문자의 형태입니다. 보스니아어, 크로아티아어, 몬테네그로어, 세르비아어.

이 알파벳은 1835년 크로아티아언어학자 류드비트 가지(Ludevit Gaj)에 의해 최초고안되었습니다. 그것은 주로 얀 후스의 체코 문자에 기반을 두었고, 그 당시 오스트리아 제국 내에 있던 크로아티아, 달마티아, 슬라보니아, 그리고 역사적으로 다른 철자 규칙을 사용했던 그들의 세 방언 그룹인 카제이카비아, 차카비아, 슈토카비아의 통합된 맞춤법 역할을 하기 위한 것이었습니다.

약간 수정된 버전은 나중에 비엔나 문학 협정에 따라 세르보-크로아티아 표준어의 공식 라틴어 표기 체계로 채택되었습니다. 그것은 Vuk의 키릴 문자와 함께 유고슬라비아통일된 남슬라브 국가의 공식 문자 중 하나였습니다.

슬로베니아어의 알파벳은 약간 축소된 버전이 사용되고, 현대 표준 몬테네그로어는 약간 확장된 버전이 사용됩니다. 마케도니아어의 로마자 표기를 위해 수정된 버전이 사용됩니다. 그것은 동남 유럽에서 사용되는 로마어의 알파벳, 즉 VlaxBalkan Romani에 더 영향을 미쳤습니다.

편지들

알파벳은 30개의 대문자와 소문자로 구성됩니다.

대소문자 형식(대소문자 또는 대문자라고도 함)
A B C 츠치 츠치 D E F G H I J K L Lj M N Nj O P R S T U V Z Ž
작은 형태(소문자 또는 작은 글자라고도 함)
a b c č 츠치 d d đ e f g h i j k l lj m n nj o p r s š t u v z ž
IPA 값
/a/ /b/ /t ͡/ /t͡ʃ/ (/t͡ʂ/) /t͡ɕ/ /d/ /d͡ʒ/ (/d͡ʐ/) /d ͡ʑ/ /e/ /f/ /ɡ/ /x/ /i/ /j/ /k/ /l/ (/ ɫ/) /ʎ/ /m/ /n/ /ɲ/ /o/ /p/ /r/ /s/ /ʃ/(/ʂ/) /t/ /u/ /v/ /z/ /ʒ/(/ʐ/)
Gaj의 라틴 알파벳은 ISO 기본 라틴 알파벳에서 4자(q,w,x,y)를 생략합니다.

가즈의 원래 알파벳에는 ⟨디 ⟩라는 디그래프가 포함되어 있었는데, 세르비아의 언어학자 주로 다니치치는 나중에 ⟨디 ⟩라는 문자로 대체했습니다.

문자에는 이름이 없으며, 보통 철자가 필요할 때(또는 짧은 schwa, 예를 들어 /f ə/) 자음이 이와 같이 발음됩니다. 명확성이 필요할 때는 독일어 알파벳 a, be, ce, č, ć, de, d že, dé, e, ef, ge, ha, i, je, ka, el, em, enj, o, pe, er, es, eš, te, u, ve, ze, že와 비슷하게 발음됩니다. 개별 글자의 발음에 대한 이러한 규칙은 ISO 기본 라틴 알파벳과 일치하는 22개의 글자에 관한 한 일반적입니다. 기타의 사용은 대부분 언어학의 맥락에 국한되는 반면, 수학에서는 독일어처럼 ⟨ ⟩가 일반적으로 조트로 발음됩니다. 누락된 네 글자는 다음과 같이 발음됩니다: ⟨q ⟩는 ku 또는 kju, ⟨w ⟩는 doublve, duplov 또는 duplove, ⟨x ⟩는 iks, ⟨리 ⟩는 ipsilon으로 발음됩니다.

, ⟨ž⟩, ⟨치 ⟩ 및 ⟨드 ž⟩는 소리 [ʂ], [ʐ], [t ʂ] 및 [d ʐ]을 나타내지만 종종 /ʃ/, /ʒ/, /t ʃ/ 및 /d ʒ/로 전사됩니다.

디그래프

d ž⟩, j nj 는 단일 문자로 간주됩니다.

  • 사전에서 njegov는 ⟨ ⟩ 섹션이 끝난 후 별도의 ⟨ j ⟩ 섹션에서 novine 다음에 오고, bolje는 bolnica 다음에 오고, nad žak(디그래프 ⟨ ž⟩)는 nad živjeti(prefix nad-) 다음에 옵니다.
  • 단어의 첫 글자만 대문자로 표시되는 경우 두 구성 요소 문자 중 첫 글자만 대문자로 표시됩니다. 은제마치카('독일')가 아닌 은제마치카. 유니코드에서 ⟨Nj ⟩이라는 형식은 대문자 형태의 ⟨NJ ⟩와 반대로, 제목과 대문자가 다른 몇 안 되는 경우 중 하나를 나타냅니다. 대문자는 전체 단어가 대문자로 된 경우에만 사용됩니다. NJEMACHKA.
U
LJ
  • 세로쓰기(표지판과 같은)에서는 ž⟩ ⟩, ⟨ ⟩, ⟨nj ⟨를 단위로 가로로 씁니다. 예를 들어 ulj('oil')를 세로로 쓰면 두 번째 줄에 ⟨ ⟩이 나타납니다. 십자말 퍼즐, ⟨ ž⟩, ⟨ ⟩, ⟨ ⟩은 각각 하나의 정사각형을 차지합니다.
  • 각 문자 사이에 공백(예: 기호)을 사용하여 단어를 작성하는 경우 각 디그래프는 단위로 작성됩니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습니다. ULJ.

오리진스

크로아티아의 언어학자 류데빗 가즈

세르보-크로아티아어 라틴어 알파벳은 대부분 류데비트 가즈에 의해 설계되었으며, 류데비트 가즈는 체코어(č, ž어, ))와 폴란드어(ć, after)를 본떠서 , ⟨어 ⟩, ⟨어 ž⟩를 발명했습니다. 1830년, 그는 부가에서 최초의 일반적인 크로아티아어 맞춤법 책인 크라트카오스노바 호르바츠코-슬라벤스코그 프라비산자("Kratka osnova horvatsko-slavenskog pravopisanja")를 출판했습니다. 이것은 라즈문트 다만치(1639), 이그냐트 주르제비치(Ignjat Durjević), 파바오 리터 비테조비치(Pavao Ritter Vitezović)의 작품이 선행되었기 때문에 크로아티아어로 된 최초의 맞춤법 작업은 아니었습니다. 크로아트인들은 이전에 라틴 문자를 사용했지만, 특정한 소리들 중 일부는 균일하게 표현되지 않았습니다. 헝가리 알파벳의 버전이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었지만 다른 버전들도 종종 혼동되고 일관되지 않은 방식으로 사용되었습니다.

가즈는 파바오 리터 비테조비치의 예와 체코어 맞춤법을 따랐고, 언어의 각 소리마다 라틴 문자의 한 글자를 만들었습니다. 19세기 초 부크 카라드 ž리치가 키릴 문자를 개혁한 후, 1830년대 류드비트 가지는 라틴어에도 같은 일을 했고, 체코어 체계를 사용하여 키릴 문자와 라틴어 정사 사이의 일대일 자소-음소 상관 관계를 만들어 병렬 체계를 만들었습니다.

주로 다니치치는 1880년에 출판된 그의 Rjéznik hrvatskoga ili srpskoga jezika (크로아티아어 또는 세르비아어 사전)에서 가지의 디그래프인 ž⟩, , , 를 각각 ⟨ģ⟩, , ⟨ń⟩로 대체해야 한다고 제안했습니다. 원래의 가지 알파벳은 결국 수정되었지만, 디그래프 ⟨dj ⟩만 다니치치의 ⟨dj ⟩로 대체되었고, ⟨d ⟨, ⟨dj ⟩ 및 ⟩nj ž⟩은 유지되었습니다.

키릴 문자와 라틴 문자의 대응 관계

다음 표는 세르보-크로아티아 키릴 문자와 국제음향문자(IPA) 값의 동등한 형태와 함께 가즈의 라틴 문자의 대문자와 소문자 형태를 제공합니다. 문자에는 이름이 없으며, 일반적으로 철자가 필요할 때는 자음을 이렇게 발음합니다(또는 짧은 슈와 뒤에 / ʃə/).:

키릴 문자 라틴어 IPA값
А а /ä/
Б б /b/
В в 브이브이 /ʋ/
Г г 으으으으으으으으으으으으으으으으으으으아 /ɡ/
Д д D /d/
Ђ ђ đ /d ʑ/
Е е 으으으으으으으으으으으으으으으으으으으. /e/
Ж ж Ž ž /ʒ/
З з 즈즈 /z/
И и 아이 /i/
Ј ј /j/
К к ㅋㅋ /k/
Л л Ll /l/
Љ љ Ljlj /ʎ/
М м 음. /m/
키릴 문자 라틴어 IPA값
Н н /n/
Њ њ Njnj /ɲ/
О о 으으으으으으으으으으으으으으으으으으으. /ɔ/
П п 삐삐 /p/
Р р r /r/
С с /s/
Т т Tt /t/
Ћ ћ 이치치 //
У у 우우 /u/
Ф ф F. /f/
Х х 흐흐 /x/
Ц ц cc /ts/
Ч ч 츠치 //
Џ џ D ž드 /d ʒ/
Ш ш 슈슈 /ʃ/

컴퓨팅

1990년대에는 컴퓨터에서 라틴 크로아티아어로 텍스트를 작성하는 데 사용할 적절한 문자 인코딩에 대한 일반적인 혼란이 있었습니다.

  • 7비트의 "YUSCII", 나중에 "CROSCII"를 적용하려고 시도했지만, 5개의 비문자 문자([, }, }, @)를 희생시키면서 5개의 문자를 쌍비문자로 포함시켰지만, 결국 성공하지 못했습니다. 아스키 문자 @가 A 앞에 정렬하기 때문에 ž에다(ž=frog, abeceda=alphabet)라고 부르는 농담이 이어졌습니다.
  • 다른 단기 공급업체별 노력도 수행되었습니다.[which?]
  • 8비트 ISO 8859-2 (Latin-2) 표준은 ISO에 의해 개발되었습니다.
  • MS-DOS는 ISO 표준을 무시하고 중앙유럽 언어에 8비트 인코딩 CP852를 도입했습니다.
  •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CP1250이라는 또 다른 8비트 인코딩을 확산시켰는데, CP1250은 ISO 8859-2와 일대일로 매핑된 몇 개의 문자를 가지고 있었지만 다른 곳에도 매핑된 일부 문자를 가지고 있었습니다.
  • AppleMacintosh Central European 인코딩에는 Gaj의 라틴 알파벳 전체가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대신 MacCroatian 인코딩이라는 별도의 코드 페이지가 사용됩니다.
  • EBCDIC에는 라틴어-2 인코딩도 있습니다.[5]

오늘날 크로아티아어에서 선호되는 문자 인코딩ISO 8859-2 또는 유니코드 인코딩 UTF-8(2바이트 또는 16비트)입니다. 그러나 2010년 현재에도 CP1250, CP852 또는 CROSCII를 사용하는 데이터베이스뿐만 아니라 프로그램을 찾을 수 있습니다.

디그래프 d ⟨, ⟩lj ⟨ 및 ⟩nj ž⟩의 대문자, 제목 소문자 및 소문자 형태에는 아래 표와 같이 전용 유니코드 코드 포인트가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코드 포인트는 주로 키릴 문자와 일대일 대응을 유지하는 기존 인코딩과의 하위 호환성을 위해 포함됩니다. 현대 텍스트는 일련의 문자를 사용합니다.

성격
순서
합성
성격
유니코드
코드 포인트
D ž DŽ U+01C4
Dž U+01C5
d dž U+01C6
LJ LJ U+01C7
Lj Lj U+01C8
lj lj U+01C9
엔제이 NJ U+01CA
Nj Nj U+01CB
nj nj U+01CC

슬로베니아어 용법

1840년대 초부터 가즈의 알파벳은 슬로베니아어에 점점 더 많이 사용되었습니다. 처음에는 슬로베니아어를 세르보크로아티아어(Stanko Vraz 등)의 변종으로 취급한 슬로베니아어 작가들이 가장 많이 사용했지만, 이후 슬로베니아어 작가들이 이를 수용했습니다. 이 돌파구는 1845년 슬로베니아의 보수 지도자 야네즈 블레이바이스(Janez Bleiweis)가 로코델스케 초보자("농업과 장인 뉴스")의 저널 크메티스케(Kmetijske)에 가즈의 대본을 사용하기 시작했을 때부터 시작되었습니다. 1850년까지 가즈 문자(슬로베니아어로 가지카 문자)는 1830년대부터 슬로베니아 땅에 유통되었던 세 가지 다른 문자 체계를 대체하면서 유일한 공식적인 슬로베니아 문자가 되었습니다: 그것을 성문화한 아담 보호리치의 이름을 딴 전통적인 보호리치카; 피터 다인코의 이름을 딴 다인치카; 그리고 메텔치카, 이름은 Franc Serafin Metelko에서 따온 것입니다.

슬로베니아어 버전의 가즈 문자는 세르보크로아티아어와 몇 가지 점에서 다릅니다.

  • 슬로베니아 문자에는 ⟨ ⟩와 ⟨지 ⟩가 없습니다. 슬로베니아어에서는 이들이 나타내는 소리가 발생하지 않습니다.
  • 슬로베니아어에서 ⟨⟩와 ⟩어 ⟨는 두 개의 분리된 문자로 취급되며 분리된 소리나타냅니다(세르보크로아티아어에서는 [포 ʎ]와 반대로 슬로베니아어에서는 [포 ː어 ɛ] 또는 [포 ɔˈ]로 발음됩니다).
  • /d ž⟩/라는 음소는 현대 슬로베니아어에 존재하며 ⟨ ʒ로 표기되지만, 차용어에서만 사용되므로 ⟩ ⟨와 ⟨ž⟩는 디그래프가 아닌 별개의 문자로 간주됩니다.

세르보크로아티아어처럼 슬로베니아어 맞춤법은 일반적인 글에서 단어의 억양을 표시하기 위해 격음을 사용하지 않지만, 사전에서 표제어동형문자를 설명하기 위해 표제어와 함께 주어집니다. 예를 들어, 문자 ⟨ ⟩은 네 가지 방식(/e ː/, / ɛ/, / ɛː/ 및 / ə/)으로 발음할 수 있고, 문자 ⟨ v ⟩은 두 가지([ʋ] 및 [w])로 발음할 수 있습니다. 또한, 그것은 자음 음성 동화를 반영하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 비교합니다. 슬로베니아 ⟨로드패드 ⟩ 및 세르보-크로아티아 ⟨로드패드 ⟩('폐차장', '폐기물').

마케도니아어 용법

마케도니아어의 로마자 표기는 가즈의 라틴어[6][7] 알파벳에 따라 약간의 수정을 거쳐 이루어집니다. 가즈의 d는 전혀 사용되지 않으며 대신 ḱ와 ǵ가 도입되었습니다. 알파벳의 나머지 문자는 키릴 문자와 동등한 문자를 나타내는 데 사용됩니다. 또한 마케도니아어는 세르보-크로아티아어 음소 목록에 포함되지 않은 문자 dz를 사용합니다. 맞춤법에 따르면, LJ와 ĺ는 모두 љ의 로마자로 받아들여지고 NJ와 ń는 모두 њ를 위한 로마자로 받아들여집니다. 대부분의 마케도니아어 사용자들은 대부분의 시스템에서 지원되는 마케도니아어 라틴어 키보드가 없기 때문에 문자 메시지와 같은 비공식적인 목적을 위해 격자를 생략하거나 diagraph 및 trigraph 기반 시스템을 사용합니다. 예를 들어, sh줄임말이 되고, d ž는 dzh 또는 dz가 됩니다.

키보드 레이아웃

개인용 컴퓨터를 위한 표준 Gaj의 라틴 알파벳 키보드 레이아웃은 다음과 같습니다.

Gaj's Latin alphabet keyboard layout

참고 항목

원천

  • Ljiljana Jojić (2003). Pravopisni priručnik - dodatak Velikom rječniku hrvatskoga jezika (in Croatian).
  • Vladimir Anić; Josip Silić (1987). Pravopisni priručnik hrvatskoga ili srpskoga jezika (in Croatian and Serbian).

메모들

  1. ^ 오스트리아 독일어의 문자 이름은 /j ɔ트/, cf가 아닌 /j ː트/입니다. 독일어 알파벳. 이것은 주목할만한 것이 류데빗 가즈가 당시 오스트리아 제국일부였던 크로아티아 왕국의 시민이었기 때문입니다.[citation needed]

참고문헌

  1. ^ Žagarová, Margita; Pintarić, Ana (July 1998). "O nekim sličnostima i razlikama između hrvatskoga i slovačkoga jezika" [On som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Croatian and Slovakian]. Jezikoslovlje (in Croatian). Faculty of Philosophy, University of Osijek. 1 (1): 129–134. ISSN 1331-7202. Retrieved 2012-04-18.
  2. ^ "Ortografija" (PDF). Jezične vježbe (in Croatian). Faculty of Philosophy, University of Pula.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2012-03-14. Retrieved 2012-04-18.
  3. ^ Comrie, Bernard; Corbett, Greville G., eds. (2003). The Slavonic Languages. London: Taylor & Francis. p. 45. ISBN 978-0-203-21320-9. Retrieved 23 December 2013. Following Vuk's reform of Cyrillic (see above) in the early nineteenth century, Ljudevit Gaj in the 1830s performed the same operation on Latinica, using the Czech system and producing a one-to-one symbol correlation between Cyrillic and Latinica as applied to the Serbian and Croatian parallel system.
  4. ^ Maretić, Tomislav (1899). Gramatika i stilistika hrvatskoga ili srpskoga književnog jezika (in Croatian). Retrieved 13 April 2023.
  5. ^ "IBM Knowledge Center". www.ibm.com/us-e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22-11-09. Retrieved 2023-09-29.
  6. ^ Lunt, Horace G. (1952). Grammar of the Macedonian Literary Language. Skopje.
  7. ^ 마케도니아어 라틴어 알파벳, 프라보피스 나 마케돈스키오 문학자 Jazik, B. Vidoeski, T. Dimitrovski, K. Koneski, K. 토셰프, R. 우그리노바 스칼롭스카 - Prosvetno delo Scopje, 1970, p.99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