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가자서경타

Dīghajāṇu Sutta

비아그하파자수타 또는 비야그하파자수타라고도 알려진 디가야누수타(Pali Dghagahajaāta)앙구타라 니카야(AN 8.54)의 일부분이다.[1] 테라바딘 학자들에게는, 팔리 캐논의 이 담론은 불교 평신도 윤리를 이해하는 데 있어 중요한 열쇠로 여겨지는 몇 가지 중의 하나이다.[2] 담화에서 부처는 콜리얀 가주인 [3]Dhghajajajau Vyaghapaja라는 가주에 대해 현재와 미래의 삶에서 행복과 복지를 이끄는 여덟 가지 인격적 특성이나 조건에 대해 지시한다.

텍스트

디가야누는 집주인의 행복을 찾는다.

이 담화(팔리:수타)에서 마을 사람 디가야누는 부처에게 다음과 같이 말한다.[4]

'우리는 관능을 즐기고, 배우자와 자녀들로 붐비고, 카시 직물 & 샌달우드를 사용하고, 화환, 향, 크림을 쓰고, 금과 은을 다루는 평범한 사람들이다.[5] 복된 분이 우리 같은 사람들을 위해, 우리의 행복과 이 삶의 행복을 위해 담마를 가르치시기를... 앞으로 살아갈 삶에서'[6]

이 삶의 행복

이에 부처는 먼저 이 삶에서 행복에 도움이 되는 네 가지 특징(팔리:수카)을 파악한다.

  • 근면한(uhhana-la-ada), 숙련되고 근면한 생활.
  • 절도와 재난으로부터 재산을 보호하는 경계(아낙하-아낙타다)
  • 믿음, 덕성, 관대함, 지혜를 구현하는 사람들과 어울리고 모방하는 덕망 있는 우정, 그리고,
  • 여성화, 주취, 도박, 악우관계에서 기권하는 균형 잡힌 생활.[7]

이 담화에서 부처는 집주인 보호에 걸맞은 부를 다음과 같이 묘사한다.[8]

'힘찬 노력으로 얻은 재산'
팔에 힘을 얻어
이마의 땀으로 얻은 것은
정당하게 얻은 의로운 재산'[9]이라고 말했다.

미래의 행복

미래의 삶에 행복에 도움이 되는 네 가지 특징에 대해 부처는 다음에서 성취(삼파다)를 식별한다.

  • 신앙(사다)은 완전히 깨달은 부처에 속하며,[10]
  • 오행의 예로서 (Ssla)이 있다.
  • 관대함(카가), 자선 및 연금 기부, 그리고,
  • 사물의 발생과 전달에 대한 통찰력을 갖는 지혜(파냐)

이 담론은 다음과 같은 후렴으로 끝난다.

그러므로 믿음으로 가득찬 평신도에게
그에 의해, 정말 이름 붙여진 '조명'이다.
이 여덟 가지 조건은 이미 전해져 왔다.
지금과 후에 행복으로 [11]이어졌지

컨텍스트

이 담론은 그의 평신도들에 대한 부처의 도덕적 기대를 이해하기 위한 팔리 캐논의 핵심 문헌 중 하나이다.[12]

올바른 행동

Bhikhu Bodhi는 이 담론을 "올바른 생계에 대한 강조로 통합된 가정 생활의 다양한 측면을 다루는 많은 교과서들" 중 하나로 설명한다. 보디는 그러한 문헌들 사이에 공통적인 실마리가 올바른 행위에 대한 강조로 나타나며, 이는 오행론을 고수함으로써 나타난 예다.[13]

시갈로바다 수타에서와 같이 이 담론은 설법 외에도 자유주의의 위험성을 경고하고 마음씨 좋은 친구들의 유지를 권한다.

캄마 이해

이와 같은 수타에서 보디는 카멜적 의식의 추구라고 일컬어질 수 있는 두 번째 공통의 실마리를 찾아낸다.[14] 불교 윤리의 보다 넓은 맥락에 대해 토론합니다, 벤. 나라다 마하테라는 다음과 같이 말한다.

신의 쾌락이나 불쾌감을 사게 하는 문제는 불교의 마음에 들어오지 않는다. 보상의 희망도 처벌에 대한 두려움도 그에게 선을 행하거나 악을 삼가는 동기로 작용하지 않는다. 불교 신자는 미래의 결과를 알고 있지만, 악이 퇴보하기 때문에 악을 삼가고, 계몽주의의 진보를 돕기 때문에 선을 행한다...[15]

특히 이 경전에서 그러한 인식은 미래에서 행복에 대한 Dighajanu의 관심에 의해 강조된다. Bodhi 노트:

초기 불교에 있어서 이상적인 집주인(家人)은 단순히 수도 질서를 경건하게 지지하는 것이 아니라 최소한 4단계 실현의 첫 단계인 하천 진입의 결실(소타파티)을 달성한 고귀한 사람이다.[16]

지혜

불교의 길에 대한 이러한 실현은 윤리적 사업 행위 이상의 것을 필요로 한다. 나라다 코멘트:

행동 자체는 본질적이긴 하지만 해방을 얻기에는 부족하다. 지혜나 지식(파냐)과 결합해야 한다. 불교의 근본은 도덕이고, 지혜는 그 정점이다.[17]

이와 마찬가지로, 디가야누와의 담화에서도 부처는 지혜를 집 주인이 양육하고 구체화할 수 있는 궁극적인 특성으로 규정한다.


참고 항목

메모들

  1. ^ PTS Pali = A.iv.284
  2. ^ See, for instance, Bodhi (2005), pp. 110-1, and Narada (1995), Ch. IV. Saddhatissa (1987), Ch. 6, primarily references the Sigalovada Sutta for the Buddha's lay follower's duties towards family, friends and associates; and, paraphrases at length the Dighajanu Sutta for the lay follower's duties in conducting and managing ones business or professi온라인의 일
  3. ^ "Dhghajaṇu"는 집주인의 주어진 이름이고 문자 그대로 "Long Neven"으로 번역된다. 그의 성씨인 "비야그하파자" (때로는 로마자로 표기된 "비야그하파자"로, 2005년 보디, 1999년 니야나포니카 & 보디에서처럼)는 "타이거 파우" 또는 "타이거 경로"로 번역할 수 있다. See Rhys Davids & Stede, 1921-25, entries for "dīgha" (p. 323), "jāṇu" (p. 283), "byaggha" (p. 492), "vyaggha" (p. 652) and "pajja" (p. 387); as well as, Narada (1997), nn. 2, 3; and, Thanissaro (1995) text and n. 1.
  4. ^ 이 서트의 영어 번역에는 다음이 포함된다. 보디(2005), 페이지 124-6, 나라다(1997), 냐나포니카 & 보디(1999), 페이지 221-3, 그리고 타니사로(1995)이다. (Bodhi, 2005년, Nyanaponika & Bodhi, 1999년, 둘 다 이 글에 포함된 담론의 최종 요약 구절을 생략한다.) 로마자로 표기된 팔리 경전은 www.metta.lk에서 볼 수 있다.
  5. ^ "화환, 향, 크림을 입는 것"은 우포사타 날에만 불교 평민에게 부적절할 것이다(예를 들어, 답미카 수타팔교 7단 참조). 불교에서 '금은의 취급'은 평신도 제자수도자 사이에 만들어진 최초의 구별 중 하나로, 평신도 제자의 8교칙과 초보 수도자10교칙의 주요 차이점으로 대표된다.
  6. ^ 타니사로(1995년).
  7. ^ 보리수(2005년),를 대신하여 서명함. 124번, 125, Nyanaponika &, 보리수(1999년)로"균형 잡힌 생활,"Narada(1997년)으로 전환이 둘 다 sama-jīvikatā을 추구하"균형 잡힌 생계,"Thanissaro(1995년)을 사용한다"곡조에 생계를 유지하면서,"과 리스 데이비즈&Stede(1921-25)을 해석하는 대로"경제적으로 살고 있는"(우편 681), 각각의 될 수 있는 합리화했어요.에서 원본 확장 텍스트
  8. ^ 여기서 부처가 적절히 얻은 부에 대한 묘사는 예를 들어 AN 4.61 (보디, 2005, 페이지 126-7)과 AN 4.62 (타니사로, 1997)에서도 반복된다.
  9. ^ 보디(2005년), 페이지 124. 111페이지의 보디에게, "정당한 재물"은 노블 팔중로의 "올바른 생활"을 추구하는 것을 떠올리게 한다.
  10. ^ 깨달은 부처에서 "신앙"을 묘사하기 위해 이 담화에서 사용된 본문은 팔리 캐논 전체에서 사용되는 공식의 일부분이며, 오늘날에도 테라바다 불교도들이 매일 다음과 같은 구호를 외칠 때 사용된다.
    그러므로 복이 있는 자는 다음과 같다.
    그는 성자야
    완전한 깨달음,
    선명한 비전과 덕행을 타고났고
    수블라임, 세계의 지식인
    길들여질 인간의 비할 데 없는 지도자,
    신과 사람의 스승은
    깨달음과 복이 있다. (인다라타나, 2002, 페이지 3)
    Pali에서 이 노래의 오디오 버전은 http://www.buddhanet.net/filelib/mp3/05-chant-05.mp3에서 구할 수 있다.
  11. ^ 나라다(1997년).
  12. ^ 예를 들어, 나라다(1995년), 4장을 보라. 나라다가 분명히 확인한 다른 문헌은 답마파다, 답미카 수타, 망갈라 수타, 카라니야 수타, 파라바 수타, 시갈로바다 수타, 바살라 수타 등이다.
  13. ^ 보디(2005년), 페이지 110-1. 평신도들을 다루고 오법도를 표방하는 유사한 잘 알려진 문헌에는 답미카 수타시갈로바다 수타가 있다. Bhikkhu Bodhi가 명시적으로 식별한 기타 표준 텍스트는 Bodhi(2005년), Che. IV를 참조한다.
  14. ^ 보디(2005년), 페이지 110-1.
  15. ^ 나라다(1995년).
  16. ^ 보디(2005년), 페이지 111.
  17. ^ 나라다(1995년), 4장

참고 문헌 목록

  • 보디, 비크쿠(2005년). 부처님의 말씀: 팔리 캐논의 담론집. 보스턴: 지혜 출판물. ISBN0-86171-491-1.
  • 인디라타나 마하 테라, 엘기리예(2002) 반다나: '팔리 데보티온 구호와 찬송의 앨범' 페낭, 말레이시아:마힌다라마 닥마 출판물. 온라인 https://web.archive.org/web/20121114032020/http://www.buddhanet.net/pdf_file/vandana02.pdf.
  • 나라다 마하테라(1995년). 간단명료한 불교. http://www.accesstoinsight.org/lib/authors/narada/nutshell.html에서 온라인으로 이용 가능.
  • 나라다 [마하]테라 (trans.) (1997년) 디가야누 (Vyagghapaja) 수타: 복지의 조건 (AN 8.54) http://www.accesstoinsight.org/tipitaka/an/an08/an08.054.nara.html에서 온라인으로 이용 가능.
  • 냐나포니카 테라 & 비크쿠 보디(1999년). 부처의 숫자적 담화: 앙구타라 니카야에서 온 수타스 문집. 캘리포니아 주 호두 크리크: 알타 미라 프레스 ISBN 0-7425-0405-0.
  • 리스 데이비스, T.W. & William Stede (에드) (1921-5) Pali Text Society의 Pali-English 사전. 칩스테드: Pali Text Society. PED를 위한 일반적인 온라인 검색 엔진은 http://dsal.uchicago.edu/dictionaries/pali/에서 이용할 수 있다.
  • 사드하티사, 함말라와(1987년). 불교 윤리학 런던: 지혜 출판물. ISBN 0-86171-053-3.
  • 타니사로 비크쿠 (트랜스). 디가야누 (Vyagghapaja) 수타: 디가야누(AN 8.54)에게. http://www.accesstoinsight.org/tipitaka/an/an08/an08.054.than.html에서 온라인으로 이용 가능.
  • 타니사로 비크쿠 (트랜스). 아나나 수타: 무채무(Anana Sutta): 무채무(AN 4.62). http://www.accesstoinsight.org/tipitaka/an/an04/an04.062.than.html에서 온라인으로 이용 가능.
  • www.metta.lk (Mettanet-Lanka) (미등록). 고타미슈바고(AN 8.2.6). [로마화된 팔리] 온라인 https://web.archive.org/web/20170621032625/http://www.metta.lk/tipitaka/2Sutta-Pitaka/4Anguttara-Nikaya/Anguttara5/8-atthakanipata/006-gotamivaggo-p.html. 독가파자경전은 "8. 2. 6. 4."로 확인된다.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