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빌론의 왕 목록

List of kings of Babylon
바빌론의 왕
샤카나키 바빌리
샤르 바빌리
Shamash-sun-symbol (3 rays).svg
샤마쉬[a] 스타 스타일링
Harran Stela.png
마지막 토착왕
나보니두스
기원전 556년 5월 25일 – 기원전 539년 10월 13일
세부 사항
제1군주스스무아범
마지막 군주나보니두스
(마지막 원주민 왕)
샤마쉬에리바 또는 니딘벨
(마지막 원주민 반란군)
아르타바누스 3세
(마지막 외국 통치자는 왕으로 증명됨)
아르타바누스 4세
(마지막 파르티아 왕 바빌로니아)
포메이션c. 기원전 1894년
폐지기원전 539년
(마지막 원주민 왕)
기원전 484년 또는 기원전 336년/335년
(마지막 원주민 반란군)
AD 81
(마지막 외국 통치자는 왕으로 증명됨)
AD 224년
(마지막 파르티아 왕 바빌로니아)
애포인터다양함:
  • 바빌로니아 사제 또는 귀족에 의한 선거
  • 유전 상속
  • 바빌론의 우서프화/회의

바빌론의 왕(Akkadian: Shakkanakki Babili, 후에 샤르 바빌리)은 기원전 19세기부터 기원전 6세기 가을까지 독립된 왕국으로 존재했던 고대 메소포타미아 도시 바빌론과 그 왕국 바빌로니아의 통치자였다. 독립국으로서의 존재의 대부분을 바빌론은 수메르아크카드의 고대 지역으로 구성된 남부 메소포타미아의 대부분을 통치했다. 이 도시는 바빌로니아 왕들이 고대 근동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기 위해 일어섰을 때 두 가지 주요 상승기를 경험했다: 제1차 바빌로니아 제국(또는 구 바빌로니아 제국, 기원전 1894/1880–1595년)과 제2차 바빌로니아 제국(또는 네오바빌론 제국, 기원전 626–539년)이다.

바빌론의 많은 왕들은 외국 출신이었다. 이 도시의 거의 2천년 역사를 통틀어, 바빌로니아 원주민, 아모리테, 아라만, 아시리아인, 찰데안, 엘라마이트, 그리스인, 카시테, 파르티아인, 페르시아인 출신 왕들에 의해 통치되었다. 왕의 문화적, 민족적 배경은 왕권에 대한 바빌로니아의 인식에 중요한 것이 아닌 것으로 보인다. 대신 중요한 것은 왕이 전통적으로 바빌로니아 왕에게 귀속된 임무를 수행할 능력이 있었는가 하는 것이다: 평화와 안보를 확립하고 정의를 수호하며 시민권을 존중하고, 시민권을 존중하며, 이를 자제하는 것이다. 불법 과세, 종교적 전통 존중, 사원 건립, 사원 내 신들에게 선물 제공, 문화 질서 유지 바빌로니아 독립 반란은 이 도시가 외국 제국에 의해 통치되던 시기에 아마도 이 제국의 통치자들이 바빌로니아인이 아닌 것과 거의 관련이 없었으며, 바빌로니아를 거의 방문하지 않고 도시의 의식과 전통에 참여하지 못한 통치자들과 더 많은 관련이 있었을 것이다.

바빌론의 마지막 원주민 왕은 나보니두스였는데, 그는 기원전 556년부터 539년까지 다스렸다. 나보니두스의 통치는 바빌론이 아차메니드 제국키루스 대왕에 의해 정복됨으로써 종결되었다. 초기 아케메니드 왕들은 계속해서 바빌로니아를 중시하고 '바빌로니아의 왕'이라는 칭호를 계속 사용하였지만, 후에 아케메니드 통치자들은 이 칭호를 바빌로니아인 자신들이 한 것일 뿐이며, 왕들 자신이 그 칭호를 버린 것으로 간주하였다. 바빌로니아 서기관들은 바빌로니아를 지배했던 제국의 통치자들을 바빌로니아를 점차적으로 버림받은 파르티아 제국 시대까지 계속해서 그들의 왕으로 인정하였다. 비록 바빌론이 아차메니드 정복 이후 독립을 되찾지 못했지만, 반군 니딘벨 아래 336년/335년 늦은 바빌로니아인들의 외국 통치자를 몰아내고 왕국을 다시 세우려는 시도가 여러 번 있었다.

소개

왕실의 직함

네오바빌론의 악카디안 쿠네폼에서 '바빌론의 왕'(샤르 바빌리)이라는 칭호를 위한 세 가지 다른 철자가 증명되었다. 가장 윗부분의 표현은 안티오코스 실린더를 따르며, 나머지 두 가지는 네부카드네자르 2세의 건축 비문을 따른다.r

도시의 긴 역사를 통틀어 바빌로니아의 통치자와 그 왕국을 지정하기 위해 다양한 칭호가 사용되었는데, 가장 흔한 호칭은 '바빌로니아의 viceroy', '카르두니아시의 왕', '수메르와 악카드의 왕'[2]이다. 제목 중 하나를 사용했다고 해서 다른 제목을 동시에 사용할 수 없는 것은 아니었다. 예를 들어 네오아시리아티글라트-필레세르 3세(r바빌론에서 기원전 729–727년)는 앞서 언급한 세 개의 타이틀을 모두 사용했다.[3]

  • 바빌론의 총독(또는 총독)[4]은 바빌론 자체의 정치적 지배를 강조한다.[2] 도시의 역사 대부분 동안, 그 도시의 통치자들은 스스로를 왕이 아닌 총독이나 총독이라고 불렀다. 그 이유는 바빌론의 진정한 왕이 공식적으로 그 나라의 신 마르두크라고 여겨졌기 때문이다. 왕명을 명시적으로 주장하지 않음으로써 바빌로니아 통치자들은 도시의 신에게 경의를 표했다.[5] 네오아시리아 왕 센나체리브(.r 기원전 705–681년)의 통치는 바빌론 왕(샤르 바빌리)의 칭호를 맡았기 때문에 이 전통의 특별한 단절으로서 주목되어 왔으며,[5][6] 바빌로니아에서 그에 대한 부정적인 반응이 널리 퍼지게 되었을지도 모른다.[5] 그러나 샤르 바빌리샤크나크키 바빌리와 교대하여 사용했던 아버지 사르곤 2세(.r 바빌론에서 기원전 710년–705년)의 비문처럼 센나체립 시대 이전부터 일부 비문에는 사용된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4] Sennacherib의 후계자들은 주로 샤카나키 바빌리를 사용하지만,[7] 샤르 바빌리를 사용하는 사례도 있다.[8] 이 호칭은 또한 후대의 네오바빌론 왕들에 의해 교환적으로 사용될 것이다.[9]
  • 카르두니아시 왕(샤르 카두니아시)[10] – 남부 메소포타미아의 통치를 통칭한다.[2] '카르두니아시'는 바빌로니아 왕국의 카시테 이름이었으며, '카르두니아시의 왕'이라는 호칭은 바빌로니아 제3왕조(카시테스)가 도입하였다.[11] 이 호칭은 카시테스가 바빌론에 대한 지배력을 상실한 지 오래되었는데, 예를 들어 나부슈마우킨 1세(r[12]BC 900–888)와 네오아시리아 왕 에사르하돈(rBC 681–669)의 통치 하위에 있다.[7]
  • 수메르와 아카드 왕(샤르 마트 슈메리 우 아크카디)[13] – 남부 메소포타미아 전체의 지배를 말한다.[2] 본래 바빌론이 건국되기 수 세기 전 우르 제3왕조(c.기원전 2112–2004)의 왕들이 사용하던 호칭이다. 왕들은 수메르 문명과 아카디아 문명의 문화와 유산에 자신을 연결시키고,[14] 고대 아카디아 제국 시대에 성취한 정치적 패권에 대한 권리를 주장하기 위해 이 칭호를 사용했다. 호칭도 지리적이었는데, 남쪽 메소포타미아가 전형적으로 수메르(남쪽)와 악카드(북쪽) 두 지역으로 나뉘었다는 점에서 '수메르와 악카드의 왕'은 전 국토에 대한 통치권을 가리킨다는 뜻이다.[11] 이 호칭은 기원전 539년 네오바빌론 제국이 멸망할 때까지 바빌로니아 왕들이 사용했으며, 기원전 530년 죽을 때까지 바빌론을 정복하고 바빌로니아를 통치한 키루스 대왕에 의해서도 상정되었다.[15]

역할과 정당성

바빌로니아의 왕들은 바빌로니아의 수호신 마르두크가 임명한 신으로부터, 그리고 바빌로니아의 제사장들에 의해 봉헌된 것으로부터 그들의 통치권을 얻었다.[16] 마르두크의 주요 컬트 이미지인 마르두크의 조각상은 왕들의 대관식 의식에서 주로 사용되었는데, 그는 에게 왕권을 수여받는 것을 상징하며, 새해 축제 동안 마르두크의 왕관을 "손에서" 받은 왕들을 위한 대관식 의식에서 두드러지게 사용되었다.[17] 해마다 이맘때쯤 왕이 바빌론의 주요 컬트 신전인 에사길라(Esagila)에 홀로 들어가 대제사장을 만나면서 왕의 통치와 지구상의 마르두크의 신하로서의 역할이 재확인되었다. 대제사장은 왕으로부터 레갈리아를 치우고 뺨을 때리고 마르두크의 동상 앞에 무릎을 꿇게 했다. 그런 다음 왕은 동상에게 자신은 백성을 억압하지 않았고 일 년 내내 질서를 유지했다고 말하곤 했는데, 대제사장이 마두크를 대신하여 왕이 왕실의 섭정을 돌려주면서 자신의 통치에 대한 신의 지지를 계속 누릴 수 있다고 대답하였다.[18] 왕은 바빌론의 신전 후원자가 됨으로써 메소포타미아의 신들에게 아량을 베풀었고, 메소포타미아의 신들은 그의 통치에 힘을 실어주고 그들의 권위를 빌려주었다.[16]

바빌로니아 왕들은 평화와 안보를 확립하고 정의를 수호하며 시민권을 존중하며 불법적인 조세를 자제하고 종교적 전통을 존중하며 이단적인 질서를 유지할 것으로 기대되었다. 왕의 책임과 의무 중 어떤 것도 그가 인종적으로나 심지어 문화적으로 바빌로니아인이 될 필요가 없었다. 바빌로니아의 왕실 풍습에 충분히 정통한 외국인이라면 누구나 그 칭호를 채택할 수 있었지만, 그 후에는 원주민 제사장들과 원주민 서기관들의 도움을 필요로 할 수도 있다. 바빌로니아 왕권에 대한 바빌로니아의 인식에서 민족과 문화는 중요하지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많은 외국 왕들은 바빌로니아인들의 지지를 누렸고 몇몇 원주민 왕들은 멸시당했다.[19] 일부 외국 왕들의 통치가 바빌로니아인들의 지지를 받지 못했다는 것은 아마도 그들의 민족적 또는 문화적 배경과는 거의 상관이 없고 오히려 바빌로니아 왕의 전통적인 의무를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는 것으로 인식되었을 것이다.[20]

왕조

네오바빌론아악카디안 쿠네폼(Neo-Babilonian Akkkadian cuniform)에 있는 바빌론 최초의 왕조(팔레오 바빌리, 간단히 '바빌론의 여풍')의 이름.

다른 군주들과 마찬가지로 바빌로니아의 왕들도 일련의 왕조들로 분류되는데, 고대 바빌로니아인들이 그들의 왕 리스트에서 시작한 관습이다.[21][22]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는 바빌로니아 왕조는 후대의 왕국과 제국의 지배자 가문을 위해 역사학자들이 흔히 쓰는 용어와 같은 맥락에서 가족 집단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바빌로니아의 첫 왕조는 모든 군주들이 연관되어 있는 왕조 집단을 형성하였지만, 기원전 1천년 왕조, 특히 E 왕조는 전혀 일관된 가족관계의 연속을 구성하지 않았다. 바빌로니아적 의미에서는 팰리제팔레로 표현되는 왕조라는 용어는 같은 민족 또는 부족 집단(즉 카시테 왕조), 같은 지역(즉 실란드의 왕조) 또는 같은 도시(즉 바빌로니아와 이신의 왕조)의 일련의 군주들과 관련이 있다.[22] 에리바-마두크(r기원전 769–760년)와 손자 마르두크-아플라-iddina II(r기원전 722–710년, 기원전 703년) 등 족보적으로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왕들이 다른 왕조로 분리되는 경우도 있었다.[23]

원천

칸달라누 (.r기원전 648–627년)에서 셀레우코스 2세 칼리니쿠스 r(.기원전 246–225년)까지 바빌론의 통치자를 기록하는 우륵왕 목록
바빌로니아 왕 목록: 알렉산더 대왕(r바빌로니아에서는 331–323), 데메트리오스 2세 니케이터(r바빌로니아에서는 기원전 145–141년)에 이르는 바빌로니아의 통치자 목록

메소포타미아에서의 발굴을 통해 밝혀진 모든 다른 유형의 문서들 중에서 연대기와 정치사의 재구성에 가장 중요한 것은 '만기문자'라는 용어로 묶인 왕목록과 연대기들이다. 메소포타미아 왕 리스트는 왕명 및 왕실 연대를 모은 모음집이기 때문에 군주들의 순서를 재구성할 때 특히 중요하며, 왕들 간의 관계와 같은 추가 정보도 테이블 형식으로 정리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바빌로니아 통치자의 관점에서 본 문서는 바빌로니아 왕 목록(BKL)으로, 바빌로니아 왕 목록 A, B, C의 3개의 독립 문서로 구성된 그룹이다. 바빌로니아의 주요 킹 리스트 외에도 바빌로니아의 통치자를 기록하는 킹 리스트가 추가로 있다.[24]

  • 바빌로니아 목록 A(BKLa, BM 33332)[25] - 네오바빌론 제국의 건국 후 어느 시점에 만들어진 바빌로니아 왕 목록 A는 수무아품(r기원전 1894–1881년) 아래 바빌로니아의 첫 왕조 초기부터 칸달란누(r기원전 648–627년)에 이르는 바빌로니아의 왕들을 기록하고 있다. 이 판의 끝부분은 칸달라누의 뒤를 이어 원래 통치자들을 나열한 것으로 보이며, 아마도 네오바빌론 제국의 왕들도 나열했을 것이다. 모든 왕조는 수평선으로 구분되는데, 그 아래 첨자는 각 왕조의 섭정 연도와 왕조가 배출한 왕들의 수를 기록한다. 네오바빌론어로 쓰여졌다.[26]
  • 바빌로니아 목록 B(BKLb, BM 38122) [25]— 출처 날짜가 불확실한 것으로, 네오바빌론 문자에서 작성되었다. 바빌로니아 왕 목록 B는 바빌로니아의 첫 번째 왕조의 왕들과 첫 번째 실란트 왕조의 왕들을 기록하고 있으며, 첨자는 이 왕조에서 왕들의 수와 그들의 총 통치 수를 기록하고 있다. 첫 왕조의 왕들에게는 섭정년을 기록하지만, 실란드 왕조의 왕들에게는 생략한다. 왕들에게 사용된 왕년의 연대는 실제 통치 기간과 일치하지 않는데, 아마도 저자가 그 연도가 유실되거나 훼손된 문서에서 목록을 복사했기 때문일 것이다. 이 목록에는 첫 왕조의 두 왕을 제외한 모든 왕들의 족보 정보가 기록되어 있지만, 실란드 왕조의 두 왕에 대해서만 기록되어 있다. 이 문서는 본질적으로 두 왕조를 위한 두 개의 목록이기 때문에, 후기에 어떤 알 수 없는 목적을 위해 더 긴 왕 목록에서 복사되어 추출되었을 가능성이 있다.[26]
  • 바빌로니아 목록 C (BKLc)[27] — 네오바빌론어로 쓰여진 [28]짧은 텍스트.[26] 목록 C왕은 이신 왕조의 두 번째 왕조의 출처로서 중요한데, 보존된 9행 중 처음 7행은 이 왕조의 왕들의 순서와 그 연대를 일부 제공하기 때문이다. 바빌로니아 왕 목록 A의 해당 부분은 불완전하게 보존되어 있다.[28] 이 명단은 이신 왕조의 7대 왕인 마르두크샤피크제리(r기원전 1081년–1069년)로 끝나기 때문에 후계자인 아다드 아플라-아이디나(r기원전 1068년–1047년)의 통치 기간 중 작성되었을 가능성이 있다.[26] 짧은 길이와 특이한 모양(평탄한 것보다는 구부러진 형태)[28]은 바빌로니아 젊은 학생이 사용한 연습용 태블릿이었을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26]
  • ScKL(Synchronic King List) [29]— 개별 태블릿과 시험관의 모음입니다. 싱크로나이틱 킹 리스트에는 두 개의 칼럼이 수록되어 있으며, 바빌로니아와 아시리아의 왕들을 함께 기록하고 있으며, 왕들은 아마도 동시대인 것으로 추측된다. 다른 대부분의 문서와 달리, 이 목록은 일반적으로 섭정 연도와 족보 정보를 생략하지만, 아시리아 왕과 바빌로니아 왕들의 휘하에 있는 많은 주요 낙서들을 포함하는 것에도 차이가 있다. 이 명단의 가장 초기 알려진 부분을 가진 판은 아시리아 왕 에리숨 1세(불확실한 섭정 날짜)와 바빌로니아 왕 수무라엘(r기원전 1880–1845년)으로 시작된다. 가장 최근에 알려진 부분은 바빌론의 아시리아와 칸달라누의 아슈르 에틸일라니(.r 기원전 631–627년)로 끝난다. 네오아시리아어로 씌어 있듯이 네오아시리아 제국 말기 근처에 만들어졌을지도 모른다.[30]
  • 우루크 리스트(영국, IM 65066) [27]— 아시리아기 칸달라누에서 셀레우시드기 셀레우코스 2세 칼리니쿠스(.r 기원전 246–225년)에 이르기까지 이 킹 리스트의 보존된 부분.[27]
  • 바빌로니아의 왕 목록은 헬레니즘 시대의 시대의 어떤 시점에서 기원전 141년 후, 헬레니즘 시대의 통치의 바빌로니아에 알렉산더 하에 시작이 좋아(r. 331–323 바빌론에서)[31일]드미트리우스 2세 Nicator(r. 145–141 기원전 바빌론에서)아래 된 셀리우 시드이었다 통치와 바빌로니아의에 의해 정복의 끝까지의 통치자들 녹음 — 바빌론에서(BM35603)[27]. 파르티아의 Empire.[32] 셀레우코스 1세 니케이터 (.r기원전 305–281년) 이전과 안티오코스 4세 에피파네스 r(.기원전 175–164년) 이후의 항목은 손상되고 단편적이다.[33]

바빌로니아에서의 해는 현재의 왕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고, 그들의 통치 연도가 현재의 해인 만큼, 바빌로니아에 쓰여진 경제, 천문, 문학적 규범문서의 날짜 공식도 매우 중요하고 유용한 연대기적 자료를 제공한다.[34][35]

네오바빌론 제국의 왕권

아케메니드 제국아르탁세르 1세 구제(기원전 465–424년)r는 아케메니드 왕 중 마지막으로 '바빌론의 왕'이라는 칭호를 공식적으로 사용한 왕이다.

위에서 설명한 왕 목록 외에도, 신바빌론 제국이 멸망한 후에도, 그리고 아차메니드(기원전 539년–331년), 아르헤드(기원전 331년–310년), 셀레우시드(기원전 305–14년)의 통치 기간 내내 바빌로니아의 외국 통치자들을 합법적인 군주로서 계속 인정했다는 것을 바빌로니아인들이 자신 있게 입증한다.1 BC) 제국은 물론 파르티아 제국의 통치(기원전 141년 – AD 224년)에 속하게 된다.[36]

초기 아차메니드 왕들은 바빌로니아의 문화와 역사를 크게 존경했으며, 바빌로니아를 개인적인 결합과 유사한 어떤 것으로 그들 자신의 왕국과 연합한 별도의 독립체나 왕국으로 간주했다.[17] 그럼에도 불구하고 바빌로니아인들은 자기네 나라가 네오아시리아 제국(기원전 722년–626년)의 통치하에 있을 때 아시리아 통치에 분개했던 것처럼 아차메니드 통치에 분개하게 될 것이다.[17] 아차메네스족에 대한 바빌로니아인들의 분노는 아마 아차메네스족이 외국인이라는 것과 거의 무관하지 않을 것이다, 오히려 아차메네스족의 왕들이 바빌로니아 왕의 의무를 확립된 바빌로니아 전통에 따라 제대로 수행할 능력이 없는 것으로 인식되었다. 그 후 이러한 인식은 바빌로니아 반란을 빈번히 일으켰는데, 이 반란은 아시리아인과 아차메네스 양쪽에서 모두 경험한 문제였다. 아시리아와 아차메니드 제국의 수도들이 다른 곳에 있었기 때문에 이들 외국 왕들은 도시의 의식(전통적으로와 같은 방식으로 기념할 수 없다는 뜻)에 정기적으로 참여하지 않았고, 사원을 짓고 제사를 지내면서 바빌로니아 숭배자들에게 전통적인 의무를 거의 수행하지 않았다. 도시의 신들에게 바치는 컬트적인 선물 이 실패는 왕으로 해석되어 바빌론의 진정한 왕으로 간주되기 위해 필요한 신성한 지지를 얻지 못했다.[37]

바빌로니아뿐만 아니라 그들의 제국 전체에 걸쳐 초기 아차메니드 왕들이 사용했던 표준 섭정 명칭은 '바빌로니아의 왕과 땅의 왕'이었다. 바빌로니아의 왕 제 1세(기원전 486–465년)r는 바빌로니아 반란을 진압해야 했던 아차메네스 왕 제 1세(기원전 486–465년)에 의해 점차 제명되었다. 크세르크세스는 또한 이전에 거대했던 바빌로니아 사트라피를 더 작은 서브 유니트로 나누었고, 일부 소식통에 따르면, 보복행위로 도시 자체를 손상시켰다고 한다.[17] 자신의 왕실 비문이 공식적으로 '바빌론의 왕'이라는 칭호를 사용한 마지막 아차메니드 왕은 크세르크세스 1세의 아들이자 후계자 아르탁세르세스 1세(r기원전 465–424년)이다.[38] 아르탁세르크세스 1세가 통치한 후, 바빌로니아인들은 계속해서 그 칭호를 그들의 통치자에게 돌렸지만, 군주들 스스로가 그 칭호를 사용하는 예는 거의 없다. 바빌론의 '을 모두 한 왕이Seleucid 기간 동안 유일하게 알려진 공식 명시적 사용은Antiochus 실린더, 진흙 실린더 안티오 코스 1세 소테르(r. 281–261 BC)대부분 자신을 부르는 텍스트가 포함되고 그의 아버지는 셀레우코스 1세(r. 305–281 BC)에 바빌론의와 함께 다양한 다른 고대 Mesopotam 제목 'king,에 의해 발견될 수 있다.i칭호와 [39]존칭 셀레우시드 왕들은 계속해서 바빌로니아의 전통과 문화를 존중하였고, 몇몇 셀레우시드 왕들은 바빌로니아에서 "마두크에게 선물을 주었다"고 기록되었고, 새해 축제는 여전히 현대적인 행사로 기록되었다.[40][41][42] 이 축제가 마지막으로 축하된 것으로 알려진 것은 188 BC, 셀레우시드 왕 안티오코스 3세 휘하의 제사에 중요한 역할을 한 기원전 222–r187년이었다.[42] 헬레니즘 시대(즉 그리스 아르게와 셀레우치드의 지배) 이후부터 바빌로니아에 그리스 문화가 정착되었지만, 올스너(2014년)에 따르면, 헬레니즘 문화는 "AD. 2세기까지 특정 영역과 지역에 계속 존재했던 고대 바빌로니아 문화를 깊이 침투시키지 못했다"[43]고 한다.

파르티아 제국의 아르타바누스 3세(AD 79/80–81)는 바빌로니아 문헌에서 왕으로 증명된 마지막 통치자로 알려져 있다.r

파르티아 제국 하에서 바빌론은 주요 도시 중심지로 점차 버려지고 옛 바빌로니아 문화가 쇠퇴하였다.[44] 근처와 새로운 왕실의 수도인 셀레우키아와 후에 크테시폰은 고대 도시를 무색하게 만들었고 이 지역에서 권력의 좌석이 되었다.[45] 바빌론은 파르티아 지배의 1세기경에도 여전히 중요했고,[44] 쿠네iform 판들은 파르티아 왕들의 지배를 계속 인식했다.[46] 바빌로니아 문서에서 파르티아 왕들에게 적용된 표준 호칭 공식은 "아르샤샤-카 lugal.lugal.mesh"(아르샤카 샤르니, "아사케스, 왕들의 왕")[47]이었다. 파르티아 시기의 여러 판들도 그들의 날짜 공식에서 현 파르티아 왕의 여왕을 언급하고 있는데, 왕과 함께 여성들이 바빌론의 군주로서 공식적으로 인정된 것은 처음이었다.[48] 파르티아 시대에 바빌론에서 살아남은 몇 안 되는 문서들은 파르티아 왕들이 대부분 도시에 결석하고 바빌론 사람들은 그들의 문화가 서서히 사라지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되면서 바빌론에서 경각심과 소외감이 커지고 있음을 나타낸다.[49]

정확히 언제 바빌론이 버려졌는지는 확실하지 않다. 로마의 작가 플리니 장로는 AD50년에 셀레우치아와의 근접성이 바빌론을 '바렌 쓰레기'로 만들었다고 썼으며, 동쪽에서 선거운동을 하는 동안 로마의 황제 트라얀(AD 115년)과 셉티미우스 세베루스(AD 199년)는 도시가 파괴되고 버려진 것을 발견했을 것으로 추측된다. 고고학적 증거와 아바 아리카(c.AD 219)의 저술은 적어도 바빌론의 신전이 3세기 초에도 여전히 활동했을 수도 있음을 보여준다.[45] 만약 그 시점에 옛 바빌로니아 문화의 잔재가 여전히 존재했다면, 사산 제국 AD 230년 초기의 종교개혁의 결과로 결정적으로 전멸되었을 것이다.[50]

공급원이 부족하고, 바빌로니아의 포기 시기가 알려지지 않았기 때문에 바빌로니아인들이 왕으로 인정한 마지막 통치자는 알려지지 않았다. 가장 최근에 알려진 쐐기풀 판은 W22340a이며, 우륵에서 발견되었으며 AD 79/80년 날짜로 알려져 있다. 이 판본은 루갈(왕)이라는 단어를 보존하고 있는데, 이때까지 바빌로니아인들은 여전히 왕을 인식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51] 이때 바빌로니아는 파르티아 경쟁왕(i. usurper) 아르타바누스 3세의 지배를 받았다.[52] 근대 역사가들은 군주의 종착지를 놓고 의견이 분분하다. 스파르와 램버트(2005)는 바빌로니아인들이 인정한 왕 목록에 AD 1세기 이후의 통치자는 하나도 포함하지 않았지만,[36] 베울리외(2018)는 '바빌로니아의 디네스티 14세'(그가 도시의 통치자로 파르티아인을 지정한 것)가 AD 3세기 초 바빌로니아의 파르티아 통치가 끝날 때까지 지속된 것으로 간주했다.[53]

이름(suneiform)

아래 목록에는 아카디안의 모든 왕들의 이름과 함께 아카디안 왕들의 이름이 새문자로 표기된 방법이 포함되어 있다. 카스 왕조(Dystery III)의 번나부리아시 2세(.r 1359–1333 BC) 치세까지 수메르어는 비문과 공문서에 사용되는 지배적인 언어였으며, 아카디안이 쿠리갈주 2세 r치하에서 이를 생략하고, 그 후 비문과 문서에 수메르어를 대체하였다.[54] 일관성을 위해, 그리고 번아부리아시 2세 이후 수세기 동안 쓰여진 [55]왕명부에서만 여러 왕과 그 이름이 알려져 있기 때문에, 이 명부는 비록 번아부리아시 2세 이전의 통치자들에게는 시대착오적이지만, 이 명부는 수메리아인이 아닌 아카디안만을 왕명으로 사용한다.

같은 개인을 지칭할 때에도 아카드어에는 같은 이름의 철자가 여러 개 다른 경우가 드물지 않다.[56][57] 이를 증명하기 위해 아래 표에는 네부카드네자르 II(.r 기원전 605–562년)의 이름이 악카디안(Nabû-Kudurri-uṣur)에서 철자된 두 가지 방법이 제시되어 있다. 아래 왕 목록은 가능한 경우 보다 간결한 철자를 사용하며, 주로 날짜 공식과 왕 목록에 있는 이름들을 기반으로 한다.

간결한 철자(킹 리스트) 정교한 철자법(건축 비문)
Nebuchadnezzar in Akkadian.png
나브 - 쿠두리 - 우두르[58]
Nebuchadnezzar in Akkadian (long version).png
Na - bi - um - ku - du - ur - u - u - u - u - uru - ur[59]

같은 스펠링을 사용한다고 해도 몇 가지 다른 쐐기풀 기호의 대본도 있었다: 같은 스펠링을 사용한다고 해도 올드 바빌로니아 기호는 네오바빌론 기호나 네오아시리아 기호와 비교하여 상당히 다르게 보인다.[60] 아래 표는 아카드어(안티쿠수)에서 안티오코스라는 명칭을 사용한 표에 따라 다른 변형을 나타낸다. 아래의 왕 명단은 네오바빌론어 표지와 네오아시리아 표지를 사용하며, 이 표기가 주로 왕 명단에서 사용되는 표식이라는 점을 감안하여 다음과 같은 왕 명단은 네오바빌론어 표지와 네오아시리아 표지를 사용한다.

날짜 공식(네오-바빌론 부호) 안티오코스 실린더[b] 안티오코스 실린더(네오바빌론 표식) 안티오코스 실린더(네오아시리아 사인)
Antiochus in Akkadian.png
An - ti - ʾ - i - ku - su[62]
Antiochus in Akkadian (Antiochus cylinder).png
안 - 티 - ku - 쿠 - us[63]
Antiochus in Akkadian (Antiochus Cylinder - ordinary Babylonian).png
안 - 티 - ku - 쿠 - us[64]
Antiochus in Akkadian (Antiochus Cylinder - Assyrian).png
안 - 티 - ku - 쿠 - us[64]

왕조 1세(아모라이트), 기원전 1894-1595년

BKLb에 따르면, 이 왕조의 토착 이름은 단순히 팰리엇 바빌론의 악명이었다.[65] 나중에 바빌론을 지배했던 다른 왕조들과 구별하기 위해 현대 역사학자들은 종종 이 왕조를 '바빌론의 제1왕조'[65]라고 부른다. 일부 역사학자들은 아모리 왕조가 아모리 왕조라는 이유로 이 왕조를 '아모리 왕조'[66]라고 부른다.[67]

아카드어 로부터 군림 까지 군림했다. 계승 참조
스스무아범[c] Sumu-abum in Akkadian.png
슈무아붐
c. 기원전 1894년 c. 기원전 1881년 BKLa와 BKLb의 바빌론의 초대 왕 [69]
스스무라엘 Sumu-la-El in Akkadian.png
슈무라엘
c. 기원전 1880년 c. 기원전 1845년 불분명한 승계 [69]
사비움 Sabium in Akkadian.png
사부름
c. 기원전 1844년 c. 기원전 1831년 스스무라엘의 아들 [69]
아필신 Apil-Sin in Akkadian.png
아필선
c. 기원전 1830년 c. 기원전 1813년 사비움의 아들 [69]
신무발릿 Sin-Muballit in Akkadian.png
신무발릿
c. 기원전 1812년 c. 기원전 1793년 아필신의 아들 [69]
함무라비 Hammurabi in Akkadian.png
u무라피
c. 기원전 1792년 c. 기원전 1750년 신무발릿의 아들 [69]
삼수일루나 Samsu-Iluna in Akkadian.png
샴슈일루나
c. 기원전 1749년 c. 기원전 1712년 함무라비의 아들 [69]
아비에슈 Abi-Eshuh in Akkadian.png
아브제슈
c. 기원전 1711년 c. 기원전 1684년 삼수일루나의 아들 [69]
암미디타나 Ammi-Ditana in Akkadian.png
암미디타나
c. 기원전 1683년 c. 기원전 1647년 아비 에슈의 아들 [69]
암미사두카 Ammi-Saduqa in Akkadian.png
암미사두카
c. 기원전 1646년 c. 기원전 1626년 암미디타나의 아들 [69]
삼수디타나 Samsu-Ditana in Akkadian.png
샴슈디타나
c. 기원전 1625년 c. 기원전 1595년 암미사두카의 아들 [69]

제2왕조 (제1차 실란드), 기원전 1725–1475년

BKLa와 BKLb는 모두 이 왕조를 팰리엇 우루쿠그('우루쿠그 왕조')라고 부른다. 짐작컨대 우루쿠그 시는 왕조의 발원지였다. 일부 문학 출처에서는 이 왕조의 왕 중 일부를 '실랑의 왕'이라고 부르기도 하고, 따라서 현대 역사가들은 실랑이의 왕조라고 부르기도 한다. 최초의 실란드 왕조라는 명칭은 바빌로니아인들이 실제로 실랑이의 횡포라고 지칭한 5왕조와 구별된다.[65] 이 왕조는 1왕조와 3왕조와 겹치며, 이들 왕들은 실제로 바빌론 그 자체보다는 바빌론(실란트) 남쪽 지역을 지배하고 있다.[22] 예를 들어, 이 왕조의 굴키샤르 왕은 사실 1왕조의 마지막 왕인 삼수디타나의 동시대의 왕이었다.[70] 이 왕조가 바빌론을 한때 지배했거나 바빌로니아의 일부 지역을 지배하거나 강하게 영향을 미쳤기 때문이거나, 바빌로니아에서 당대의 가장 안정된 세력이었기 때문에 후세의 낙서에 의해 바빌로니아의 왕조 역사에 포함되었을 가능성이 있다.[71] 아래에 열거된 날짜는 매우 불확실하며, 개별 날짜는 왕들의 통치 기간을 기준으로 하여 기원전 1725년–1475년, Beaulieu(2018년)의 왕조에 등재된 시간대를 따른다.[72]

아카드어 로부터 군림 까지 군림했다. 계승 참조
일음말리 Ilum-ma-ili (chronicle of early kings).png
일음마일레
c. 기원전 1725년 ?? 불분명한 승계 [73]
이티일리니비 Itti-ili-nibi in Akkadian.png
이티일리노이시
?? 불분명한 승계 [73]
...[d]
[e]
?? 불분명한 승계 [74]
담치이리슈 Damqi-ilishu in Akkadian.png
담치일리슈
[26년(?)] 불분명한 승계 [73]
이스키발 Ishkibal in Akkadian.png
이시키발
[15년] 불분명한 승계 [73]
슈슈시 Shushushi in Akkadian.png
슈시
[24년] 이스키발의 형제 [73]
굴키샤르 Gulkishar in Akkadian.png
굴키샤르
[55년] 불분명한 승계 [73]
m디시우엔[f] Sealand King Unknown Reading.png
[불확실성 읽기]
?? 불분명한 승계 [73]
페슈갈다라메시 Peshgaldaramesh in Akkadian.png
페살다라메시
c. 기원전 1599년 c. 기원전 1549년 굴키샤르의 아들 [73]
아야다라갈라마 Ayadaragalama in Akkadian.png
아야다라갈라마
c. 기원전 1548년 c. 기원전 1520년 페슈갈다라메시의 아들 [73]
아쿠르두아나 Akurduana in Akkadian.png
아쿠르두아나
c. 기원전 1519년 c. 기원전 1493년 불분명한 승계 [73]
멜람쿠르쿠라 Melamkurkurra in Akkadian.png
멜람쿠르쿠라
c. 기원전 1492년 c. 기원전 1485년 불분명한 승계 [73]
에가밀 Ea-gamil in Akkadian.png
에가밀
c. 기원전 1484년 c. 기원전 1475년 불분명한 승계 [73]

기원전 1729년–1155년 왕조 3세(Kassite),

BKLa에 있는 이 왕조의 이름 입구는 없어졌지만, 다른 바빌로니아 소식통들은 이를 팰러 카시(Palass Kasshi)라고 부른다.[75] 카랭다시 이전의 왕들인 이 다이애니스트의 초기 통치자들의 서열과 이름을 재구성하는 것은 어렵고 논쟁의 여지가 있다. The king lists are damaged at this point and the preserved portions seem to contradict each other: for instance, BKLa has a king in-between Kashtiliash I and Abi-Rattash, omitted in the Synchronistic King List, whereas the Synchonistic King List includes Kashtiliash II, omitted in BKLa, between Abi-Rattash and Urzigurumash. 또한 왕 목록에 오른 초기 왕들이 실제로 바빌론을 통치한 것이 아니라 후대의 통치자들의 조상인 만큼 추가되었을 가능성이 있어 보인다.[76] 바빌로니아는 제1차 실랑드 왕조의 마지막 왕인 에아가밀을 무찌른 울람부리아시 치세가 되어서야 완전히 통합되고 통일되었다.[70]

아카드어 로부터 군림 까지 군림했다. 계승 참조
간다시 Gandash in Akkadian.png
간다시
c. 기원전 1729년 c. 기원전 1704년 불분명한 승계 [77]
아금 1세 Agum in Akkadian.png
아금
c. 기원전 1703년 c. 기원전 1682년 간다시의 아들 [77]
카슈틸리아시 1세 Kashtiliash Synchronistic King List.png
카슈틸리아슈
c. 기원전 1681년 c. 기원전 1660년 아금 1세의 아들 [77]
...[g]
[h]
c. 기원전 1659년 ?? 불분명한 승계 [77]
아비랏타시 Abi-Rattash in Akkadian.png
아비랏타시
?? 카슈틸리아시 1세의 아들 [79]
카슈틸리아시 2세 Kashtiliash Synchronistic King List.png
카슈틸리아슈
?? 불분명한 승계 [79]
우르치구루마시 Urzigurumash in Akkadian.png
우르치구루마시
?? 아비랏타시의 후손(?)[i] [79]
아금 2세[j] Agum-Kakrime in Akkadian.png
아금카크리메
?? 우르치구루마시의 아들 [79]
하바슈팍 Harba-Shipak Synchronistic King List.png
자르바시팍
?? 불분명한 승계 [79]
쉬프타울지 Shipta'ulzi Synchronistic King List.png
쉬프타울지
?? 불분명한 승계 [79]
...[k]
[l]
?? 불분명한 승계 [81]
버나부리아시 1세 Burnaburiash in Akkadian.png
부나부리아시
c. 기원전 1530년 c. 기원전 1500년 불명확한 후계자, 초기 카시테의 통치자는 바빌론을 통치하는 것으로 자신 있게 증명했다. [82]
울람부리아시 Ulamburiash in Akkadian (chronicle of early kings).png
울람부리아시
[c. 기원전 1475년] 번나부리아시 1세의 아들(?)은 제1차 실란트 왕조의 마지막 왕인 에아가밀을 물리치고 바빌로니아를 통일했다. [83]
카슈틸리아시 3세 Kashtiliash Synchronistic King List.png
카슈틸리아슈
?? 번나부리아시 1세의 아들(?) [79]
아금 3세 Agum in Akkadian.png
아금
?? 카슈틸리아시 3세의 아들 [79]
카다슈만사[m] Kadashman-Sah in Akkadian.png
카다슈만샤우
?? 불명확한 후계자, 아금 3세와 공동선거운동? [85]
카린다시 Karaindash in Akkadian.png
카랭다시
[c.BC 1415년] 불분명한 승계 [79]
카다슈만하르베 1세 Kadashman-Harbe in Akkadian.png
카다슈만샤르베
[c.BC 1400년] 카랭다시의 아들(?) [86]
쿠리갈즈 1세 Kurigalzu in Akkadian.png
쿠리갈즈
?? 카다슈만하르베 1세의 아들 [79]
카다슈만엥릴 1세 Kadashman-Enlil in Akkadian.png
카다슈만엥릴
c. 기원전 1374년 c. 기원전 1360년 쿠리갈즈 1세의 아들(?)[n] [79]
버나부리아시 2세 Burnaburiash in Akkadian.png
부나부리아시
c. 기원전 1359년 c. 기원전 1333년 카다슈만 엔릴 1세의 아들(?) [79]
카라하다시 Karahardash in Akkadian.png
카라샤르다시
c. 기원전 1333년 c. 기원전 1333년 번나부리아시 2세(?)의 아들 [79]
나치-부아시 Nazibugash in Akkadian.png
나치부가시
c. 기원전 1333년 c. 기원전 1333년 다른 왕과 무관한 우수르퍼 [79]
쿠리갈즈 2세 Kurigalzu in Akkadian.png
쿠리갈즈
c. 기원전 1332년 c. 기원전 1308년 번나부리아시 2세의 아들 [79]
나치-마루타시 Nazimaruttash in Akkadian.png
나치-마루타시
c. 기원전 1307년 c. 기원전 1282년 쿠리갈즈 2세의 아들 [79]
카다슈만투르구 Kadashman-Turgu in Akkadian.png
카다슈만투르구
c. 기원전 1281년 c. 기원전 1264년 나치-마루타시의 아들 [79]
카다슈만 엔릴 2세 Kadashman-Enlil in Akkadian.png
카다슈만엥릴
c. 기원전 1263년 c. 기원전 1255년 카다슈만투르구의 아들 [79]
쿠두르엔릴 Kudur-Enlil in Akkadian.png
쿠두르엔릴
c. 기원전 1254년 c. 기원전 1246년 카다슈만 엔릴 2세의 아들 [79]
샤가락티슈리아시 Shagarakti-Shuriash in Akkadian.png
샤가라크티슈리아시
c. 기원전 1245년 c. 기원전 1233년 쿠두르엥릴의 아들 [79]
카슈틸리아시 4세 Kashtiliash Synchronistic King List.png
카슈틸리아슈
c. 기원전 1232년 c. 기원전 1225년 샤가락티슈리아시의 아들 [79]
엔릴나딘슈미[o] Enlil-nadin-shumi in Akkadian.png
엔릴나딘슈미
c. 기원전 1224년 c. 기원전 1224년 불분명한 승계 [79]
카다슈만하르베 2세[o] Kadashman-Harbe in Akkadian.png
카다슈만샤르베
c. 기원전 1223년 c. 기원전 1223년 불분명한 승계 [79]
아다드슈마이디나[o] Adad-shuma-iddina in Akkadian.png
아다드슈마이디나
c. 기원전 1222년 c. 기원전 1217년 불분명한 승계 [79]
아다드슈마우수르 Adad-shuma-usur in Akkadian.png
아다드슈마우쥐르
c. 기원전 1216년 c. 기원전 1187년 카슈틸리아시 4세(?)의 아들 [79]
멜리-슈팍 Meli-Shipak in Akkadian.png
멜리시팍
c. 기원전 1186년 c. 기원전 1172년 아다드슈마우수르의 아들 [79]
마르두크아플라아이디나 1세 Marduk-apla-iddina in Akkadian.png
마르두크아플라아이디나
c. 기원전 1171년 c. 기원전 1159년 멜리 쉬팍의 아들 [79]
자바바슈마아이딘 Zababa-shuma-iddin in Akkadian.png
자바바슈마이디나
c. 기원전 1158년 c. 기원전 1158년 불분명한 승계 [79]
엔릴나딘아히 Enlil-nadin-ahi in Akkadian.png
엔릴나딘아제
c. 기원전 1157년 c. 기원전 1155년 불분명한 승계 [79]

제4왕조 (제2대 이신), 기원전 1153–1022년

BKLa에 의하면 이 왕조의 본명은 팔로이신('이신')이었다. 짐작컨대 이신 시는 왕조의 발원지였다. 현대 역사학자들은 이 왕조를 고대 수메르 왕조인 이신 왕조와 차별화하기 위해 이신 왕조를 제2왕조라고 부른다.[65] 이전의 장학금은 이 왕조의 초대 왕인 마르두크-카빗-아흐슈가 마지막 카시테 왕과 동시에 통치한 것으로 추정했지만, 최근의 연구는 이것이 그렇지 않다는 것을 시사한다. 이 목록은 이 왕조의 왕들의 연대표인 베어리외(2018년)에 이은 것으로, 이 왕조의 연대를 수정하는 것을 의미하기도 한다.[89]

아카드어 로부터 군림 까지 군림했다. 계승 참조
마르두크카빗아흐슈 Marduk-kabit-ahheshu in Akkadian.png
마르두크카빗아a슈
c. 기원전 1153년 c. 기원전 1136년 불분명한 승계 [90]
이티마르두크발라투 Itti-Marduk-balatu in Akkadian.png
이티마르두크발라주
c. 기원전 1135년 c. 기원전 1128년 마르두크카빗아흐헤슈의 아들 [90]
니누르타나딘슈미 Ninurta-nadin-shumi in Akkadian.png
니누르타나딘슈미
c. 기원전 1127년 c. 기원전 1122년 이티-마두크발라투의 상대적(?)[p] [90]
네부카드네자르 1세 Nebuchadnezzar in Akkadian.png
나브 - 쿠두리 - 우두르
c. 기원전 1121년 c. 기원전 1100년 니누르타나딘슈미의 아들 [90]
엔릴나딘아플리 Enlil-nadin-apli in Akkadian.png
엔릴나딘아플리
c. 기원전 1099년 c. 기원전 1096년 네부갓네살 1세의 아들 [90]
마르두크나딘아헤 Marduk-nadin-ahhe in Akkadian.png
마르두크나딘아ḫ
c. 기원전 1095년 c. 기원전 1078년 니누르타나딘슈미의 아들, 엔릴나딘아플리로부터 왕위를 빼앗았다. [90]
마르두크샤피크제리 Marduk-shapik-zeri in Akkadian var. 2.png
마르두크샤픽쯔리
c. 기원전 1077년 c. 기원전 1065년 마르두크나딘아헤의 아들(?)[q] [90]
아다드아플라아이디나 Adad-apla-iddina in Akkadian.jpg
아다드아플라아이디나
c. 기원전 1064년 c. 기원전 1043년 이전 왕들과 무관한 우수르퍼 [93]
마르두크아헤에리바 Marduk-ahhe-eriba in Akkadian.png
마르두크아ḫē에르er바
c. 기원전 1042년 c. 기원전 1042년 불분명한 승계 [90]
마르두크제르엑스 Marduk-zer-X (Bertin).png
마르두크-즈라-[-][r]
c. 기원전 1041년 c. 기원전 1030년 불분명한 승계 [90]
나부섬리버 Nabu-shum-libur in Akkadian.png
나브슈무리부르
c. 기원전 1029년 c. 기원전 1022년 불분명한 승계 [90]

기원전 1021년–1001년 왕조 5세 (제2차 실란드),

BKLa에 따르면, 이 왕조의 원래 이름은 팰리엇 탐티였다. 현대 역사학자들은 2왕조와 구별하기 위해 제2왕조라고 부른다.[65]

아카드어 로부터 군림 까지 군림했다. 계승 참조
심바르셔팍 Simbar-Shipak in Akkadian.png
심바르시팍
c. 기원전 1021년 c. 기원전 1004년 Kassite 혈통, 불명확한 후계자일 것이다. [95]
에아무킨제리 Ea-mukin-zeri in Akkadian.png
에아무킨쯔리
c. 기원전 1004년 c. 기원전 1004년 아마도 카시테 가문(비트-해쉬마르 가문)이 심바르-슈팍으로부터 왕위를 빼앗았을 것이다. [95]
카슈나딘아히 Kashu-nadin-ahhe (dynastic chronicle).png
카슈나딘아치
c. 기원전 1003년 c. 기원전 1001년 아마 카시테 혈통일 것이다, 심바르슈팔(?)의 아들이다. [95]

기원전 1000–981년 왕조 6세 (Bazi),

BKLa는 이 왕조를 팰리엇 바즈('바즈의 짓')라고 부르는데, 다이나스틱 크로니클은 팰리엇 바지('비트바지의 짓')라고 부른다. 비트바지는 카시테 시대에 이미 증명된 씨족이었다. 이 왕조는 바즈 시에서 이름을 따온 것일 수도 있고, 아니면 그 도시의 전설적인 창시자인 바지의 후손에서 유래한 것일 수도 있다.[96]

아카드어 로부터 군림 까지 군림했다. 계승 참조
을마시샤킨슈미 Eulmash-shakin-shumi var. 2.png
을마샤킨슈미
c. 기원전 1000년 c. 기원전 984년 카시테 혈통일 가능성이 있음(비트바지 씨), 불명확한 후계자 [95]
니누르타쿠드리우수르 1세 Ninurta-kudurri-usur (dynastic chronicle).png
니누르타쿠두르루루우두르
c. 기원전 983년 c. 기원전 981년 카시테 혈통일 가능성이 있음(비트바지 씨), 불명확한 후계자 [95]
시리크티슈카무나 Shirikti-shuqamuna in Akkadian.png
시리크티슈카무나
c. 기원전 981년 c. 기원전 981년 닌구르타쿠드리우수르 1세의 형인 카시테 족(비트바지족)일 가능성이 있다. [95]

7세 왕조(엘람 사람), 기원전 980–975년

BKLa는 마비티 아플라주르를 수평선을 가진 다른 왕들과 조상적으로 구분하여, 그가 자신의 왕조에 속한다고 표시하였다. 다이너스틱 크로니클은 또한 그를 혼자서 분류하며, 그의 왕조(그만 포함)를 팰리엇 엘람투('엘람의 횡설수설')[97]라고 부른다.

아카드어 로부터 군림 까지 군림했다. 계승 참조
마비티아플라유수르 Mar-biti-apla-usur (dynastic chronicle).png
마르바티아플라우두르
c. 기원전 980년 c. 기원전 975년 엘라마이트 조상이 있고, 후계자가 불명확하다고 묘사되었다. [95]

8세 왕조 (E), 기원전 974–732년

BKLa에 따르면, 이 왕조의 원래 이름은 로 E('E'dythy') 'E'의 의미는 분명하지 않지만, '바빌론의 횡포'로 해석해야 한다는 뜻으로, 바빌론 시를 지칭하는 말일 가능성이 높다. E왕조의 시대는 크게 불안정한 시기였고 이 왕조 하에서 함께 묶인 관계없는 왕들은 전혀 다른 민족에 속하기도 했다. 또 다른 바빌로니아의 역사 작품인 왕조 연대기(Dynastic Chronicle, 비록 단편적으로만 보존되고 있지만)는 이 왕조를 일련의 짧고 작은 왕조로 해체한다.[98]

아카드어 로부터 군림 까지 군림했다. 계승 참조
나부무킨아플리 Nabu-mukin-apli in Akkadian.png
나브무킨아플리
c. 기원전 974년 c. 기원전 939년 바빌로니아어, 불분명한 계승 [99]
니누르타쿠드리우수르 2세 Ninurta-kudurri-usur (dynastic chronicle).png
니누르타쿠두르루루우두르
c. 기원전 939년 c. 기원전 939년 바빌로니아어, 나부무킨아플리의 아들 [99]
마비티아흐히디나 Mar-biti-ahhe-iddina in Akkadian.png
마르비티아이디나
c. 기원전 938년 ?? 바빌로니아어, 나부무킨아플리의 아들 [99]
샤마시무담미크 Shamash-mudammiq synchronistic.png
샤마시무담미크
?? c. 기원전[s] 901년 바빌로니아어, 불분명한 계승 [99]
나부슈마우킨 1세 Nabu-shuma-ukin in Akkadian.png
나브슈마우킨
c. 기원전[s] 900년 c. 기원전[t] 887년 바빌로니아어, 불분명한 계승 [99]
나부아풀라아이디나 Nabu-apla-iddina in Akkadian.png
나브아플라아이디나
c. 기원전[t] 886년 c. 기원전[t] 853년 바빌로니아어, 나부슈마우킨 1세의 아들 [99]
마르두크자키르슈미 1세 Marduk-zakir-shumi var. 2.png
마르두크자키르슈미
c. 기원전[t][u] 852년 c. 기원전[u] 825년 바빌로니아어, 나부아플라아이디나의 아들 [99]
마르두크발라수이크비 Marduk-balassu-iqbi in Akkadian.png
마르두크발라수이크비
c. 기원전[u] 824년 기원전[v] 813년 바빌로니아어, 마르두크자키르슈미 1세의 아들 [99]
바바하이드디나 Baba-aha-iddina in Akkadian.png
바바아아이디나
기원전[v] 813년 기원전[v] 812년 바빌로니아어, 불분명한 계승 [99]
바빌로니아 인터폴룸(최소 4년)[w][x]
니누르타아플라엑스 Ninurta-apla-X in Akkadian.png
니누르타-아플라-[-][y]
?? 바빌로니아어, 불분명한 계승 [99]
마르두크벨제리 Marduk-bel-zeri in Akkadian.png
마르두크빌쯔리
?? 바빌로니아어, 불분명한 계승 [99]
마르두크아플라우수르 Marduk-apla-usur in Akkadian.png
마르두크아플라우쥐르
?? c. 기원전[z] 769년 불확실한 부족의 칼데안 족장, 불명확한 계승 [99]
에리바마르두크 Eriba-Marduk in Akkadian.png
에르바마르두크
c. 기원전[z] 769년 c. 기원전[z] 760년 비트야킨족의 칼데안 족장, 불명확한 후계자 [99]
나부슈마시쿤 Nabu-shuma-ishkun in Akkadian.png
나브슈마시쿤
c. 기원전[z] 760년 기원전 748년 비트다쿠리족의 칼데안 족장, 불명확한 후계자 [99]
나보나사르 Nabonassar in Akkadian.png
나브나지르
기원전 748년 기원전 734년 바빌로니아어, 불분명한 계승 [99]
나부나딘제리 Nabu-nadin-zeri in Akkadian.png
나브나딘쥐리
기원전 734년 기원전 732년 바빌로니아 사람, 나보나사르의 아들 [99]
나부슈마우킨 2세 Nabu-shuma-ukin in Akkadian.png
나브슈마우킨
기원전 732년 기원전 732년 바빌로니아어, 불분명한 계승 [99]
: 바빌로니아 목록 A는 E 왕조의 17명의 왕들의 이름을 기록하고 있으나, 그 후 왕조가 22명의 왕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명시되어 있다. 이 불일치는 서기의 오류로 설명될 수 있지만, 그 순서에 더 많은 왕들이 있었을 가능성도 있다. 그 명단은 중요한 지점에서 깨지고, 바빌로니아 중간고사 말기와 니누르타-아플라-X의 통치 사이에 이름이 살아남지 못하는 5명의 왕이 추가 투입될 가능성도 있다.[106] 현대 역사가들에 의한 바빌로니아 통치자들의 목록은 바바-아하-아이디나가 퇴위한 후 처음으로 통치한 왕으로 니누르타-아플라-X를 나열하는 경향이 있다.[99]

왕조 9세(아시리아), 기원전 732년–626년

'다이스티 9세'는 대체로 아다시드 왕조와 그 후의 사르고니드 왕조의 아시리아 왕을 비롯하여 여러 비다니스적인 신하와 반란 왕들을 포함한 네오아시리아 제국에 의해 통치되던 시기에 바빌로니아의 통치자들을 가리키는 말로 쓰인다. 그들은 종종 현대 학자들에 의해 왕조로 분류되는데, BKLa는 왕조를 구분하기 위해 리스트의 다른 곳에서 사용되는 통치자들을 분리하기 위해 선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이다.[22] BKLa는 또한 몇몇 왕들에게 개별 왕조의 라벨을 할당하지만, 따라서 더 구체적인 이전의 왕조들에 대해 행해진 것과 같은 방식은 아니다.[22] 각 왕과 관련된 팰레 명칭(무셰집-마두크까지 리스트에 기록됨)은 아래 표에 포함되며 팔레스(2014년)를 따른다.[107]

아카드어 로부터 군림 까지 군림했다. 팰리스 계승 참조
나부무킨제리 Nabu-mukin-zeri in Akkadian.png
나브무킨쯔리
기원전 732년 기원전 729년 팔레 샤피
'샤피 역'
비트아무카니족의 칼데안 족장이 왕위를 빼앗았다. [108]
티글라스필레세르 3세 Tiglath-pileser in Akkadian.png
투쿠르트아필에샤라
기원전 729년 기원전 727년 팔레 발틸
'[아수르]의 횡설수설'
네오아시리아 제국의 왕 — 바빌론을 정복했다. [108]
샬마네세르 5세 Shalmaneser in Akkadian.png
살마누아샤르드
기원전 727년 기원전 722년 네오아시리아 제국의 왕 — 티글라스빌레세르 3세의 아들 [108]
마르두크아플라아이디나 2세
(첫 번째 재위)
Marduk-apla-iddina in Akkadian.png
마르두크아플라아이디나
기원전 722년 기원전 710년 팰리 탐티
'실랑의 횡포'
샬마네세르 5세의 죽음으로 왕을 선포한 비트야킨족의 칼데안 족장 [108]
사르곤 2세 Sargon in Neo-Assyrian2.png
샤루쿤
기원전 710년 기원전 705년 팔레 샤비갈
'[하니갈바트]의 횡설수설'
네오아시리아 제국의 왕 — 티글라스빌레세르 3세의 아들 (?) [108]
센나체리브
(첫 번째 재위)
Sennacherib in Akkadian.png
신아헤에르흐바
기원전 705년 기원전 703년 네오아시리아 제국의 왕 — 사르곤 2세의 아들 [108]
마르두크자키르슈미 2세 Marduk-zakir-shumi var. 2.png
마르두크자키르슈미
기원전 703년 기원전 703년 아라드이아
'아랏이아의 아들 [후설]'
아라드-에아 가의 바빌로니아 반란군, 반란왕 [108]
마르두크아플라아이디나 2세
(제2의 재위)
Marduk-apla-iddina in Akkadian.png
마르두크아플라아이디나
기원전 703년 기원전 703년 ERIN 쟈비
' [하니갈바트?]'
왕위를 되찾은 비트야킨족의 칼데안 족장 [108]
벨리브니 Bel-ibni (chronicle of early kings).png
벨리브니
기원전 703년 기원전 700년 팰리에
'E의 횡설수설'
센나체립이 임명한 랍바누 가문의 바빌로니아 신하 왕 [108]
아슈르나딘슈미 Ashur-nadin-shumi in Akkadian2.png
아슈르나딘슈미
기원전 700년 기원전 694년 팔레 샤비갈
'[하니갈바트]의 횡설수설'
세나체립의 아들, 아버지가 신하로 임명함 [108]
네갈우셰집 Nergal-ushezib in Akkadian.png
네르갈우셰지브
기원전 694년 기원전 693년 팰리에
'E의 횡설수설'
바빌로니아계 가잘족 반군, 반란왕 [108]
무셰집마두크 Mushezib-Marduk in Akkadian.png
무셰지브마르두크
기원전 693년 기원전 689년 비트다쿠리족의 칼데안 족장, 반란왕 [108]
센나체리브[aa]
(제2의 재위)
Sennacherib in Akkadian.png
신아헤에르흐바
기원전 689년 10월 20일
기원전 681년
네오아시리아 제국의 왕 — 바빌로니아를 되찾았다. [112]
에사르하돈 Esarhaddon in Akkadian.png
아슈르아히다이나
12월
기원전 681년
11월 1일
기원전 669년
네오아시리아 제국의 왕 — 센나체립의 아들 [113]
아슈르바니팔[ab]
(첫 번째 재위)
Ashurbanipal in Akkadian.png
아슈르바니아플리
11월 1일
기원전 669년
3월
기원전 668년
네오아시리아 제국의 왕 — 에사르하돈의 아들 [109]
샤마쉬숨우킨 Shamash-shum-ukin in Akkadian2.png
샤마시슈마우킨
3월
기원전 668년
기원전 648년 그의 아버지가 바빌론의 후계자로 지명한 에사르하돈의 아들이 아슈르바니팔에 의해 신하 왕으로 투신하였다. [109]
아슈르바니팔[ac]
(제2의 재위)
Ashurbanipal in Akkadian.png
아슈르바니아플리
기원전 648년 기원전 646년 네오아시리아 제국의 왕 — 샤마쉬숨우킨의 반란을 겪은 후 바빌론을 다시 함락시켰다. [115]
칸달라누 Kandalanu in Akkadian2.png
칸달라누
기원전 647년 기원전 627년 아슈르바니팔에 의해 신하 왕으로 임명됨 [109]
신슈무리시르[ad] Sin-shumu-lishir in Akkadian.png
신슈무릴시르
기원전 626년 기원전 626년 바빌로니아에서 인정받은 네오아시리아 제국의 우수르퍼 [109]
싱샤리쉬쿤[ad] Sinsharishkun in Akkadian.png
신샤르시쿤
기원전 626년 기원전 626년 네오아시리아 제국의 왕 — 아슈르바니팔의 아들 [109]

왕조 X(찰드), 기원전 626–539년

이 왕조의 고유 이름은 어떠한 출처에도 나타나지 않는데, 이는 바빌로니아 연대기자들이 왕조의 개념을 바빌로니아 역사를 기술하는 데 사용하는 것을 중단한 헬레니즘 시대에 만들어진 왕 목록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현대의 역사학자들은 왕조의 민족적 기원으로 추정되는 후, 이 왕들이 네오바빌론 제국, 즉 '찰데아 왕조'를 통치했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왕조를 '네오바빌론 왕조'라고 부른다.[22] 후기 문서인 왕조판서(Dynastic Chronicle)는 나보니두스를 '하란 왕조'(Palé arraran)의 창시자이자 유일한 왕으로 지칭하며, 또한 네리글리사르의 즉위과 함께 왕조판정을 나타낼 수도 있으나 본문의 상당부분이 단편적이다.[117][118]

아카드어 로부터 군림 까지 군림했다. 계승 참조
나보폴라사르 Nabopolassar in Akkadian.png
나브아플라우쥐르
11월 22일 23일
기원전 626년
7월
기원전 605년
바빌로니아 반란군, 신샤리쉬쿤을 물리쳤다. [119]
네부카드네자르 2세 Nebuchadnezzar in Akkadian.png
나브 - 쿠두리 - 우두르
8월
기원전 605년
10월 7일
기원전 562년
나보폴라사르의 아들 [119]
아멜마르두크 Amel-Marduk in Akkadian.png
아멜마르두크
10월 7일
기원전 562년
8월
기원전 560년
네부갓네살 2세의 아들 [119]
네리글리사르 Neriglissar in Akkadian.png
네르갈샤르우쥐르
8월
기원전 560년
4월
기원전 556년
느부갓네살 2세의 사위, 왕위를 빼앗았다. [119]
라바시마르두크 Labashi-Marduk in Akkadian.png
라바시마르두크
4월
기원전 556년
6월
기원전 556년
네리글리사의 아들 [119]
나보니두스 Nabonidus in Akkadian.png
나브나시드
5월 25일
기원전 556년
10월 13일
기원전 539년
느부갓네살 2세(?)의 사위가 왕위를 빼앗았다. [120]

바빌론, 기원전 539년 – AD 224년

왕조의 개념은 네오바빌론 제국의 멸망 이후 만들어진 왕 목록에 사용되지 않았으며, 이는 찰데안 왕을 계승한 외국 제국의 지배 왕조에 대한 바빌로니아 토착의 지정이 알려지지 않았다는 것을 의미한다.[22]

왕조 12세(아케메니드), 기원전 539–331년

아카드어 로부터 군림 까지 군림했다. 계승 참조
키루스 2세 Cyrus in Akkadian.png
쿠라시
10월 29일
기원전 539년
8월
기원전 530년
아케메니드 제국의 왕 — 바빌론을 정복했다. [121]
캄비세스 2세 Cambyses in Akkadian.png
캄부자
8월
기원전 530년
4월
기원전 522년
아케메니드 제국의 왕 — 키루스 2세의 아들 [121]
바르디야 Bardiya in Akkadian.png
바르지아
4월/5월
기원전 522년
9월 29일
기원전 522년
아케메니드 제국의 왕 — 키루스 2세 또는 사기꾼의 아들 [121]
네부카드네자르 3세 Nebuchadnezzar in Akkadian.png
나브 - 쿠두리 - 우두르
10월 3일
기원전 522년
12월
기원전 522년
나보니두스의 아들이라고 주장하는 자작쿠 가문의 바빌로니아 반란군. [122]
다리우스 1세
(첫 번째 재위)
Darius in Akkadian.png
다리무시
12월
기원전 522년
8월 25일
기원전 521년
아케메니드 제국의 왕 - 키루스 2세의 먼 친척 [121]
네부카드네자르 4세 Nebuchadnezzar in Akkadian.png
나브 - 쿠두리 - 우두르
8월 25일
기원전 521년
11월 27일
기원전 521년
나보니두스의 아들로 자처하는 아르메니아 혈통의 바빌로니아 반란군 [123]
다리우스 1세
(제2의 재위)
Darius in Akkadian.png
다리무시
11월 27일
기원전 521년
11월
기원전 486년
아케메니드 제국의 왕 — 바빌론을 되찾았다. [121]
크세르크세스 1세
(첫 번째 재위)
Xerxes in Akkadian.png
아샤르슈
11월
기원전 486년
7월
기원전 484년
아케메니드 제국의 왕 — 다리우스 1세의 아들 [121]
샤마슈에리바 Shamash-eriba in Akkadian.png
샤마슈에리바
7월
기원전 484년
10월
기원전 484년
바빌로니아 반란군 [124]
벨시만니 Bel-shimanni in Akkadian.png
벨시마니
7월
기원전 484년
8월
기원전 484년
바빌로니아 반란군 [124]
크세르크세스 1세
(제2의 재위)
Xerxes in Akkadian.png
아샤르슈
10월
기원전 484년
기원전 465년 아케메니드 제국의 왕 — 바빌론을 되찾았다. [121]
아르탁세르크세스 1세 Artaxerxes in Akkadian.png
아르탁사츠
기원전 465년 12월
기원전 424년
아차메니드 제국의 왕 — 크세르크세스 1세의 아들. [121]
크세르크세스 2세
[에에]
기원전 424년 기원전 424년 아차메니드 제국의 왕 — 아르탁세르크세스 1세의 아들. [121]
소그디아누스
[에에]
기원전 424년 기원전 423년 아차메니드 제국의 왕 — 아르탁세르크세스 1세의 사생아 [121]
다리우스 2세 Darius in Akkadian.png
다리무시
2월
기원전 423년
c4월
기원전 404년
아차메니드 제국의 왕 — 아르탁세르크세스 1세의 사생아 [121]
아르탁세르크세스 2세 Artaxerxes in Akkadian.png
아르탁사츠
c4월
기원전 404년
기원전 359년/358년 아케메니드 제국의 왕 — 다리우스 2세의 아들 [121]
아르탁세르크세스 3세 Artaxerxes in Akkadian.png
아르탁사츠
기원전 359년/358년 기원전 338년 아차메니드 제국의 왕 — 아르탁세르크세스 2세의 아들. [121]
아르탁세르크세스 4세 Artaxerxes in Akkadian.png
아르탁사츠
기원전 338년 기원전 336년 아차메니드 제국의 왕 — 아르탁세르크세스 3세의 아들. [121]
니딘벨 Nidin-Bel cuneiform.png
니딘빌
기원전 336년 기원전 336년/335년 바빌로니아 반란군(?)은 우륵왕 리스트에서만 증명되었으며, 또는 서기의 오류였다. [125]
다리우스 3세 Darius in Akkadian.png
다리무시
기원전 336년/335년 10월
기원전 331년
아차메니드 제국의 왕 — 아르탁세르크세스 2세의 손자 [121]

왕조 13세 (Argead), 기원전 331–305년

아카드어 로부터 군림 까지 군림했다. 계승 참조
알렉산더 3세 Alexander in Akkadian.png
앨릭산다르
10월
기원전 331년
6월 11일
기원전 323년
마케도니아의 왕 — 아케메니드 제국을 정복했다. [126]
필립 3세 아르후스 Philip in Akkadian.png
필립수
6월 11일
기원전 323년
기원전[af] 317년 마케도니아의 왕 — 알렉산더 3세의 동생 [128]
안티고누스 1세[ag] Antigonus in Akkadian.png
안티구누수
기원전 317년 기원전 309년/308년 안티고니드 제국의 왕 — 알렉산더 3세의 장군(디아도쿠스) [131]
알렉산더 4세 Alexander in Akkadian.png
앨릭산다르
기원전 316년 기원전[ah] 310년 마케도니아의 왕 — 알렉산더 3세의 아들 [133]

왕조 13세(셀레우시드), 기원전 305–141년

아카드어 로부터 군림 까지 군림했다. 계승 참조
셀레우코스 1세 Seleucus in Akkadian.png
실루쿠
기원전[ai] 305년 9월
기원전 281년
셀레우시드 제국의 왕 — 알렉산더 3세의 장군(디아도쿠스) [133]
안티오코스 1세 소테르 Antiochus in Akkadian.png
반추쿠수
기원전[aj] 294년 6월 2일
기원전 261년
셀레우시드 제국의 왕 — 셀레우코스 1세의 아들 [135]
셀레우코스[ak] Seleucus in Akkadian.png
실루쿠
기원전 281년 기원전 266년 셀레우치드 제국의 공동왕 — 안티오코스 1세의 아들 [136]
안티오코스 2세 Antiochus in Akkadian.png
반추쿠수
기원전[aj] 266년 7월
기원전 246년
셀레우시드 제국의 왕 — 안티오코스 1세의 아들 [135]
셀레우코스 2세 Seleucus in Akkadian.png
실루쿠
7월
기원전 246년
기원전 225년 셀레우시드 제국의 왕 — 안티오코스 2세의 아들 [135]
셀레우코스 3세 Seleucus in Akkadian.png
실루쿠
기원전 225년 기원전 223년 셀레우시드 제국의 왕 — 셀레우코스 2세의 아들 [137]
안티오코스 3세 Antiochus in Akkadian.png
반추쿠수
기원전 223년 7월 3일
기원전 187년
셀레우시드 제국의 왕 — 셀레우코스 2세의 아들 [137]
안티오코스[알] Antiochus in Akkadian.png
반추쿠수
기원전 210년 기원전 192년 셀레우치드 제국의 공동왕 — 안티오코스 3세의 아들 [139]
셀레우코스 4세 Seleucus in Akkadian.png
실루쿠
기원전[aj] 189년 9월 3일
기원전 175년
셀레우시드 제국의 왕 — 안티오코스 3세의 아들 [140]
안티오코스 4세 Antiochus in Akkadian.png
반추쿠수
9월 3일
기원전 175년
기원전 164년 셀레우시드 제국의 왕 — 안티오코스 3세의 아들 [141]
안티오코스[알] Antiochus in Akkadian.png
반추쿠수
기원전 175년 기원전 170년 셀레우시드 제국의 공동왕 - 셀레우코스 4세의 아들 [142]
안티오코스 5세 Antiochus in Akkadian.png
반추쿠수
기원전 164년 기원전 162년 셀레우시드 제국의 왕 — 안티오코스 4세의 아들 [143]
데메트리오스 1세 소테르
(첫 번째 재위)
Demetrius in Akkadian.png
디미트리
c. 1월
기원전[am] 161년
c. 1월
기원전 161년
셀레우시드 제국의 왕 — 셀레우코스 4세의 아들 [145]
티마쿠스
[안]
c. 1월
기원전[ao] 161년
c. 5월
기원전[ao] 161년
셀레우치드 족의 반란군 포탑 — 포로로 잡혔고 잠시 바빌로니아를 통치했다. [146]
데메트리오스 1세 소테르
(제2의 재위)
Demetrius in Akkadian.png
디미트리
c. 5월
기원전 161년
기원전 150년 셀레우시드 제국의 왕 — 바빌로니아를 다시 정복했다. [147]
알렉산더 발라스 Alexander in Akkadian.png
앨릭산다르
기원전 150년 기원전 146년 셀레우시드 제국의 왕 - 아마도 안티오코스 4세의 아들일 것이다. [148]
데메트리오스 2세 니케이터 Demetrius in Akkadian.png
디미트리
기원전 146년 기원전 141년 셀레우시드 제국의 왕 — 데메트리오스 1세의 아들. [149]

141 BC – AD 224년 왕조 144년

참고: 특히 초기의 파르티아 왕들의 연대기는 자료의 부족으로 인해 논란이 되고 있다. 경쟁 왕과 우매한 여러 왕들을 생략한 이곳의 연대기는 주로 샤이간(2011),[150] 드브라우아(2012),[151] 다라이에(2012)를 따른다.[152] 대체 해석은 파르티아 군주 목록을 참조한다.
아카드어 로부터 군림 까지 군림했다. 계승 참조
미트리다테스 1세 Arsaces in Akkadian.png
아르샤카[ap]
기원전 141년 기원전 132년 파르티아 제국의 왕 — 바빌로니아를 정복했다. [155]
프라아테스 2세
(첫 번째 재위)
Arsaces in Akkadian.png
아르샤카
기원전 132년 7월
기원전 130년
파르티아 제국의 왕 — 미트리다테스 1세의 아들. [156]
린누[aq] Rinu in Akkadian.png
[—][ar]
기원전 132년 7월
기원전 130년
즉위 당시 미성년자였던 프라아테스 2세의 어머니 및 섭정 [156]
안티오코스 7세 Antiochus in Akkadian.png
반추쿠수
7월
기원전 130년
11월
기원전 129년
셀레우시드 제국의 왕 — 데메트리오스 1세의 아들, 바빌로니아를 정복했다. [159]
프라아테스 2세
(제2의 재위)
Arsaces in Akkadian.png
아르샤카
11월
기원전 129년
기원전[as] 128/127년 파르티아 제국의 왕 — 바빌로니아를 다시 정복했다. [161]
우불나[at] Ubulna in Akkadian.png
우불나
11월
기원전 129년
기원전 128/127년 프라아테스 2세와 관련된 불분명한 정체성 – 아마도 그의 여왕 [161]
히스파오신 Hyspaosines in Akkadian.png
아스파시노
기원전[as] 128/127년 11월
기원전 127년
Characene의 왕 — 안티오코스 7세 시데테스의 선거 운동 후에 바빌론을 사로잡았다. [162]
아르타바누스 1세 Arsaces in Akkadian.png
아르샤카
11월
기원전 127년
기원전 124년 파르티아 제국의 왕 — 미트리다테스 1세의 동생으로 바빌로니아를 정복했다. [163]
미트리다테스 2세 Arsaces in Akkadian.png
아르샤카
기원전 124년 기원전 91년 파르티아 제국의 왕 — 아르타바누스 1세의 아들. [164]
고타르제 1세 Arsaces in Akkadian.png
아르샤카
기원전 91년 기원전 80년 파르티아 제국의 왕 — 미트리다테스 2세의 아들 [165]
아시아바타르[at] Asi'abatar in Akkadian.png
아샤바툼
기원전 91년 기원전 80년 고타르제 1세의 아내(여왕) [165]
오로데스 1세 Arsaces in Akkadian.png
아르샤카
기원전 80년 기원전 75년 파르티아 제국의 왕 — 미트리다테스 2세 또는 고타르제 1세의 아들. [166]
이스부바차[at] 이스부라자 기원전 80년 기원전 75년 오로데스 1세의 자매(여왕) [167]
시나트루세스 Arsaces in Akkadian.png
아르샤카
기원전 75년 기원전 69년 파르티아 제국의 왕 — 미트리다테스 1세의 아들 또는 형제 [168]
프라아테스 3세 Arsaces in Akkadian.png
아르샤카
기원전 69년 기원전 57년 파르티아 제국의 왕 — 시나트루케스의 아들 [169]
피리우스타나[at] 피리우스타나 기원전 69년 ?? 프라아테스 3세의 아내(여왕) [170]
텔레루니케[at] 젤루니치 ?? 기원전 57년 프라아테스 3세의 아내(여왕) [170]
오로데스 2세 Arsaces in Akkadian.png
아르샤카
기원전 57년 기원전 38년 파르티아 제국의 왕 — 프라아테스 3세의 아들 [171]
프라아테스 4세 Arsaces in Akkadian.png
아르샤카
기원전 38년 기원전 2년 파르티아 제국의 왕 — 오로데스 2세의 아들 [172]
프라아테스 5세[au] Arsaces in Akkadian.png
아르샤카
기원전 2년 AD 4 파르티아 제국의 왕 — 프라아테스 4세의 아들 [173]
오로데스 3세 Arsaces in Akkadian.png
아르샤카
AD 4 AD 6 파르티아 제국의 왕 — 프라아테스 4세의 아들 (?) [174]
보노네스 1세 Arsaces in Akkadian.png
아르샤카
AD 6 AD 12 파르티아 제국의 왕 — 프라아테스 4세의 아들 [175]
아르타바누스 2세 Arsaces in Akkadian.png
아르샤카
AD 12 AD 38 파르티아 제국의 왕 — 프라아테스 4세의 손자 (?) [176]
바르다네스 1세 Arsaces in Akkadian.png
아르샤카
AD 38 AD 46년 파르티아 제국의 왕 — 아르타바누스 2세의 아들 [176]
고타르제스 2세 Arsaces in Akkadian.png
아르샤카
AD 38 AD 51 파르티아 제국의 왕 — 아르타바누스 2세의 아들 [176]
보노네스 2세 Arsaces in Akkadian.png
아르샤카
AD 51 AD 51 파르티아 제국의 왕 — 프라아테스 4세의 손자 (?) [177]
볼로게아제 1세 Arsaces in Akkadian.png
아르샤카
AD 51 AD78년 파르티아 제국의 왕 — 보노네스 2세 또는 아르타바누스 2세의 아들 [155]
파코루스 2세 Arsaces in Akkadian.png
아르샤카
AD78년 AD 110 파르티아 제국의 왕 — 볼로게아시스 1세의 아들 [178]
아르타바누스 3세[av] Arsaces in Akkadian.png
아르샤카
AD 79/80 AD 81 파르티아 제국의 라이벌 왕 (Against Pacorus II) — 볼로게아시스 1세의 아들 [179]
오스로스 1세
[아우]
AD 109 서기 129년 파르티아 제국의 왕 — 파코루스 2세의 아들 [180]
볼로게아제 3세
[아우]
AD 110 AD 147년 파르티아 제국의 왕 — 파코루스 2세의 아들 [181]
파르타마스파테스
[아우]
AD 116 AD 117 파르티아 제국의 왕 — 오스로스 1세의 아들 [182]
볼로게아시스 4세
[아우]
AD 147년 AD 191년 파르티아 제국의 왕 — 파코루스 2세의 손자 [182]
볼로게아시스 V
[아우]
AD 191년 AD 208년 파르티아 제국의 왕 — 볼로게아시스 4세의 아들 [183]
볼로게아시스 6세
[아우]
AD 208년 AD 216/228 파르티아 제국의 왕 — 볼로게아시스 5세의 아들 [184]
아르타바누스 4세
[아우]
AD 216년 AD 224년 파르티아 제국의 왕 — 볼로게아시스 5세의 아들 [185]

참고 항목

메모들

  1. ^ 샤마쉬의 별은 아카디아 시대부터 네오바빌론 시대까지 메소포타미아 남부에서 표준으로 자주 사용되었다.[1]
  2. ^ 안티오코스 실린더는 바빌로니아 쐐기풀로 쓰여져 있지만, 다소 비정하고 이상한 기호의 선택이 있다. 안티오코스라는 명칭을 그대로 옮긴 것은 안티오코스라는 같은 철자를 썼지만 일반적인 바빌로니아어 표지와 아시리아어 표기를 함께 한 것이 특징이다.[61]
  3. ^ 수스무아밤은 바빌로니아의 왕 목록 A와 B에 따르면 바빌로니아의 첫 번째 왕이었다. 바빌론에서 그의 통치에 대한 동시대적인 증거는 없다; 바빌론 자체에 텍스트 증거가 있는 가장 초기 통치자는 왕 목록에 따르면 다섯 번째 왕인 신무발리트다. 스스무아붐은 동시대에 딜바트, 시파르, 키수라 등의 통치자로 증명되지만, 그와 스스무라엘(그의 후계자로 추정되는)이 동시대인이었음을 암시하는 증거가 있는 것 같다. 이후 바빌로니아 제1왕조의 통치자들은 수무아불이 아닌 수무라엘을 자신들의 왕조의 시조로 칭했다. 수무아범이 바빌론을 지배하지 않았을 가능성도 있지만, 어떤 이유에서인지 후세의 전통에 삽입되어 도시의 왕조사에 들어갔다. 아마도 스스무라엘은 더 큰 영토 집단을 지배했을지도 모르는 스스무아밤의 신하로서 바빌론을 다스렸는지도 모른다.[68]
  4. ^ 어떤 왕 목록도 이티-이리-니비와 담치-이리수 사이의 왕을 포함하지 않으며, 바빌로니아 왕 목록 A에는 왕조 2세가 11명의 왕을 가졌다고 명시되어 있어 이 인물의 존재에 반한다. 따라서 여기에 무명왕의 존재는 BKLa의 5행과 6행 사이, 이티이리니비(Itti-Ili-nibi)와 담치이리수(Damqi-liishu) 사이에 ASH라는 간판이 존재한다는 사실에 근거하여 매우 추측이 깊으며, 이는 이들 사이에 왕을 지칭하는 것일 수도 있는 것으로, 명단의 후반에 있는 같은 간판이 일부 학자들에 의해 또 다른 무명왕의 증명되고 있다.싱크로나이틱 킹 리스트에 있지만 다른 출처에서는 매력적이지 않다.[74]
  5. ^ 이름이 보존되지 않음.[74]
  6. ^ 바빌로니아 킹 리스트 A와 B에서 생략, 싱크로나이틱 킹 리스트에만 포함됨. 그의 이름을 나타내는 표지판의 읽기는 확실하지 않다.[72] 이 문제는 이 태블릿의 초기 사진 품질이 좋지 않은 점과 그에 따른 상태가 악화되었기 때문에 발생한다. BKLa의 10행과 11행 사이에, 굴키샤르와 페쉬갈다라메쉬 사이에 ASH라는 간판의 존재는 그들 사이의 왕에 대한 언급일 수도 있다.[74] 그가 한 출처에만 등장하고, BKLa는 이 왕조의 왕 11명이 있었다고 진술하고 있는 것을 볼 때, 그의 존재는 확실하지 않다. 아마도 그는 아주 잠깐 동안 군림했던 진짜 왕이었을 것이다.[74]
  7. ^ 바빌로니아 왕 목록 A는 카슈틸리아시 1세와 아비-랏타시 사이에 왕을 추가하지만, 목록이 손상되어 이름이 보존되지 않는다. 싱크로나이티컬 킹 리스트는 이 수치를 생략한다.[78]
  8. ^ 이름이 보존되지 않음.[78]
  9. ^ 아금 2세의 비문을 읽을 수 있는 한 가지 가능성은 아비랏타시가 아금 2세의 아버지 우르치구루마시의 조상이었다는 것을 나타낸다.[80]
  10. ^ 아금 2세가 자신의 비문에서 우르치구루마시를 자신의 아버지로 명시적으로 언급함에 따라, 베어리외(2018)는 그를 우르치구루마시의 직접 후계자로 내세웠다.[78] 첸(2020)은 나중에 그를 번아부리아시 1세의 직계 전임자로 임명했다.[66]
  11. ^ 십타울지와 번아부리아시 1세 사이에 왕이 있다는 것은 바빌로니아 왕 목록 A와 싱크로나이틱 왕 목록으로 표시되지만, 두 텍스트가 모두 손상되었기 때문에 어느 목록도 이 통치자의 이름을 보존하지 않는다. 역사적으로 남아 있는 파편들은 이 왕의 이름이 아금이었음을 암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 왔으나, 이 낭독은 현대 학자들에 의해 버려져 왔다.[78]
  12. ^ 이름이 보존되지 않음.[78]
  13. ^ 카다슈만 사는 킹 리스트에 등장하지 않는다. 그의 존재에 대한 유일한 증거는 '아금·카다슈만-사'의 통치 기간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판으로, 그가 왕이었음을 암시하며, 어떤 형태로든 공동 통치 형태가 있었다는 것이다. 지방권력만 가진 과도통치자였을 가능성이 있다.[84]
  14. ^ 카다슈만-엔릴 1세와 쿠리갈즈 1세 사이의 가족적 연관성을 직접적으로 나타내는 출처는 없지만, 카다슈만-엔릴 1세의 추정 아들 번나부리아시 2세는 편지에서 쿠리갈즈 1세를 그의 조상으로 언급하고 있다.[87]
  15. ^ a b c 카슈틸리아시 4세는 아시리아 왕 투쿨티-니누르타 1세 1225년에 폐위되었다. 볼레오니아 연대기는 투쿨티-니누르타 1세를 바빌로니아인들이 반란을 일으켜 카슈틸리아시 4세의 아들 아다드슈마우사르를 왕좌에 앉힐 때까지 7년 동안 바빌로니아의 벽을 허물고 도시를 그의 제국에 편입시킨 것으로 묘사하고 있다. 바빌로니아 왕 목록 A는 카슈틸리아시 4세와 아다드슈마-usur 사이의 통치자 3명을 열거하면서 이와 모순된다. 이 세 왕의 통치가 7년도 채 안 되는 기간으로 집계되면서 학자들은 역사적으로 이 세 왕이 투쿨티-니누르타 1세의 신하로 임명되었다는 의미로 해석해 왔다. 바빌로니아 연대기는 아다드슈마우수르가 북쪽(그리고 바빌로니아 자체)을 지배하는 투쿨티-니누르타와 동시에 바빌로니아 남쪽을 통치했음을 암시하는 것 같다. 베어리외(2018년)는 이들 세 왕이 서로의 후계자가 아닌 동시대의 라이벌이었을 가능성을 제시하고, 아다드슈마우수르가 카슈틸리아시 4세를 직접 계승했지만 남쪽에서만 성공했고, 집권 말기에야 바빌론을 장악했을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88]
  16. ^ 니누르타-나딘슈미와 그의 직계 전임자들 사이의 가족 연계는 출처로부터 증명될 수 없지만, 이 왕조에서 왕위 계승에 있어서 확실히 증명된 유일한 단절은 출처에서의 usurper로 명시적으로 지정되어 있는 Adad-appla-iddina의 가입이었다.[91]
  17. ^ 마르두크샤피크제리는 한때 마르두크나딘아흐의 아들로 증명된 것으로 여겨졌으나, 관련 본문의 판독은 불확실하다- 마르두크샤피크제리가 마르두크나딘아흐의 아들로 증명되거나 반증될 수 없다.[92] 이 왕조에서 왕위에 대한 가족 승계의 유일한 단절이 증명된 것은 아다드-아플라-iddina의 가입이었는데, 그는 명백히 출처 내에서의 추방자로 지정되어 있다.[91]
  18. ^ 이 왕의 이름은 어떤 출처에서도 완전한 형태로 살아남지 못했다. 그의 이름으로 된 'X'는 현대 역사가들이 빠진 부분을 표시하기 위해 삽입한 것이다. 그의 이름의 두 번째 요소인 제라(Z zra)의 읽기는 완전히 확실하지 않다. According to Brinkman (1968), there are many possibilities for what the full name was (based on known Babylonian names with the same first two elements), including: Marduk-zēra-ibni, Marduk-zēra-iddina, Marduk-zēra-iqīša, Marduk-zēra-uballiṭ, Marduk-zēra-ukīn, Marduk-zēra-uṣur, Marduk-zēra-ušallim and Marduk-zēra-līšir.[94]
  19. ^ a b 샤마쉬무담미크는 아시리아 왕 아다드니라리 2세에게 기원전 901년에 패배한 것으로 묘사된다.[100]
  20. ^ a b c d 베어리외(2018)는 나부아플라아이디나가 왕으로 즉위한 지 31년이 기원전 855년이었다고 밝히고 있다.[100] 첸(2020년)은 나부아플라아이디나를 33년 치기로 추대한다.[66]
  21. ^ a b c 첸(2020)은 마르두크자키르슈미 1세를 27년 재위한다.[66]
  22. ^ a b c 마르두크발라수이크비(Marduk-balassu-iqbi)는 기원전 813년 아시리아 왕 샴시-아다드 5세에 의해 폐위되었다. 그로부터 1년도 채 지나지 않은 기원전 812년, 샴시 아다드는 마르두크발라수이치의 후계자인 바바하이드디나를 폐위시켰다.[101]
  23. ^ 바바하이드디나가 기원전 812년 아시리아 왕 샴시-아다드 5세에게 포로로 잡혀 앗시리아로 끌려간 후, 바빌로니아는 몇 년(적어도 4년) 동안 지속되는 틈새에 들어갔는데, 이 시기는 연대기에서 "땅에 왕이 없는 시기"라고 묘사하고 있다. 이 시기에 바빌로니아에서 왕권을 주장했던 주요 주장자는 아시리아인이었다. Though they did not claim the title 'king of Babylon', Shamshi-Adad V took the title 'king of Sumer and Akkad' after his victory in 812 BC and Shamshi-Adad's son and successor, Adad-nirari III, claimed that 'all the kings of Chaldea' were his vassals and that he had received tribute, as well as sacrificial meals (a Babylonian royal prerogative) at 바빌론 그래서 적어도 명목상으로 바빌로니아 왕관은 아시리아인들에게 점령당했지만 아시리아가 약화된 상태에 있었기 때문에 그 왕들은 그 상황을 완전히 이용할 수 없었다.[102]
  24. ^ 이 시기 찰데안 부족 중 일부는 왕실 바빌로니아 세력을 주장하거나 그들 자신의 독립을 주장하기도 했다. 간경시대부터 전해지는 도장은 바빌로니아 전통 왕실 가문에서 비트야킨족(그리고 후대 왕 에리바-마두크의 아버지)의 족장 마두크샤킨슈미를 묘사하고 있다. '닭쿠루의 후손인 나부슈무리시르의 팔레스'에 무게가 실리는 내용을 담은 계약서 판도 있다. 비트다쿠리 부족의 나부슈무리시르가 '팔라스'에 거주한다고 주장하는 것은 왕이라고 주장하는 것이나 다름없었다.[102]
  25. ^ 니누르타-아플라-X는 바빌로니아 왕 목록 A로부터만 알려져 있는데, 그의 이름이 단절되고 불완전하게 보존되어 있다. 그의 이름으로 된 'X'는 현대 역사가들이 빠진 부분을 표시하기 위해 삽입한 것이다.[103][104] 이름의 두 번째 요소인 pla는 완전히 확실한 판독이 아니다.[104] 브링크만(1968년)에 의하면, 정식 명칭은 니누르타-아플라-우아수르(Ninurta-apla-uurur) 또는 이와 비슷한 것이었을지도 모른다고 한다.[104]
  26. ^ a b c d 베어리외(2018)는 에리바-마두크가 왕으로 9번째이자 지난해에 왕으로 즉위한 것이 기원전 760년이었다고 쓰고 있다.[105]
  27. ^ 기원전 689년부터 681년까지 센나체리브를 바빌로니아의 왕으로 인정하는 것은 바빌로니아 왕들의 현대 목록에서 일반적인 것이다.[109] 바빌론은 이때 파괴되었고 연대기와 같은 많은 현대 바빌로니아 문서들은 이 땅에 왕이 없는 '왕 없는 시대'로 센나허브가 바빌로니아에서 제2의 통치를 언급하고 있다.[110] 그럼에도 불구하고 바빌로니아 왕 목록 A는 이 시대의 왕으로 센나체립을 포함하며, 무셰집-마두크의 몰락과 에사르하돈의 즉위 사이에 일어난 그의 두 번째 왕권을 열거하고 있다.[111]
  28. ^ 샤마쉬숨우킨은 아버지가 임명한 에사르하돈의 합법적인 후계자였지만, 아버지의 사후 봄까지 정식으로 그렇게 투입되지는 않았다. 현대 역사학자들이 바빌론의 왕들을 나열한 목록들은 전형적으로 아시리아에서 에사르하돈의 후계자인 아슈르바니팔을 이 짧은 '간섭' 기간 동안 바빌론의 통치자로 간주한다.[109] 우륵왕 리스트에는 아슈르바니팔이 샤마쉬쉬움우킨의 전임자로 기재되어 있지만, 기원전 669–647년에 그의 통치권을 부여하면서 동생과 동시에 통치하는 것으로도 열거되어 있다.[114] 이와는 대조적으로 바빌로니아 왕 목록 A는 아슈르바니팔 전체를 생략하고, 샤마슈슈슈움우킨을 에사르하돈의 직접 후계자로 샤마슈슈슈슈움우킨을, 칸달라누를 샤마쉬슈우킨의 직접 후계자로 각각 열거한다.[111]
  29. ^ 아슈르바니팔은 다시 바빌로니아 왕 목록 A에 의해 샤마쉬숨우킨과 칸달라누 사이의 통치자로 기록되지 않으며,[111] 현대 역사학자들의 목록에도 이와 같이 기록되지 않는다.[109] 그러나 아슈르바니팔은 바빌로니아를 기원전 648년 여름 샤마쉬숨우킨의 패배로부터 기원전 647년 칸달라누의 임명까지 지배했다. 이 시기 바빌로니아에서 온 날짜 공식은 아슈르바니팔의 통치 기간으로 날짜가 정해지며 칸달라누에 대한 권력 이양이 점진적이었음을 나타낸다. 타블렛은 기원전 647년 말 보르시파에서, 646년 봄 딜바트에서 여전히 아슈르바니팔에게 날짜가 남아 있었다. 기원전 646년 이후 바빌로니아에 있는 판은 칸달라누의 치세에 독점적으로 연대를 받는다.[115]
  30. ^ a b 바빌로니아 연대기는 칸달라누와 나보폴라사르 사이의 기간을 '왕 없는' 기간으로 묘사하고 있으며, 이 기간 중 몇몇 날짜 공식은 '칸달라누 다음 해'로 날짜가 적혀 있어, 이 기간 사이의 빈자리를 암시하고 있다. 우륵왕 목록에는 현대 역사가들의 바빌로니아 왕 목록처럼 신슈무리시르와 신샤리쉬쿤의 통치시대가 기록되어 있다.[116][109]
  31. ^ a b 바빌로니아 왕 목록뿐만 아니라 현대의 바빌로니아 계약서는 크세르크세스 2세와 소그디아누스 둘 다 생략하고 있는데, 바빌로니아인들은 다리우스 2세를 아르탁세르크세스 1세의 직접적인 후계자로 보았음을 시사한다.[citation needed]
  32. ^ 필립 3세는 기원전 317년에 죽었다. 어떤 바빌로니아 문서들은 기원전 316년까지 그를 왕으로 계속 인정한다.[127]
  33. ^ 알렉산더 3세의 전 장군 중 한 사람인 안티고누스는 알렉산더 제국의 동쪽 지역에서 집권한 것으로서 공식적인 왕의 이름이 아닌 자신의 이름으로 날짜 공식을 발행하기 시작했다.[129] 헬레니즘 시대의 바빌로니아 왕 목록은 안티고누스의 통치가 합법적인 것으로 간주되지 않았으며 알렉산더 3세의 아들 알렉산더 4세의 통치에 제출했어야 했다고 제시하고 있다. 이 명단은 "땅에 왕이 없었다"고 몇 년 동안 적고 안티고누스를 왕이 아닌 군대의 우두머리로 칭한다.[130] 우륵왕 리스트에는 안티고누스의 신분에 대한 언급 없이 포함되어 있다.[114]
  34. ^ 알렉산더 4세는 기원전 310년에 죽었다. 어떤 바빌로니아 문서들은 그를 왕으로 계속 인정해, 기원전 305년 셀레우코스 1세 니케토르가 왕이 된 때까지.[127] 바빌로니아인들은 알렉산더 4세가 기원전 310년에 죽었다는 것을 알고 있었지만, 명확한 합법적인 후계자가 없기 때문에 그의 사후까지 몇 년 동안 계속 문서와 데이트를 했다.[132]
  35. ^ 셀레우코스 1세는 기원전 305년에 왕이 되었지만, 그는 소급하여 기원전 311년까지 즉위했다.[127] 바빌로니아 왕 목록은 셀레우코스 1세가 기원전 305년/304년에 즉위한 날짜다.[129]
  36. ^ a b c 아버지가 돌아가실 때까지 그의 통치가 바빌로니아 헬레니즘 시대의 왕 리스트에 기록될 때까지 사실상 원로 왕이 되지는 않았지만,[134] 이보다 앞선 날짜부터 그의 아버지와 함께 연대순으로 왕으로 인정받았다.[127]
  37. ^ 자신의 권리로 통치한 적이 없는 하급 통치자는 바빌론 왕과 함께 날짜에 바빌론의 왕으로 인정받았다.[127]
  38. ^ a b 자신의 권리로 통치한 적이 없는 하급 통치자는 바빌로니아의 왕으로 인정받았고, 날짜 공식은[127] 바빌로니아 헬레니즘 시대의 왕 목록에 올랐다.[138]
  39. ^ 데메트리오스 1세 소테르는 기원전 162년 안티오코스 5세 유파토르를 퇴위시켜 살해했지만, 바빌론에서 안티오코스 5세가 통치한 것으로 가장 최근에 알려진 문서는 기원전 161년 1월 11일이다. 안티오코스 5세의 사망 소식이 동부 지방에 전해지기까지는 몇 주가 걸렸을 가능성이 있다.[144]
  40. ^ 바빌로니아에서 티마쿠스의 간략한 통치를 기록한 알려진 쐐기풀 판은 없다.[146]
  41. ^ a b 안티오코스 5세 유파토르에 연대를 둔 태블릿이 기원전 161년 1월부터 알려져 있고, 데메트리오스 1세에게 연대를 한 최초의 태블릿이 기원전 161년 5월 14일임을 감안하면, 티마르쿠스가 바빌론을 잠시 지배한 것은 이 날짜들 사이에 어느 시점에서 전이가 되었을 것이다.[144]
  42. ^ 파르티아 통치 시대의 바빌로니아 문서들은 사실상 모든 파르티아 왕들을 아르샤카, 아르샤칸, 아르샤캄마 또는 아르샤캄마 또는 아르사케스라는 이름의 다른 아크카디안 변종이라고 부른다.[153] 이 목록에는 스파르 & 램버트 당 아르샤카(Arshakaha per Spar & Lambert(2005)라는 철자가 사용된다.[154] 아르사케스는 모든 파르티아 왕들이 섭정하는 명칭으로 사용되어 이름보다는 로마 카이사르와 같은 공식 명칭과 더 흡사하게 되었다. 내전 시기나 경쟁의 시기가 있었다면, 즉 동시에 여러 아르사케스가 있었고 해명이 필요한 때에 바빌로니아 문서들은 때때로 왕들의 개인 이름을 사용하기도 했다.[153] 모든 파르티아 왕들이 아르사케스를 그들의 섭정 이름으로 추정한 관행은 지배자들의 연대기를 확립하는 것을 복잡하게 하는데,[153][127] 주로 동전에서 나온 증거들을 따라야 한다.[153]
  43. ^ 비록 그녀의 아들의 소수 기간 동안 공식적으로 섭정이었을 뿐이지만, 현대의 바빌로니아 판은 린누를 군주로서 간주한다. 이 판의 날짜 공식에는 '아르샤크와 리-[인(?)-누, 그의 어머니, 왕'이라고 적혀 있다.[157]
  44. ^ 이름이 불완전하게 보존됨(중간 기호 누락).[158]
  45. ^ a b 바빌론에서의 프라아테스 2세의 통치는 기원전 128년 5월 17일에 마지막으로 증명되었다. 히스파오신은 기원전 127년 5월 30일 처음 통치자로 증명된다.[160]
  46. ^ a b c d e 여왕은 왕비였고, 따라서 정식으로 군주가 아니라 바빌로니아 연대 공식에 그녀의 남편과 함께 통치자로 기록되었다.[36]
  47. ^ 그와 함께 공동 뢰러로 통치했던 프라우테스 5세의 어머니 무사(Musa)는 알려진 바빌로니아 판에는 군주로서 기록되어 있지 않다.[36]
  48. ^ 가장 최근에 알려진 데이타블 악카디안 쐐기풀 태블릿은 W22340a이며, 우루크에서 발견되며 AD 79/80년 날짜다. 이 판본은 루갈(왕)이라는 단어를 보존하고 있는데, 이때까지 바빌로니아인들은 여전히 왕을 인식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51] 이때 바빌로니아의 통치자는 파르티아 경쟁왕(즉, 우서르페르) 아르타바누스 3세였는데, 역사학자들이 바빌로니아에서 자신의 통치에 대한 지지를 가졌지만, 파르티아 제국의 다른 곳에서는 그다지 많은 지지를 받지 못했다고 평했다.[52]
  49. ^ a b c d e f g 비록 고 파르티아 왕들이 그들의 전임 왕들처럼 아르샤카라고 일컬어졌을지 모르지만 AD 79/80년 이후로는 어떤 쐐기 모양의 기록도 알려져 있지 않다.[51]

참조

  1. ^ 블랙 & 그린 1992, 페이지 168.
  2. ^ a b c d 2017년, 페이지 23.
  3. ^ 2017년, 페이지 24.
  4. ^ a b Karlsson 2017, 페이지 2.
  5. ^ a b c 럭켄빌 1924 페이지 9.
  6. ^ 샤이간 2011, 260페이지.
  7. ^ a b 2017년, 페이지 28.
  8. ^ Karlsson 2017, 페이지 6, 11.
  9. ^ 스티븐스 2014, 페이지 68.
  10. ^ 괴체 1964, 페이지 98.
  11. ^ a b 2017년, 페이지 22.
  12. ^ 반 데르 미어 1955 페이지 42.
  13. ^ 다 리바 2013, 페이지 72.
  14. ^ 2017년, 페이지 21.
  15. ^ 1989년 Peat 199 페이지.
  16. ^ a b 자이아 2019, 페이지 3
  17. ^ a b c d 1989년 단다매프, 페이지 185–186.
  18. ^ Laing & Frost 2017.
  19. ^ 자이아 2019, 페이지 4.
  20. ^ 자이아 2019, 페이지 3-7.
  21. ^ 팔레스 2014, 페이지 208.
  22. ^ a b c d e f g 베어리외 2018, 페이지 13.
  23. ^ 팔레스 2014, 페이지 210.
  24. ^ Chen 2020, 페이지 1-2.
  25. ^ a b 첸 2020, 페이지 2, 4
  26. ^ a b c d e 첸 2020, 페이지 4
  27. ^ a b c d 첸 2020, 페이지 2
  28. ^ a b c 포벨 1955 페이지 1
  29. ^ 첸 2020, 페이지 5
  30. ^ 첸 2020, 페이지 5-8.
  31. ^ 삭스 & 와이즈먼 1954 페이지 202.
  32. ^ 삭스 & 와이즈먼 1954, 페이지 209.
  33. ^ 삭스 & 와이즈먼 1954, 페이지 204–205, 209.
  34. ^ 삭스 & 와이즈먼 1954 페이지 201.
  35. ^ 반 데르 스펙 1993, 페이지 95.
  36. ^ a b c d Spar & Lambert 2005, p. xxii.
  37. ^ 자이아 2019, 페이지 6-7.
  38. ^ 웨르제거스 2018, 페이지 3.
  39. ^ 셔윈 화이트 1991, 페이지 75-77.
  40. ^ 후버 2011, 페이지 204.
  41. ^ 들로카스 2016, 페이지 59.
  42. ^ a b 코스민 2014 페이지 192.
  43. ^ Oelsner 2014, 페이지 297.
  44. ^ a b 반 데르 스펙 2001, 페이지 449.
  45. ^ a b 브라운 2008, 페이지 77.
  46. ^ 스펙 2001, 페이지 451.
  47. ^ 보이 2004년 187페이지.
  48. ^ Oelsner 1964, 페이지 272.
  49. ^ 하우볼드 2019, 페이지 276.
  50. ^ 2007년 조지 페이지 64.
  51. ^ a b c 헝거앤드종 2014 페이지 182–185.
  52. ^ a b 쉬프만 1986, 페이지 647–650.
  53. ^ 베어리외 2018, 페이지 14.
  54. ^ 베어리외 2018, 페이지 144.
  55. ^ 베어리외 2018, 페이지 125–130, 176–177, 185.
  56. ^ 조지 2003, 페이지 85.
  57. ^ Bloch 2012, 페이지 14.
  58. ^ 버틴 1891 페이지 50.
  59. ^ 월리스 버즈 1884 페이지 69.
  60. ^ 세레스코 2001, 페이지 32.
  61. ^ 월리스 버즈 1884 페이지 94-97.
  62. ^ 스트라스마이어 1888, 페이지 137.
  63. ^ 월리스 버즈 1884 페이지 94
  64. ^ a b 월리스 버즈 1884 페이지 97.
  65. ^ a b c d e 베어리외 2018, 페이지 12.
  66. ^ a b c d Chen 2020, 페이지 202-206.
  67. ^ 베어리외 2018, 페이지 67.
  68. ^ 베어리외 2018, 페이지 69–70.
  69. ^ a b c d e f g h i j k 첸 2020, 페이지 202–206; 베어리외 2018, 페이지 69.
  70. ^ a b 베어리외 2018, 페이지 131.
  71. ^ 보이빈 2018, 페이지 46.
  72. ^ a b 베어리외 2018, 페이지 129.
  73. ^ a b c d e f g h i j k l 첸 2020, 페이지 202–206; 베어리외 2018, 페이지 129–130.
  74. ^ a b c d e 보이빈 2018, 페이지 37.
  75. ^ 베어리외 2018, 페이지 10–13, 154–155, 176–178.
  76. ^ 베어리외 2018, 페이지 127–128.
  77. ^ a b c d 첸 2020, 페이지 202–206; 베어리외 2018, 페이지 126; 무라이 2018, 페이지 6.
  78. ^ a b c d e 베어리외 2018, 페이지 128.
  79. ^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y z aa ab ac 첸 2020, 페이지 202–206; 베어리외 2018, 페이지 126.
  80. ^ 브링크만 1976, 페이지 85.
  81. ^ 베어리외 2018, 페이지 126.
  82. ^ Chen 2020, 페이지 202–206; Beaulieu 2018, 페이지 126; Leick 2003, 페이지 142.
  83. ^ 첸 2020, 페이지 202–206; 베어리외 2018, 페이지 126.
  84. ^ 베어리외 2018, 페이지 132.
  85. ^ 베어리외 2018, 페이지 133.
  86. ^ 첸 2020, 페이지 202–206; 베어리외 2018, 페이지 126, 136.
  87. ^ 브링크만 1976, 페이지 15.
  88. ^ 베어리외 2018, 페이지 148–149.
  89. ^ 베어리외 2018, 페이지 154–155.
  90. ^ a b c d e f g h i j 첸 2020, 페이지 202–206; 베어리외 2018, 페이지 155.
  91. ^ a b 브링크만 1968, 페이지 98.
  92. ^ 브링크만 1968, 페이지 119.
  93. ^ Chen 2020, 페이지 202–206; Beaulie 2018, 페이지 155; Brinkman 1968, 페이지 136.
  94. ^ 브링크만 1968, 페이지 146.
  95. ^ a b c d e f g 첸 2020, 페이지 202–206; 베어리외 2018, 페이지 176–178.
  96. ^ 베어리외 2018, 페이지 177.
  97. ^ 베어리외 2018, 페이지 178.
  98. ^ 베어리외 2018, 페이지 12-13.
  99. ^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첸 2020, 페이지 202–206; 베어리외 2018, 페이지 178.
  100. ^ a b 베어리외 2018, 페이지 180.
  101. ^ 베어리외 2018, 페이지 184.
  102. ^ a b 베어리외 2018, 페이지 184–185.
  103. ^ 베어리외 2018, 페이지 185.
  104. ^ a b c 브링크만 1968년, 페이지 59.
  105. ^ 베어리외 2018, 페이지 186.
  106. ^ 구센스 1940, 페이지 33.
  107. ^ 팔레스 2014, 페이지 204–218.
  108. ^ a b c d e f g h i j k l Chen 2020, 페이지 202–206; Beaulie 2018, 페이지 195; Pales 2014, 페이지 204–218.
  109. ^ a b c d e f g h i 첸 2020, 페이지 202–206; 베어리외 2018, 페이지 195.
  110. ^ 브링크만 1973, 페이지 95.
  111. ^ a b c 팔레스 2014, 페이지 206.
  112. ^ 첸 2020, 페이지 202–206; 베어리외 2018, 페이지 195, 래드너 2003, 페이지 166.
  113. ^ Chen 2020, 페이지 202–206; Beaulie 2018, 페이지 195; Pales 2012, 페이지 135.
  114. ^ a b 2005년 렌더링.
  115. ^ a b 베어리외 2018, 페이지 217.
  116. ^ 베어리외 2018, 223페이지.
  117. ^ 웨르제게스 2015, 페이지 183.
  118. ^ 토마스 2014, 페이지 137.
  119. ^ a b c d e Chen 2020, 페이지 202–206; Beaulie 2018, 페이지 220; Parker & Dubberstein 1942, 페이지 9–11.
  120. ^ Chen 2020, 페이지 202–206; Beaulie 2018, 페이지 220; Parker & Dubberstein 1942, 페이지 9–11; Wiseman 1991, 페이지 244.
  121. ^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베어리외 2018, 페이지 247; 파커 & 더버슈타인 1942, 페이지 11–17.
  122. ^ 베어리외 2018, 페이지 247; 렌더링 2001; 닐슨 2015, 페이지 55-57.
  123. ^ 베어리외 2018, 페이지 247; 렌더링 1998.
  124. ^ a b 베어리외 2018, 페이지 247; 렌더링 1998b.
  125. ^ 2004년 렌더링.
  126. ^ Spar & Lambert 2005, 페이지 xxi, xlii; 삭스 & 와이즈먼 1954, 페이지 204; Depuydt 1997, 페이지 117; Parker & Dubberstein 1942, 페이지 11–17.
  127. ^ a b c d e f g Spar & Lambert 2005, p. xxi.
  128. ^ Spar & Lambert 2005, 페이지 xxi; 삭스 & 와이즈먼 1954, 페이지 204; Depuydt 1997, 페이지 117; 버틴 1891, 페이지 52.
  129. ^ a b 보이 2011, 페이지 3
  130. ^ 삭스 & 와이즈먼 1954 페이지 204.
  131. ^ Spar & Lambert 2005, 페이지 xxi; 삭스 & 와이즈먼 1954, 페이지 204; Bertin 1891, 페이지 52.
  132. ^ 보이 2011, 페이지 4.
  133. ^ a b Spar & Lambert 2005, 페이지 xxi, xlii; 삭스 & 와이즈먼 1954, 페이지 205.
  134. ^ 삭스 & 와이즈먼 1954, 페이지 206.
  135. ^ a b c Spar & Lambert 2005, 페이지 xxi, xlii; 삭스 & 와이즈먼 1954, 페이지 206.
  136. ^ Spar & Lambert 2005, 페이지 xxi, xlii.
  137. ^ a b Spar & Lambert 2005, 페이지 xxi, xlii; 삭스 & 와이즈먼 1954, 페이지 207; 미타그 2008, 페이지 50.
  138. ^ 삭스 & 와이즈먼 1954 페이지 207.
  139. ^ Spar & Lambert 2005, 페이지 xxi, xlii; 삭스 & 와이즈먼 1954, 페이지 207.
  140. ^ Spar & Lambert 2005, 페이지 xxi, xlii; 삭스 & 와이즈먼 1954, 페이지 208.
  141. ^ Spar & Lambert 2005, 페이지 xxi, xlii; 삭스 & 와이즈먼 1954, 페이지 208–209; 미타그 2008, 페이지 51.
  142. ^ 스파르 & 램버트 2005, 페이지 xxi, xlii; 삭스 & 와이즈먼 1954, 페이지 208–209; 게라 1998, 페이지 110.
  143. ^ Spar & Lambert 2005, 페이지 xxi, xlii; Sachs & Wiseman 1954, 페이지 209; Scolnic 2014, 페이지 5.
  144. ^ a b 1979년 호튼, 페이지 215–216.
  145. ^ Spar & Lambert 2005, 페이지 xxii, xlii; 삭스 & 와이즈먼 1954, 페이지 209; Scolnic 2014, 페이지 7.
  146. ^ a b Houton 1979, 페이지 213–217, Boiy 2004, 페이지 164–165.
  147. ^ Spar & Lambert 2005, 페이지 xxii, xlii; Houghton 1979, 페이지 213–217; Sachs & Wiseman 1954, 페이지 209.
  148. ^ Spar & Lambert 2005, 페이지 xxii, xlii; 삭스 & 와이즈먼 1954, 페이지 209; 미타그 2008, 페이지 51.
  149. ^ Spar & Lambert 2005, 페이지 xxii, xlii; 삭스 & 와이즈먼 1954, 페이지 209.
  150. ^ 셰이건 2011, 페이지 229–239.
  151. ^ Dąbrowa 2012, 페이지 169–176.
  152. ^ Daryaee 2012, 페이지 391–392.
  153. ^ a b c d 옴스테드 1937, 페이지 14.
  154. ^ Spar & Lambert 2005, 페이지 xlii.
  155. ^ a b Spar & Lambert 2005, p. xxii; Elerbrock 2021, 페이지 57.
  156. ^ a b Spar & Lambert 2005, 페이지 xxii; 셰이건 2011, 페이지 123.
  157. ^ 옴스테드 1937, 페이지 13.
  158. ^ 셰이건 2011, 230페이지.
  159. ^ Spar & Lambert 2005, 페이지 xxii, xlii; Shayegan 2011, 페이지 110–111; Shayegan 2011, 페이지 123.
  160. ^ 셰이건 2011, 페이지 111.
  161. ^ a b Spar & Lambert 2005, 페이지 xxii; 셰이간 2011, 페이지 110–111; 셰이간 2011, 페이지 123.
  162. ^ Oelsner 2014, 페이지 301; Shayegan 2011, 페이지 110–111.
  163. ^ Spar & Lambert 2005, 페이지 xxii; Daryaee 2012, 페이지 391.
  164. ^ Spar & Lambert 2005, p. xxii; Elerbrock 2021, 페이지 35.
  165. ^ a b Spar & Lambert 2005, 페이지 xxii; 르위 1944 페이지 202.
  166. ^ Spar & Lambert 2005, 페이지 xxii; 르위 1944쪽 203쪽 엘러브록 2021쪽 36쪽 36.
  167. ^ Spar & Lambert 2005, 페이지 xxii; 루이스 1944 페이지 203.
  168. ^ Spar & Lambert 2005, 페이지 xxii; 엘러브록 2021, 페이지 36–37.
  169. ^ Spar & Lambert 2005, 페이지 xxii; Elerbrock 2021, 페이지 40.
  170. ^ a b Spar & Lambert 2005, 페이지 xxii; 셰이건 2011년 235페이지
  171. ^ Spar & Lambert 2005, p. xxii; Elerbrock 2021, 페이지 41.
  172. ^ Spar & Lambert 2005, 페이지 xxii; 엘러브록 2021, 페이지 43.
  173. ^ Spar & Lambert 2005, 페이지 xxii; 엘러브록 2021, 페이지 45-46.
  174. ^ Spar & Lambert 2005, 페이지 xxii; Elerbrock 2021, 페이지 48; Daryaee 2012, 페이지 391.
  175. ^ Spar & Lambert 2005, 페이지 xxii; Elerbrock 2021, 페이지 48.
  176. ^ a b c Spar & Lambert 2005, 페이지 xxii; 엘러브록 2021, 페이지 49.
  177. ^ Daryaee 2012, 페이지 391–392; Olbrycht 2016, 페이지 24.
  178. ^ Spar & Lambert 2005, 페이지 xxii; Elerbrock 2021, 페이지 58.
  179. ^ Spar & Lambert 2005, 페이지 xxii; Schippmann 1986, 페이지 647–650.
  180. ^ 베어리외 2018, 페이지 14; 엘러브록 2021, 페이지 60–61.
  181. ^ 베어리외 2018, 페이지 14; 드브라우아 2012, 페이지 176.
  182. ^ a b 베어리외 2018, 페이지 14; 엘러브록 2021, 페이지 61.
  183. ^ 베어리외 2018, 페이지 14; 패터슨 2013, 페이지 180–181.
  184. ^ 베어리외 2018, 페이지 14; 엘러브록 2021, 페이지 63.
  185. ^ 베어리외 2018, 페이지 14; 엘러브록 2021, 페이지 63–64.

참고 문헌 목록

웹 소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