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르베루스

Cerberus
헤라클레스는 자신의 특징적인 사자 가죽을 착용하고 오른손에는 곤봉을 들고 왼손에는 목줄을 묶고, 머리가 세 개 달린 세르베루스를 선보였는데, 뱀들은 코와 목, 앞발로 몸을 웅크리고 있었고, 커다란 냄비에 숨어있는 놀란 에우리스테우스에게 다가갔습니다.케레(Louvre E701)에서 온 케레탄 히드리아(기원전 530년경).[1]

그리스 신화에서 세르베로스(/ˈ ɜː르브 ə르 ə스/ 또는 /ˈ크 ɜː르브 ə르 ə스/; 그리스어: κ έρβ ερος 케르베로스 [ˈ케르베로스])는 죽은 자들이 떠나는 것을 막기 위해 지하 세계의 문을 지키는 다두견입니다.그는 괴물 에키드나타이폰의 자손으로, 보통 머리가 세 개이고 꼬리는 뱀, 몸의 여러 곳에서 튀어나온 뱀을 가지고 있다고 묘사됩니다.케르베루스는 헤라클레스의 12번의 노동 중 마지막인 헤라클레스에 의해 사로잡힌 것으로 주로 알려져 있습니다.

어원

세르베루스와 하데스/세라피스.그리스 크레타, 헤라클리오 고고학 박물관.[3]

세르베루스의 이름의 어원은 확실하지 않습니다.오그덴은[4] 인도유럽어족의 어원을 "아직 성공적이지 않은" 것으로 확립하려는 시도를 말합니다.그것은 "점박이"를 의미하는 인도유럽조어 *k ̑르베로스에서 야마의 개들 중 하나의 비문으로 사용된 산스크리트어 सर्वरा 사르바라와 관련이 있다고 주장됩니다.링컨([6]Lincoln, 1991)은 이 어원을 비판합니다.이 어원 또한 오스트리아-아시아어 기원을 제안한 Manfred Mayrhofer[7]Beekes에 의해 거부되었습니다.[8]링컨은 케르베루스와 북유럽 신화의 개 감르 사이에 유사성이 있다는 점에 주목하고, 두 이름 모두 인도유럽조어의 어근 *ger- "으르렁거리는 것"(아마도 접미사 -*m/*b와 -*r)과 관련이 있습니다.그러나, Ogden이 관찰한 바와 같이, 이 분석은 실제로 KerberosGarmr가 두 개의 다른 인도유럽어 어근(*ker- 및 *gher- 각각)에서 도출될 것을 요구하며, 따라서 실제로 두 이름 사이에 관계가 형성되지 않습니다.

아마 그리스어는 아닐 것이지만, 케르베루스에 대한 그리스 어원이 제공되었습니다.세르비우스(4세기 후반의 버질 해설가)가 준 어원이지만 오그덴이 거부한 케르베로스는 그리스어 '살을 먹어 치운다'는 뜻의 크레오보로스(creoboros)[9]에서 유래했습니다.또 다른 어원은 "구덩이의 악"이라는 뜻의 케르베레스루(Kerberethrou)에서 유래한 케르베루스(Cerberus)[10]입니다.

설명

케르베루스에 대한 묘사는 그의 머리의 숫자를 포함하여 다양합니다.세르베루스는 항상 그런 것은 아니지만 보통 머리가 세 개였습니다.세르베루스에게는 머리가 여러 개 달린 친척들이 있었습니다.그의 아버지는 뱀발이 많은 티폰이었고,[11] 세르베루스는 머리가 많은 다른 세 마리의 괴물들, 즉 머리가 여러 인 레르나에안 히드라, 게리온의 소를 지키던 머리가 두 개인 오르투스, 그리고 사자, 염소, 뱀의 세 의 머리를 가진 키메라는 세 마리의 머리를 가지고 있었습니다.[12]그리고, 이 가까운 친척들처럼, 세르베루스는 희귀한 도상학적 예외를 제외하고는 다재다능했습니다.

케르베루스에 대한 가장 초기의 설명, 헤시오도스신고니 (기원전 8세기경 – 기원전 7세기경)에서, 케르베루스는 50개의 머리를 가지고 있는 반면, 핀다르 (기원전 522년경 – 기원전 443년경)는 그에게 100개의 머리를 주었습니다.[13]그러나 후대의 작가들은 거의 보편적으로 세르베루스에게 세 개의 머리를 줍니다.[14]예외적인 것은 라틴 시인 호레이스의 세르베루스입니다. 그는 개의 머리 하나와 뱀의 머리 100개를 가지고 있습니다.[15]아마도 이 경쟁적인 전통을 조화시키기 위해 아폴로도로스의 세르베루스는 세 개의 개 머리와 등을 따라 "모든 종류의 뱀"의 머리를 가지고 있는 반면, 비잔틴 시인 존 체체츠(아마 아폴로도로스에 근거했을 것)는 세르베루스에게 50개의 머리를 주었는데, 그 중 세 개는 개 머리였습니다.나머지는 '각종 짐승의 우두머리'들입니다.[16]

헤라클레스는 왼손에 쇠사슬을 묶고 곤봉을 옆으로 눕혀 머리 두 개로 된 케르베루스를 진정시키고, 머리에는 뱀 한 마리가, 목과 등에는 갈기가, 꼬리에는 뱀 한 마리가 달려 있습니다.세르베루스는 지하 세계에 있는 하데스의 궁전을 상징하는 포르티코에서 나오고 있습니다.그들 사이에 나무 한 그루가 하데스의 아내 페르세포네의 신성한 숲을 나타냅니다.맨 왼쪽에는 아테나가 서 있고 왼팔을 뻗고 있습니다.불치 (루브르 F204) 출신의 암포라 (기원전 525년경–510년).[17]

예술에서 세르베루스는 가장 흔히 두 개의 개 머리를 가진 모습으로 묘사되는데, 세 개를 넘지는 않지만, 가끔은 한 개만 있는 경우도 있습니다.[18]지금은 잃어버린 아르고스코린토스 컵(아래 참조)인, 가장 초기의 두 개의 묘사 중 하나 (c. 590–580 BC)에서, 세르베루스는 평범한 외머리 개로 보여졌습니다.[19]세 개의 머리를 가진 케르베루스가 처음으로 등장한 것은 기원전 6세기 중반 라코니아 컵(아래 참조)에서입니다.[20]

호레이스의 많은 뱀 머리의 세르베루스는 세르베루스가 뱀의 일부라는 오랜 전통을 따랐습니다.이것은 아마도 헤시오도스의 Theogony에서 이미 암시되어 있을 것인데, 케르베루스의 어머니는 이복뱀 에시드나이고, 그의 아버지는 뱀의 머리를 가진 태풍입니다.예술에서, 케르베루스는 종종 뱀의 일부로 보여지는데,[21] 예를 들어 잃어버린 코린토스 컵은 케르베루스의 몸에서 튀어나온 뱀들을 보여주었고, 기원전 6세기 중반 라코니아 컵은 케르베루스에게 꼬리를 위한 뱀을 주었습니다.문헌 기록에서, 세르베루스의 뱀 본성에 대한 첫 번째 확실한 징후는 세르베루스를 큰 독사로 만든 밀레투스의 헤카테우스 (기원전 500년–494년)에 대한 합리화된 설명에서 비롯됩니다.[22]플라톤은 케르베루스의 복합적인 본성을 가리키고,[23] 칼키스의 에우포리온(기원전 3세기)은 케르베루스가 뱀 꼬리가 여러 개 있는 것으로 묘사하며,[24] 아마도 그의 구불구불한 본성과 관련하여 케르베루스가 독이 있는 아코니테 식물의 생성과 관련이 있을 것이라고 추측합니다.[25]버질은 뱀이 케르베루스의 목을 휘감고 있고,[26] 오비드의 케르베루스는 독이 있는 입,[27] 목은 "뱀을 가진 악",[28] "위협적인 뱀을 엮은 털"을 가지고 있고,[29] 세네카는 케르베루스에게 뱀으로 구성된 갈기와 뱀 꼬리 하나를 주었습니다.[30]

세르베루스는 다른 다양한 특징들을 가지고 있었습니다.에우리피데스에 의하면 케르베루스는 머리가 세 개뿐 아니라 몸이 세 개였고,[31] 버질에 의하면 등이 여러 개였다고 합니다.[32]케르베루스는 생살을 먹고([33]헤시오도스에 따르면), 불을 번뜩이는 눈을 가졌고(에우포리온에 따르면), 세 개의 혀를 가진 입을 가졌고(호라오스에 따르면), 그리고 청각이 날카로웠습니다([34]세네카에 따르면).

헤라클레스의 제12노동.

아테나, 헤르메스, 헤라클레스는 페르세포네가 보는 것처럼 두 개의 머리를 가진 세르베루스를 지하 세계에서 이끌어 내었습니다.히드리아(기원전 550년경-500년경)는 Leagros 그룹(Louvre CA 2992)의 것으로 추정됩니다.[35]

케르베루스의 유일한 신화는 헤라클레스에게 사로잡힌 것입니다.[36]우리는 일찍이 호메로스에게서 헤라클레스가 지하세계의 왕 하데스에게서 세르베로스를 되찾기 위해 티린스의 왕 에우리스테우스가 보낸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37]아폴로도로스에 따르면, 이것은 헤라클레스에게 부과된 열두 번째이자 마지막 노동이었습니다.[38]잃어버린 연극 피리투스단편에서 (에우리피데스나 크리티아스에게 귀속됨)헤라클레스는 에우리스테우스가 케르베루스를 다시 데려오라고 명령했지만, 케르베루스를 만나고 싶은 마음에서가 아니라 에우리스테우스가 그 일이 불가능하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라고 말합니다.[39]

헤라클레스는 엘레우시니아 신비의 시작자로서 그의 임무에 도움을 받았습니다.에우리피데스는 헤라클레스가 세르베로스를 함락시킨 것에 대해 "운이 좋다"고 시작했습니다.[40]그리고 디오도로스 시쿨루스와 아폴로도로스 모두 헤라클레스가 지하세계로 내려갈 준비를 위해 신비의 세계로 들어갔다고 말합니다.디오도로스에 따르면 헤라클레스는 아테네로 갔고, 오르페우스의 아들 무사에우스는 시작 의식을 맡았고,[41] 아폴로도로스에 따르면 엘레우시스에 있는 에우몰푸스로 갔습니다.[42]

헤라클레스는 아테나뿐만 아니라 지하세계의 평소 안내자인 헤르메스의 도움도 받았습니다.오디세이에서 호메로스는 헤르메스와 아테나를 안내자로 삼고 있습니다.[43]그리고 헤르메스와 아테나는 종종 케르베로스의 생포를 묘사한 꽃병 그림에 헤라클레스와 함께 보여집니다.대부분의 기록으로 볼 때, 헤라클레스는 지하 세계로 들어가는 그리스의 여러 입구 중 가장 유명한 타이나론의 입구를 통해 지하 세계로 내려갔습니다.[44]그곳은 밀레토스의 헤카테우스(기원전 500년~494년)의 합리화된 설명에서 케르베로스 이야기와 관련되어 처음 언급되는데, 에우리피데스, 세네카, 아폴로도로스 모두 헤라클레스가 그곳의 지하세계로 내려갑니다.[45]그러나 크세노폰은 헤라클레스가 흑해에 있는 헤라클레스 폰티카 근처의 아케루시아 체르소네세에 내려왔다고 전해지고 있는데, 이 곳은 헤라클레스가 지하세계에서 탈출하는 것과 더 관련이 있는 곳입니다(아래 참조).[46]기원전 560년경에 세워진 헤라클레스는 헤라클레스의 세르베리아인들의 수탈과 관련된 장소에서 이름을 따왔을 것입니다.[47]

테세우스와 피리투스

지하 세계에 있는 동안 헤라클레스는 영웅 테세우스피리투스를 만났는데, 두 동료는 하데스의 아내 페르세포네를 납치하려 했다는 이유로 하데스에게 포로로 잡혀 있었습니다.케르베루스를 되찾는 것과 더불어 헤라클레스는 테세우스를 구출하는 데에도 힘썼고, 일부 버전에서는 피리투스를 구출하기도 했습니다.[48]아폴로도로스에 따르면, 헤라클레스는 테세우스와 피리투스를 하데스의 성문 근처에서 발견했는데, "그들이 자라 뱀의 코일에 단단히 고정된 건망증의 의자"에 묶여 있었고, 그들이 헤라클레스를 보았을 때, "그들은 그의 힘으로 죽음에서 건져내야 할 것처럼 그들의 손을 뻗었다"고 했고, 헤라클레스는 테세우스를 풀어줄 수 있었지만, 우리는그 때에 그는 피리두스를 일으켜 세우려고 하였습니다. `땅이 흔들리니, 그는 놓아 주었습니다.'[49]

테세우스와 피리투스가 케르베루스 이야기에 연루되었다는 최초의 증거는 올림피아에서 온 방패띠 부조(기원전 560년경)에서 발견되는데, 테세우스와 피리투스(이름)가 의자에 함께 앉아 간청하는 팔을 내밀었고, 헤라클레스가 칼을 뽑으려고 다가왔습니다.[50]헤라클레스가 테세우스를 구한 에우리피데스에서 가장 이른 문헌적 언급이 나옵니다. (피리투스에 대한 언급은 없었습니다).[51]잃어버린 연극 피리투스에서는 두 영웅 모두 구출되고,[52] 필로코로스의 합리화된 설명에서 헤라클레스는 테세우스를 구출할 수 있었지만 피리투스는 구출하지 못했습니다.[53]디오도로스는 헤라클레스가 페르세포네의 호의로 테세우스피리토스를 모두 데려왔다고 말하고,[54] 또 다른 한 곳에서는 피리토스가 하데스에 남아있었다고 말하고, 또는 "신화의 몇몇 작가들"에 따르면 테세우스도 피리토스도 돌아오지 않았다고 말하고 있습니다.[55]둘 다 하이지누스에서 구조되었습니다.[56]

캡처

아테나와 헤라클레스, 그리고 목과 등에 갈기가 달린 두 머리의 케르베루스.아테나 왼쪽에는 헤르메스(사진에 보이지 않음)가 서 있습니다.로도스카메이로스 출신의 암포라 (기원전 575년경–525년) (루브르 A481년).[57]

헤라클레스가 세르베로스를 사로잡은 방법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버전이 있습니다.[58]아폴로도로스에 따르면 헤라클레스는 하데스에게 케르베루스를 달라고 요청했고, 하데스는 헤라클레스에게 "그가 가지고 있는 무기를 사용하지 않고 그를 지배할 경우에만" 케르베루스를 데려가도록 허락할 것이라고 말했고, 그래서 헤라클레스는 사자 가죽을 방패로 삼아 그가 항복할 때까지 케르베루스의 머리를 쥐어뜯었습니다.[59]

몇몇 초기 자료에 따르면 케르베루스의 포획은 헤라클레스가 하데스와 싸우는 것으로 보입니다.호머(일리아드 5.395-397)는 헤라클레스가 쏜 화살에 하데스가 부상을 당했습니다.[60]일리아드의 한 학자는 하데스가 헤라클레스에게 "방패나 철이 없는 케르베로스의 주인"이라고 명령했다고 설명합니다.[61]헤라클레스는 (아폴로도로스에서처럼) 방패 대신 사자 가죽을 사용하고 화살에 돌을 겨누면서 이렇게 했지만, 하데스가 여전히 그를 반대하자, 헤라클레스는 화가 나서 하데스에게 총을 쐈습니다.철이 필요 없는 것으로 일관하여, 기원전 6세기 초에 잃어버린 코린토스 컵에서 헤라클레스가 돌로 하데스를 공격하는 것이 보여지고,[62] 반면에, 기원전 560년경의 도상학적 전통은 종종 헤라클레스가 그의 나무 몽둥이를 사용하여 케르베루스를 공격하는 것을 보여줍니다.[63]

에우리피데스는 암피트리온에게 헤라클레스에게 다음과 같이 묻습니다. "당신은 그를 싸움에서 정복하였습니까, 아니면 여신에게서 그를 받았습니까.페르세포네]?헤라클레스는 이 말에 "싸움 중"이라고 답했고,[64] 피리토스의 파편에는 헤라클레스가 "힘으로 짐승을 물리쳤다"고 적혀 있습니다.[65]그러나 디오도로스에 따르면, 페르세포네는 헤라클레스를 "형제처럼" 환영했고, 케르베루스를 "사슬로 묶은" 헤라클레스에게 줬다고 합니다.[66]아리스토파네스는 헤라클레스에게 케르베루스를 목을 조른 채 붙잡아 달아나게 [67]하고, 세네카는 헤라클레스에게 다시 사자 가죽을 방패로 삼고, 나무 몽둥이로 케르베루스를 제압하게 하고, 이후 메추리에 빠진 하데스와 페르세포네는 헤라클레스에게 쇠사슬에 묶여 순종적인 케르베루스를 이끌게 합니다.[68]케르베루스는 쇠사슬로 묶여있는 모습이 자주 보여지고, 오비드는 헤라클레스가 세 명의 머리 케르베루스를 단호한 사슬로 끌고 갔다고 말합니다.[69]

지하세계에서 탈출하기

헤라클레스와 세르베루스.캔버스의 기름, Peter Paul Rubens 1636, Prado Museum.

헤라클레스가 지하세계에서 세르베로스를 길러낸 곳이라고 하는 곳이 몇 군데 있었습니다.[70]지리학자 스트라보 (기원전 63/64년 – 서기 24년)는 "신화 작가들에 따르면" 케르베루스는 에우리피데스가 헤라클레스를 지하세계로 들어오게 한 바로 그 장소인 [71]타이나론에서 자랐다고 보고합니다.세네카는 헤라클레스에게 타이나론을 드나들게 합니다.[72]아폴로도로스는 헤라클레스를 타이나론으로 들여보냈지만, 트로이젠으로 물러나게 했습니다.[73]지리학자 파우사니아스는 트로이젠에 "땅 밑을 다스리라는 신들의 제단"이 있는 신전이 있었다고 이야기하며, 헤라클레스에 의해 세멜레는 "끌려올려올려"졌을 뿐만 아니라, 세멜레는 디오니소스에 의해 지하 세계에서 길러졌다고 전해집니다.[74]

케르베루스는 헤라클레스 폰티카(크세노폰이 헤라클레스의 후손과 관련된 곳)에서 자랐으며, 독이 있는 식물인 코니테가 그곳에서 많이 자랐습니다.[75]헤라클레스와 에우포리온의 헤로도루스는 헤라클레스가 지하세계에서 세르베로스를 데려왔을 때, 세르베로스는 아코나이트 식물이 자라나는 담즙을 "먹었다"고 말했습니다.[76]오비드는 또한 케르베루스가 "스키티아의 해안"에서 헤라클레스에 의해 동굴에서 끌려갈 때, 케르베루스가 익숙하지 않은 햇빛에 눈이 부신 채 "독 거품"을 내뿜었고, 이것이 케르베루스를 독으로 만들었다고 말하면서, 케르베루스를 독극물의 원인으로 삼았습니다.[77]세네카의 세르베루스 역시 오비드의 것처럼 처음 본 햇빛에 격렬하게 반응합니다.이에 격분한 케르베루스는 이전에 순종했던 케르베루스와 사투를 벌이게 되고 헤라클레스와 테세우스는 함께 케르베루스를 빛 속으로 끌어내야 합니다.[78]

파우사니아스는 케르베루스가 헤르미온느에 있는 크토니아의 성소 옆에 있는 클라이메누스(하데스)에게 바쳐진 땅의 구덩이를 통해 자랐다고 전하고 있으며, 에우리피데스의 헤라클레스에서는 케르베루스가 그곳으로 끌려 나왔다고 말하지는 않지만, 케르베루스를 헤르미온느에 있는 "크토니아의 숲"에 잠시 머물게 했다고 전하고 있습니다.[79]파우사니아스는 또한 보이오티아의 라피스티온 산에 헤라클레스 카롭스("눈이 밝은")의 조각상이 있었다고 언급하고 있는데, 보이오티아인들은 헤라클레스가 케르베루스를 키웠다고 말했습니다.[80]세르베루스가 지하 세계에서 탈출하는 것과 관련이 있을 수 있는 다른 장소들로는 히에라폴리스, 테스프로티아, 그리고 미케네 근처의 에메이아가 있습니다.[81]

에우리스테우스에게 선물되어 하데스에게 돌아감

어떤 기록에 따르면, 지하세계에서 케르베루스를 끌어올린 후, 헤라클레스는 붙잡힌 케르베루스를 그리스로 행진시켰습니다.[82]에우포리오니온은 헤라클레스가 아르골리스의 미데아를 통해 케르베로스를 이끌도록 하는데,[83] 여자들과 아이들이 두려움에 떨며 지켜보는 가운데 디오도로스 시쿨루스는 케르베로스에 대해 "모든 사람들의 놀라움에 이끌려 그를 남자들에게 보여주었다"고 말합니다.[84]세네카는 주노에게 헤라클레스가 "아르기브 도시를 고압적으로 행진하는 검은 사냥개"[85]에 대해 불평하게 하고 헤라클레스는 월계관을 쓴 군중에게 "노래"를 부르며 환영하게 했습니다.[86]

그리고 나서 아폴로도로스에 따르면, 헤라클레스는 명령에 따라 에우리스테우스에게 케르베루스를 보여주었고, 그 후에 케르베루스를 저승으로 돌려보냈습니다.[87]그러나, 알렉산드리아의 헤시키우스에 따르면, 세르베루스는 탈출했고, 아마도 스스로 지하세계로 돌아갔을 것이라고 합니다.[88]

주출처

세르베루스, 단테지옥의 세 번째 서클에서 대식가들과 함께.윌리엄 블레이크.

케르베루스에 대한 가장 초기의 언급은 호메로스의 일리아드오디세이, 그리고 헤시오도스신고니에서 나옵니다.[89]호메로스는 케르베루스의 이름을 짓거나 묘사하지 않고, 단순히 에우리스테우스가 헤라클레스를 보내 하데스의 사냥개를 데려온 것과 헤르메스아테나를 안내자로 삼고,[90] 헤라클레스가 하데스를 화살로 쏘았다는 것을 언급할 뿐입니다.[91]헤시오도스에 따르면 케르베로스는 괴물 에키드나티폰의 자손으로, 머리가 쉰 살이고, 날고기를 먹고,[92] 하데스의 집에 들어오는 사람들에게 아부하지만, 떠나려는 사람들을 잡아먹는 "뻔뻔한 목소리의 하데스의 사냥개"였습니다.[93]

스테시코루스 (c. 630–555 BC)는 사실상 아무것도 남아있지 않은 세르베루스라고 불리는 시를 쓴 것으로 보입니다.[94]그러나 기원전 6세기 초 아르고스코린토스 잔이 하나의 머리와 그의 몸 여러 곳에서 자라는 뱀을 보여주었는데,[95] 아마도 스테시코로스의 시에 영향을 받았을 것입니다.[96]라코니아의 기원전 6세기 중반 컵은 세르베로스에게 세 개의 머리와 뱀 꼬리를 주는데, 이것은 결국 표준적인 표현이 됩니다.[97]

핀다르 (c. 522–c. 443 BC)는 분명히 케르베루스에게 100개의 머리를 주었습니다.[98]바킬리데스 (기원전 5세기)는 헤라클레스가 지하세계에서 세르베로스를 데려왔다고 언급하기도 하지만, 더 이상 자세한 내용은 언급하지 않습니다.[99]소포클레스(기원전 495년경–기원전 405년경)는 트라키스여인들에서 케르베루스를 세 개의 머리로 만들고,[100] 콜론루스에서 오이디푸스가 지하세계의 문들을 세르베루스에게 방해받지 않고 통과할 수 있도록 해달라고 요청하며, 여기서 "하데스의 길들일 수 없는 감시자"라고 부릅니다.[101]에우리피데스 (기원전 480년경–406년)는 케르베루스를 머리가 [102]셋이고 몸이 셋이라고 묘사하며 [103]헤라클레스가 테이나론에서 지하세계로 들어왔다고 말하고 [104]헤라클레스가 케르베루스를 페르세포네가 준 것이 아니라 오히려 "운 좋게도 신의 제사를 볼 수 있었기 때문에" 케르베루스와 싸워서 정복했다고 말하고 있는데, 이는 그의 i에 대한 언급으로 보입니다.엘레우시니아의 신비에 대한 시작은 [105]케르베루스를 사로잡은 것이 헤라클레스의 마지막 노동이었다고 말합니다.[106]잃어버린 연극 피르투스(에우리피데스 또는 그와 동시대의 크리티아스 중 한 명으로 추정됨)는 헤라클레스가 케르베로스를 생환시키라고 명령한 에우리스테우스의 명령에 따라 지하세계로 왔다고 말하도록 했는데, 그는 케르베로스를 보고 싶어서가 아니라 에우리스테우스가 헤라클레스가 그 임무를 완수할 수 없을 것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입니다.헤라클레스가 "짐승을 이겨내고" "신들의 은혜를 받았다"고 말했습니다.[107]

세르베루스와 헤라클레스.안토니오 템페스타의 에칭 (이탈리아 피렌체, 1555–1630).로스엔젤레스 카운티 미술관.

플라톤 (c. 425–348 BC)은 세르베루스의 복합적인 본성을 언급하며, "하나로" 성장한 많은 동물 형태로 구성된 생명체의 "고대 우화"의 예로 실라, 키메라와 함께 세르베루스를 인용합니다.[108]칼키스의 에우포리온 (기원전 3세기)은 세르베루스가 여러 개의 뱀 꼬리를 가지고 있고, 대장장이의 대장간이나 화산 에트나산의 불꽃처럼 번쩍이는 눈을 가지고 있다고 묘사합니다.[109]에우페리온에서는 세르베루스가 지하세계에서 데리고 나온 헤라클레스 폰티카에서, 세르베루스가 독이 있는 아코니테 식물이 자라난 담즙을 "복용했다"는 이야기가 처음 언급되기도 합니다.[110]

디오도로스 시쿨루스 (기원전 1세기)에 따르면, 케르베루스를 사로잡은 것은 헤라클레스의 노동력 중 열한 번째였고, 열두 번째이자 마지막은 헤스페리데스의 사과를 훔친 것이었습니다.[111]디오도로스는 헤라클레스가 엘레우시아누스의 신비에 참여하기 위해 아테네로 가는 것이 가장 좋다고 생각했다고 말합니다. "그때 오르페우스의 아들 무사에우스가 시작 의식을 맡았고," 그 후에 그는 "페르세포네가 형제처럼 환영했다." 그리고 "그를 사슬로 묶은 개 세르베루스를 받아 그를 데리고 아로 갔다."모두의 미로를 만들고 그를 사람들에게 보여주었습니다."

아이네이아스시빌은 베르길의 아이네이드(기원전 1세기)에서 케르베루스와 동굴에서 마주치는데, 케르베루스는 동굴을 "끝에서 끝까지" 채우며 지하 세계로 들어가는 입구를 막습니다.세르베루스는 "세 개의 사나운 입", 여러 개의 "큰 등", 뱀이 목에 휘감고 있는 "세 개의 목구멍"으로 묘사됩니다.시빌은 케르베루스에게 꿀과 약초가 섞인 빵을 던져 잠을 유도하고, 아이네이아스가 지하세계로 들어갈 수 있게 했고, 그래서 헤르시오도스와 대립하는 버질에게는 케르베루스가 지하세계를 입구로부터 지켜준 것으로 보입니다.[112]나중에 버질은 자신의 피투성이 동굴에 있는 세르베루스가 반쯤 갉아먹은 뼈 위에 웅크리고 있는 것을 묘사합니다.[113]그의 Georgics에서, Virgil은 세르베루스를 언급하는데, 그의 "세 개의 턱을 가진 아가페"는 오르페우스가 그의 서정시를 연주하는 것에 길들여집니다.[114]

호라티우스 (기원전 65년 – 기원전 8년)는 또한 세르베루스가 오르페우스의 리레에 굴복했다고 언급하기도 하는데, 여기서 세르베루스는 "100마리의 뱀에 의해 강화된 퓨리의 것과 같은" 하나의 개 머리를 가지고 있고, "세 개의 혀를 가진 입"이 "거친 숨과 괴상함"을 뿜어내고 있습니다.[115]

오비드(기원전 43년 – 기원후 17년/18년)는 케르베루스의 입에서 독이 생기게 하고,[116] 에우포페리온처럼 케르베루스를 독초의 원인으로 만듭니다.[117]오비드에 따르면 헤라클레스는 지하 세계에서 케르베루스를 끌고 왔는데, 이 동굴에서 식물이 자라나 (세르베루스는 햇빛에 눈이 부신 후 "독 거품"을 내뿜었고, 이것은 그곳에서 자라는 아코나이트 식물들을 독으로 만들었습니다.

세르베루스와 헤라클레스.안토니오 템페스타의 에칭 (이탈리아 피렌체, 1555–1630).로스엔젤레스 카운티 미술관.

세네카, 헤라클레스 푸렌스는 비극에서 케르베루스와 그의 생포에 대해 자세히 묘사합니다.[118]세네카의 세르베루스는 머리 세 개, 뱀 갈기, 뱀 꼬리를 가지고 있는데, 머리 세 개는 고어로 덮여 있고, 뱀 주변에 있는 많은 뱀들에게 핥혀지고, 귀는 귀에 거슬려서 "심지어 귀신" 소리도 들을 수 있습니다.[119]세네카는 헤라클레스에게 사자 가죽을 방패로 삼고, 나무 몽둥이로 세르베로스를 때려 굴복하게 하고, 그 후 하데스와 페르세포네는 왕좌를 메꾸며 헤라클레스에게 쇠사슬에 묶여 순종적인 세르베로스를 떠나게 합니다.그러나 지하세계를 떠나자마자, 해가 뜨자 겁에 질린 케르베루스는 맹렬히 몸부림치고, 헤라클레스는 테세우스의 도움을 받아 (하데스에게 포로로 잡혀있었으나 헤라클레스의 요청으로 풀려난) 케르베루스를 빛으로 끌고 갑니다.[120]세네카는 디오도로스와 마찬가지로 헤라클레스가 붙잡힌 세르베로스를 그리스로 행진하게 합니다.[121]

아폴로도로스의 세르베루스는 세 개의 개 머리, 꼬리를 위한 뱀, 그리고 등에 많은 뱀의 머리를 가지고 있습니다.[122]아폴로도로스에 따르면, 헤라클레스의 열두 번째이자 마지막 노동은 하데스로부터 세르베로스를 되찾는 것이었습니다.헤라클레스는 엘레우시니아 신비에 입문하기 위해 에우몰푸스로 처음 갔습니다.그가 지하세계로 들어가자 멜리거고르곤 메두사를 제외한 모든 죽은 자들은 헤라클레스를 도망칩니다.헤라클레스는 메두사를 향해 칼을 뽑았지만, 헤르메스는 헤라클레스에게 죽은 자는 그저 "빈 유령"일 뿐이라고 말했습니다.헤라클레스는 하데스(이하 플루토)에게 케르베루스를 부탁했고, 하데스는 헤라클레스가 무기를 사용하지 않고도 케르베루스를 제압할 수 있다면 그를 데려갈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헤라클레스는 아케론 성문에서 케르베루스를 발견했고, 케르베루스를 두 팔로 감싸 안고 케르베루스의 뱀 꼬리에 물렸지만, 헤라클레스는 케르베루스가 굴복할 때까지 비집고 다녔습니다.헤라클레스는 케르베루스를 데리고 가서 에우리스테우스에게 보여준 다음, 케르베루스를 저승으로 돌려보냈습니다.

기원후 6세기의 의사-논누스와 관련된 독특한 이야기에서 헤라클레스는 페르세포네를 납치하기 위해 하데스로 내려갔고, 돌아오는 길에 세르베루스를 죽였습니다.[123]

도상학

케르베루스(오른쪽의 마지막 다섯 인물로 구성된)의 포획에 대한 두 가지 초기 묘사 중 하나는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보여줍니다: 케르베루스는 하나의 개 머리와 뱀이 몸에서 솟아오른 채 오른쪽으로 도망치고, 헤르메스는 그의 특징적인 모자(페타소스)와 카두세우스인 헤라클레스는 등에 떨림, 왼손에는 돌, 오른손에는 활을 들고 있습니다., 여신이 하데스의 왕좌 앞에 서서 헤라클레스를 마주하고, 하데스는 홀수를 들고 왼쪽으로 달아났습니다.아르고스에서 가져온 잃어버린 코린토스 컵 (c. 590–580 BC)의 그림.

케르베루스의 포획은 고대 그리스와 로마 미술에서 인기있는 주제였습니다.[124]가장 초기의 묘사는 기원전 6세기 초의 것입니다.가장 초기의 두 가지 묘사 중 하나인 아르고스의 코린토스 잔 (c. 590–580 BC)[125]은 벌거벗은 헤라클레스를 보여주는데, 그의 등에는 떨림이 있고 그의 오른손에는 활을 들고 왼쪽으로 성큼성큼 걸어가고 있고 헤르메스를 동반하고 있습니다.헤라클레스는 돌로 하데스를 위협하고 하데스는 도망치고, 하데스의 왕좌 앞에 서있는 여신, 아마도 페르세포네 혹은 아마도 아테나는 공격을 막습니다.개 머리 하나와 뱀이 머리와 몸에서 솟아오른 세르베루스는 오른쪽으로 달아납니다.맨 오른쪽에 있는 기둥은 하데스의 궁전 입구를 나타냅니다.이 장면의 많은 요소들은-헤르메스, 아테나, 하데스, 페르세포네, 기둥이나 포르티코 등은 후기 작품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일입니다.또 다른 초기의 묘사인 크레타 섬의 부조 피토스 조각은 사자 머리를 가진 케르베루스 한 마리가 등 위에 뱀(입을 벌린 채)이 오른쪽으로 향하고 있는 것을 보여주는 것으로 생각됩니다.[126]

기원전 6세기 중반에 제작된 헌트 페인터라코니아 컵은 세 개의 머리, 뱀의 꼬리, 세르베로스의 사슬, 헤라클레스의 곤봉과 같은 몇 가지 새로운 특징을 이 장면에 추가합니다.여기 Cerberus는 3개의 개 머리를 가지고 있고, 뱀의 덥수룩한 털로 덮여 있으며, 꼬리는 뱀 머리로 끝이 납니다.그는 자신의 곤봉을 머리 위로 들어올린 헤라클레스에 의해 쇠사슬로 묶여 있습니다.[127]

그리스 미술에서 헤라클레스와 세르베로스의 묘사는 대부분 다락방 화병에서 일어납니다.[128]잃어버린 코린토스 컵이 하나의 개 머리를 가진 세르베루스를 보여주고 있고, 부조 피토스 조각 (c. 590–570 BC)이 분명히 사자 머리를 가진 세르베루스를 보여주고 있지만, 다락방 화병 그림에서 세르베루스는 보통 두 개의 개 머리를 가지고 있습니다.[129]다른 예술에서, 라코니아 컵에서와 같이, 세르베루스는 보통 머리가 세 개입니다.[130]때때로 로마 미술에서 세르베루스는 큰 중앙 사자 머리와 두 개의 작은 개 머리를 양쪽에 가지고 있습니다.[131]

오른손에는 곤봉을 머리 위로 올리고 왼손에는 목줄을 맨 헤라클레스가 목과 등에 갈기를 달고 뱀 꼬리를 단 두 머리의 세르베루스를 앞으로 몰고 갑니다.불치 (뮌헨 1493)의 목 암포라 (기원전 530년경–515년).[132]

코린토스 컵과 라코니아 컵 (그리고 아마도 구원의 피토스 조각)에서와 같이, 세르베로스는 종종 뱀의 일부로 묘사됩니다.[133]다락방 화병 그림에서, 세르베루스는 보통 뱀의 머리에서 끝나는 꼬리 또는 꼬리를 위해 뱀과 함께 보여집니다.[134]뱀들은 또한 주둥이, 머리, 목, 등, 발목, 그리고 앞발을 포함한 그의 몸의 다양한 부분에서 솟아오르는 것이 종종 보여집니다.

불치의 두 개의 다락방 암포라, 하나는 부찌 화가(뮌헨 1493)의 것이고,[135] 다른 하나는 안도키데스 화가(루브르 F204)의 것으로,[136] 보통 두 개의 머리와 뱀 꼬리 이외에 목과 등에 갈기를 달고 있는 세르베루스를 보여주는데, 이는 다락방 화병 그림의 또 다른 전형적인 세르베루스적인 특징입니다.[137]안도키데스의 암포라는 또한 세르베루스의 두 머리에서 각각 말려 올라간 작은 뱀을 가지고 있습니다.

사자처럼 생긴 갈기와 위에서 언급한 사자 머리 이외에도, 세르베루스는 때때로 다른 레오닌 특징을 보였습니다.투수(c. 530–500)는 갈기와 발톱을 가진 세르베루스를 보여주고,[138] 기원전 1세기의 사르코닉스 카메오는 레온의 몸과 발을 가진 세르베루스를 보여줍니다.[139]게다가, 타란토 (기원전 320년경–300년경)의 석회암 부조 파편에는 사자처럼 생긴 머리가 세 개 있는 세르베루스가 나와 있습니다.[140]

기원전 5세기 2/4분기 동안 케르베루스의 포획은 다락방 화병 그림에서 사라집니다.[141]기원전 3세기 초 이후, 로마 시대까지 그 주제는 모든 곳에서 희귀해집니다.로마 미술에서 케르베루스의 포획은 보통 다른 노동자들과 함께 보여집니다.헤라클레스와 케르베루스는 보통 혼자이며, 헤라클레스가 케르베루스를 이끌고 있습니다.[142]

케르베루스 합리화

적어도 기원전 6세기에 몇몇 고대 작가들은 그리스 신화의 다양한 환상적인 특징들을 설명하려고 시도했습니다;[143] 이것들은 케르베로스 이야기에 대한 다양한 합리화된 설명들에 포함되어 있습니다.[144]가장 초기의 기록은 밀레토스의 헤카테우스의 기록입니다.[145]그의 설명에 따르면 세르베로스는 전혀 개가 아니라 타이나론에 사는 큰 독사였습니다.뱀에게 물린 사람이 바로 죽었다는 이유만으로 뱀을 '하데스의 사냥개'라고 불렀는데, 헤라클레스가 에우리스테우스에게 데려온 것이 바로 이 뱀이었습니다.지리학자 파우사니아스는 호메로스가 케르베루스를 묘사하지 않기 때문에 호메로스의 "하데스의 하운드"가 실제로는 개를 언급하지 않을 수도 있기 때문에 호메로스와 헤카테우스의 설명이 반드시 충돌하는 것은 아니라고 지적합니다.[146]

다른 합리화된 설명들은 세르베루스를 평범한 개로 만듭니다.팔레파투스 (기원전 4세기)에 따르면,[147] 세르베루스는 게리온의 소를 지키는 두 마리의 개 중 한 마리였고, 다른 한 마리는 오르트루스였습니다.게리온은 트리크라니움(그리스어로 "세 개의 머리"라는 뜻)이라는 도시에 살았는데,[148] 이 도시에서 케르베로스와 게리온은 모두 "세 개의 머리"라고 불리게 되었습니다.헤라클레스는 오르토스를 죽이고, 게리온의 소를 쫓아냈고, 세르베로스도 뒤를 따라왔습니다.미케나인 몰로수스는 에우리스테우스로부터 케르베루스를 사겠다고 제안했습니다(아마도 소와 함께 헤라클레스로부터 개를 받은 것으로 추정됩니다).그러나 에우리스테우스가 거절하자, 몰로소스는 개를 훔쳐 타이나론의 동굴에 가두었습니다.에우리스테우스는 헤라클레스에게 케르베루스를 찾아서 데려오라고 명령했습니다.펠로폰네소스 전체를 뒤진 헤라클레스는, 케르베로스가 갇혀 있다고 하는 곳을 찾아, 동굴 안으로 들어가, 케르베로스를 일으켜 세웠더니, "헤라클레스가 동굴을 통해 하데스로 내려와서, 케르베로스를 일으켜 세웠다."고 합니다.

헤라클레스가 테세우스를 구출하는 필로코로스의 합리화된 설명에서 페리토스는 케르베로스에게 잡아먹힙니다.[149]이 이야기의 버전에서, 아이도네우스(즉, "하데스")는 몰로시안의 필멸의 왕으로, 페르세포네라는 이름의 아내, 코레(페르세포네 여신의 다른 이름)라는 이름의 딸, 세르베루스라는 이름의 큰 필멸의 개와 함께, 그의 딸의 모든 구혼자들이 싸우도록 요구되었습니다.테세우스의 아내 테세우스와 페리투스는 헬렌을 빼앗은 후 페리투스를 위해 한국을 납치하려 하지만, 아이도네우스는 두 영웅을 붙잡아 테세우스를 감금하고 페리투스를 세르베루스에게 먹입니다.나중에, 헤라클레스는 아이도네우스의 손님이 있는 동안, 아이도네우스에게 테세우스를 풀어달라고 부탁하고, 아이도네우스는 이를 허락합니다.

(기원전 5세기 그리스 철학자 헤라클리투스와 혼동하지 말라) 2세기 그리스인은 케르베루스가 그들의 아버지로부터 결코 떨어지지 않은 두 마리의 강아지를 가졌고, 이것이 케르베루스를 세 개의 머리를 가진 것처럼 보이게 만들었다고 주장했습니다.[150]

케르베루스는 우화를 당했습니다.

지옥의 세 번째 원에서 세르베루스에게 지구를 먹이는 처녀자리.구스타브 도레의 단테의 인페르노 삽화.

중세의 버질아이네이드 해설가 세르비우스는 케르베루스의 이름을 그리스어 크레오보로스에서 따왔는데, 케르베루스는 시체를 소비하는 지구를 상징하며, 헤라클레스가 케르베루스를 이긴 것은 지상의 욕망에 대한 승리를 상징한다고 주장했습니다.[151]후에, 신화학자 풀젠티우스는 케르베루스의 세 머리를 "자연, 원인, 사고"라는 세 가지 인간 갈등의 기원을 상징한다고 우화하고, (세비우스와 같은 살을 집어삼키는 어원을 사용하여) 세 시대, 즉 죽음이 세상에 들어오는 세 시대를 상징합니다.[152]비잔티움의 역사학자이자 주교인 에우세비우스는 케르베루스가 세 개의 머리로 표현되었다고 썼는데, 그 이유는 지구 위의 태양의 위치가 상승, 정오, 일몰의 세 가지이기 때문입니다.[153]

후기 바티칸 신화학자들은 세르비우스와 풀젠티우스의 전통을 반복하고 확장합니다.세 명의 바티칸 신화학자들 모두 세르비우스가 크레오보로스에서 세르베로스의 이름을 따온 것을 반복하고 있습니다.[154]제2차 바티칸 신화학자는 풀젠티우스가 케르베루스에 대해 말했던 것을 거의 그대로 반복하고 있는 반면,[155] 제3차 바티칸 신화학자는 푸젠티우스와 매우 유사한 또 다른 구절에서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철학자들"에게 있어서 케르베루스는 증오를 나타냈으며, 세 종류의 인간 증오를 상징하는 세 개의 머리를 가지고 있습니다.: 자연적, 인과적, 우연적(즉, 우연적).[156]

바티칸 신화학자 제2, 3대는, 제우스, 포세이돈, 하데스 세 형제가 각각, 하데스의 세 머리의 세르베루스, 제우스의 세 갈래 천둥번개, 그리고 포세이돈의 세 갈래 삼지창을 연상시키는, 삼지창을 가지고 있다는 것에 주목하고 있습니다. 반면, 바티칸 신화학자 제3대는, "어떤 철학자들은 세르베루스를 삼지창으로 생각합니다.rth: 아시아, 아프리카, 그리고 유럽.이 땅은 시체를 삼키고 영혼을 타르타로스로 보냅니다."[157]

버질은 세르베루스를 "무뢰한"(유명 라비다)으로 묘사했고,[158] 탐욕스러운 세르베루스는 유명해졌습니다.그래서 케르베루스는 탐욕을 상징하게 되었고,[159] 예를 들어 단테인페르노에서 케르베루스는 지옥의 제3의 원에 놓이게 되었고, 그 곳에서 그는 "영혼을 버리고, 날리고, 그것들을 4분의 1로" 지키고,[160] 단테는 (아마도 세르비우스의 케르베루스 연상과 땅을) 그의 안내자인 버질에게 흙을 한 줌 집어 던지게 했습니다.세르베루스의 "광범위한 굴레"[161]에.

콘스텔레이션

케르베루스자리

1687년 요하네스 헤벨리우스에 의해 소개된 케르베루스 별자리에서, 케르베루스는 헤라클레스의 손에 잡히는 세 개의 머리를 가진 뱀으로 그려집니다 (이전에는 이 별들이 헤스페리데스의 사과를 자라게 한 나무의 가지로 묘사되었습니다).[162]

뱀속

1829년 프랑스의 자연주의자 조르주 큐비에는 흔히 영어로 "개의 얼굴을 가진 물뱀"이라고 불리는 아시아 뱀의 한 속에 세르베루스라는 이름을 붙였습니다.[163]

참고 항목

메모들

  1. ^ LIMC Herakles 2616 2017년 7월 10일 웨이백 머신에서 보관(Smallwood, pp. 92, 98); Ogden 2013b, p. 63; Ogden 2013a, p. 105; Gantz, p. 22; Perseus Louvre E 701 (Base)
  2. ^ "Cerberus". Merriam-Webster Online Dictionary. Merriam-Webster. Retrieved 16 July 2009.
  3. ^ LIMC Kerberos 66; Woodford, p. 29.
  4. ^ Ogden 2013a, 105쪽.
  5. ^ Mallory, J. P.; Adams, D. Q. (2006). "Chapter 25.10: Death and the Otherworld". Oxford Introduction to Proto-Indo-European and the Proto-Indo-European World. Oxford, GBR: Oxford University Press. p. 439. ISBN 978-0-19-928791-8. OCLC 139999117.
  6. ^ 링컨, 96-97쪽.
  7. ^ Mayrhofer, Kurzgefa ß테스 어원학 (Wörterbuch des Altindoarischen s.v. karbara)
  8. ^ Beeks, R. S. P., 그리스어 어원사전 (Leiden: Brill, 2009), 1:678
  9. ^ Servius on Virgil, Aeneid 6.395; Ogden 2013a, p. 190; Fulgentius와 비교, 신화학 1.6 (Whitbread, pp. 51–52); 제1차 바티칸 신화학자, 1.57 (Ogden 2013b, pp. 73–74; Pepin, pp. 36); 제2차 바티칸 신화학자, 13 (Pepin, 106), 173 (Pepin, pp. 171);제3차 바티칸 신화학자, 13.4 (Pepin, pp. 324)Ogden, 2013b, p. 74에 따르면, "크레오보로스는 진정한 그리스어이며 '살을 삼키는 것'을 의미하지만, 케르베로스의 이름의 진정한 어원에서 역할을 할 부분이 없어 여전히 모호합니다."
  10. ^ 방, 88쪽.
  11. ^ Hesiod, Theogony 300–314, Acusilaus, fragment 6 (Freeman, p. 15), Hyginus, Fabulae 서문, 151 2014년 11월 5일 Wayback Machine에서 아카이브, Quintus Smyrnaeus, Posthomerica (또는 트로이의 함락) 6.260–268 (ppp. 272–275)는 모두 Cerberus를 Typhon과 Echidna의 자손으로 가지고 있고, Bacchylides, Ode 5.56–62, Sophocles, Women of Trachis 1097–1099), Calimachus, fragment 515 Pfeiffer (Trypanis, pp. 258–259), Ovid, Metamorphoses 4.500–501, 7.406–409 모두 아버지의 이름을 짓지 않고 Cerberus를 에시드나의 자손으로 두고 있습니다.
  12. ^ 헤시오도스, 테오고니 309–324 (헤시오도스가 키메라의 어머니로서 누구를 의미했는지는 확실하지 않음)에키드나, 히드라 또는 세토); 아폴로도로스, 2.5.10, 2.3.1; 히기누스, 파불래 서문.
  13. ^ Gantz, p. 22; Ogden 2013a, p. 105, n. 182; Hesiod, Theogony 311-312; 지하세계의 헤라클레스에 관한 잃어버린 핀다르 시에서, Pindar, 단편 F249a/b SM.
  14. ^ Ogden 2013a, pp. 105–106, n. 183; 소포클레스, 트라키스여인들 22–25 ("세 개의 몸"), 1097–1099; 에우리피데스, 헤라클레스 610–611, 12761278; 버질, 아이네이드 6.417–421 ("세 개의 치열한 입"), 게오르크 4.483 ("세 개의 턱"),Ovid, Metamorphoses 4.449–451 ("세 개의 입"), 9.185 ("세 개의 목"), 10.21–22 ("세 개의 목"), 10.65–66 ("세 개의 목"), Heroides 9.93–94 (pp. 114–115) ("세 개의 목"); 세네카, 아가멤논 859–862 ("세 개의 사슬"), 헤라클레스 푸렌 60–62 (pp. 52–53) ("세 개의 목"), 782–784 (pp. 110–111); Statius, Silvae 2.1.183–184 (쪽 90–91) ("세 개의"), 3.3.27 ( 168–169) ("세 개의 머리"), Thebaid, 2.31 ( 396–397) ("세 개의 머리"), 2.53 (쪽 398–399) ("세 개의 머리"); Propertius, Elegies 3.5.44 (쪽 234–237) ("세 개의 머리"), 3.18.23 (쪽 284–285) 아폴로도로스, 2.5.12 ("세 개의 머리").
  15. ^ West, David, p. 108; Ogden 2013a, p. 107; Horace, Odes 3.11.17–20 (West, David, pp. 101–103) ("백 마리의 뱀… 세 개의 혀"), Odes 2.13.33–36 ("백 마리의 머리"), Odes 2.19.29–32 ("세 개의 혀").
  16. ^ 아폴로도로스, 2.5.12; Chzetzes, Chiliades 2.36.389–392 (그리스어: Keessling, pp. 55–56; 영어 번역:Berkowitz, p. 48); Frazer의 Apollodorus에 대한 주석 1, 2.5.12.
  17. ^ LIMC 헤라클스 2554 2017년 7월 10일 웨이백 머신에서 보관 (Smallwood, pp. 87, 98); Schefold 1992, pp. 130–131, fig. 152; Beazley Archive 200011; Perseus Louvre F 204 (Base)
  18. ^ 스몰우드, 페이지 87; Gantz, 페이지 22; Ogden 2013a, 페이지 106.Gantz에 따르면, "아마도 두 개의 머리의 빈번한 변형은 징병술의 물류 문제에서 비롯되었을 것입니다"라고 하며, Ogden은 "그런 이미지들이 두 개의 머리를 가진 세르베루스의 전통을 세우거나 경례하는 것인지, 아니면 우리는 두 개의 뒤에 숨겨진 세 번째 머리를 상상해야 하는 것인지"를 궁금해합니다.외머리 케르베루스에 대해서는 LIMC 헤라클스 2553, 2570, 2576, 2591, 2621 참조.
  19. ^ LIMC Herakles 2553 (Smallwood, pp. 87, 97–98); Gantz, p. 22; Ogden 2013a, p. 106, n. 184.릴리프 피토스 조각 (c. 590–570 BC) LIMC 헤라클스 2621 (Smallwood, p. 92), 등 위에 뱀 (입을 벌린)이 있는 사자 머리 케르베루스 한 마리를 보여주는 것 같습니다.
  20. ^ LIMC 헤라클스 2605 2017년 7월 10일 웨이백 머신에서 보관(스몰우드, 페이지 91); Schefold 1992, p. 129; Gantz, p. 22; Ogden 2013a, p. 106, n. 185.
  21. ^ Ogden 2013b, 페이지 63.
  22. ^ 밀레투스의 헤카테우스, fr. *27 a 파울러 (Fowler 2000, p. 136) (apud Pausanias, 3.25.4–5), (cf. FGrH 1 F27); Ogden 2013a, p. 107.
  23. ^ 플라톤 공화국 588c.
  24. ^ Euphorian, fragment 71 Lightfoot (Lightfoot, pp. 300-303; Ogden 2013b, pp. 69-70); Ogden 2013a, p. 107
  25. ^ Euphorion, fragment 41a Lightfoot, (Lightfoot, pp. 272-275 = Herodorus fragment 31 Fowler)
  26. ^ 버질, 아이네이드 6.419,
  27. ^ Ovid, Metamorphos 4.500–501.
  28. ^ 오비드, 메타모포스 10.22~24
  29. ^ Ovid, Heroides 9.93–94 (114-115쪽)
  30. ^ 세네카, 헤라클레스 퓨렌스 785–812 (112-113쪽)루칸, 파르살리아 6.664–665, 케르베루스의 머리는 뱀과 "눈을 부릅뜨고" 있고, 2.5.12, 케르베루스의 머리는 뱀꼬리이고 "모든 종류의 뱀의 머리"를 등에 달고 있는 아폴로도로스도 참조하십시오.
  31. ^ 에우리피데스 헤라클레스 22승 25패.
  32. ^ 버질, 아이네이드 6.422.
  33. ^ 헤시오도스, 테오고니 311.
  34. ^ 세네카, 헤라클레스 퓨렌스 788–791 (112-113쪽)
  35. ^ LIMC Herakles 2599ad; Beazley Archive 302005.Baumeister의 Denkmäler des klasichen Alterthums, 제1권, 그림 730(페이지 663)에서 재현.
  36. ^ 헤라클레스의 세르베루스 포획에 대한 논의는 Gantz, pp. 413-416; Hard, pp. 268-269; Ogden 2013a, pp. 104-115 참조.
  37. ^ 호머, 일리아드 8.367–368; 오디세이 11.620–626과 비교.헤라클레스는 또한 밀레투스의 헤카테우스에서 에우리스테우스에 의해 임무를 부여받았습니다. *27 a 파울러 (Fowler 2000, p. 136) (apud Pausanias, 3.25.4–5), (cf. FGrH 1 F27), 에우리피데스, 헤라클레스 1276–1278, Pirithous TrGF 43 F1 라인 10–14 (Ogden 2013b, pp. 69–70; Collard and Cropp, pp. 646–647), Euphorian, fragment 71 Lightfoot (Lightfoot, pp. 300–303; Ogden 2013b,페이지 69-70); 디오도로스 시쿨루스, 4.25.1; 히지누스, 파불래 32.
  38. ^ 아폴로도로스, 2.5.12.Euphorian에서도 단편 71 Lightfoot 13 (Lightfoot, pp. 300–303; Ogden 2013b, pp. 69–70), Chzetzes, Chiliades 2.36.388–410 (그리스어: Keessling, pp. 55–56; 영어 번역:버코위츠, 페이지 48).에우리피데스, 헤라클레스 22-25는 이 노동을 마지막 노동이라고 부릅니다.그러나 디오도로스 시쿨루스에 의하면 4.25.2 이 노동은 열한 번째이자 마지막이었고, 열두 번째는 헤스페리데스의 사과를 훔치는 것이었습니다.
  39. ^ Pirthous TrGF 43 F1 라인 10-14 (Ogden 2013b, 페이지 70; Colard and Cropp, 페이지 646-647); Ogden 2013a, 페이지 113).
  40. ^ 에우리피데스 헤라클레스 612-613; 파파도풀루, p. 163
  41. ^ 디오도로스 시쿨루스, 4.25.1–2
  42. ^ 아폴로도로스, 2.5.12; 또한 Chzetzes, Chiliades 2.36.394 (그리스어: Keessling, pp. 55–56; 영어 번역:버코위츠, 페이지 48).아폴로도로스는 외국인들이 시작된 것은 불법이었기 때문에, 헤라클레스는 필리오스에게 입양되었으며, 헤라클레스가 시작되기 전에 먼저 "센타우르인들의 학살을 청산"해야 했다고 덧붙였습니다. 프레이저가 아폴로도로스에게 쓴 노트 2, 2.5.12도 참조하십시오.
  43. ^ 호메로스, 오디세이 11.620–626; 파우사니아스, 8.18.3. 아폴로도로스, 2.5.1 또한 헤르메스가 지하세계에서 헤라클레스를 돕는 모습을 담고 있습니다.
  44. ^ Ogden 2013a, p. 110; 파울러 2013, p. 305, n. 159.타이나론의 입구는 일찍이 핀다르, 피시아 4.44에 언급되어 있습니다.
  45. ^ 밀레투스의 헤카테우스, fr. *27 a 파울러 (Fowler 2000, p. 136) (apud Pausanias, 3.25.4–5), (cf. FGrH 1 F27); 에우리피데스, 헤라클레스 22–25; 세네카, 헤라클레스 푸렌스 662–696 (pp. 102–105); 아폴로도로스, 2.5.1, Chzetzes, Chiliades 2.36.395 (그리스어: Keessling, pp. 55–56; 영어 번역:버코위츠, 페이지 48).
  46. ^ 아테네의 크세노폰, 아나바시스 6.2.2.
  47. ^ Ogden 2013a, 페이지 108.
  48. ^ 간츠, 291-295쪽
  49. ^ 아폴로도로스, 2.5.12, E.1.24; Chzetzes, Chiliades 2.36.396–410, 4.31.911–916 (그리스어: Keessling, pp. 55–56, 153; 영어 번역:버코위츠, 페이지 48, 138).
  50. ^ LIMC Herakles 3519; Gantz, p. 292; Shelfold 1966, pp. 68-69 fig. 24
  51. ^ 에우리피데스 헤라클레스 1169–1170., :1221–1222; Gantz, p. 293
  52. ^ Gantz, P. 293; Collard and Cropp, p. 637; Pirithous TrGF 43 F1 가설 (Collard and Cropp, pp. 640-641)
  53. ^ Philochorus, FGrH 328 F18a, b, c; Harding, pp. 67–70; Ogden 2013b, p. 73; Ogden 2013a, p. 109 (Philochorus F18a = Plutarch, Tesus 35.1, 31.1–4와 비교).
  54. ^ 디오도로스 시쿨루스, 4.26.1
  55. ^ 디오도로스 시쿨루스, 4.63.4; Gantz, pp. 294-295
  56. ^ 히지누스, 파불래 79.
  57. ^ 비즐리 기록 보관소 10772.
  58. ^ Ogden 2013a, 110-112쪽
  59. ^ 아폴로도로스, 2.5.1; Chzetzes와 비교하면, Chiliades 2.36.400–401 (그리스어: Keessling, pp. 55–56; 영어 번역:Berkowitz, p. 48)는 헤라클레스가 세르베로스를 마스터했다고 말하고 있다. "그의 사자 가죽과 가슴 조각으로만 덮여 있었다 / 그의 나머지 무기들을 제외하면, 플루톤과 마찬가지로.하데스가 말했습니다."
  60. ^ Homer, Iliad 5.395-397; Kirk, p. 102; Ogden 2013a, pp. 110-111; Gantz, pp. 70, 414, 416파냐시스 F26 웨스트(웨스트, M. L., 212-213쪽)는 헤라클레스가 쏜 "엘린 하데스"를 가지고 있습니다.헤라클레스 푸렌 48–51(52-53쪽)을 세네카와 비교해보면, 헤라클레스는 "정복한 왕에 대한 승리의 가루"를 가져다 줍니다.
  61. ^ Schol. Homer Iliad 5.395-397 (Ogden 2013b, 페이지 66); Ogden 2013a, 페이지 112; Gantz, 페이지 416)
  62. ^ 스몰우드, 페이지 96-97; Ogden 2013a, 페이지 111.
  63. ^ Ogden 2013a, 페이지 111.
  64. ^ Euripides Heracles 610–613; Ogden 2013b, pp. 69–70.이 질문은 암피트리온이 "[헤라클레스]가 가져온 것인지, 아니면 그의 삼촌으로부터 기꺼이 받은 선물인지를 묻는 세네카, 헤라클레스 퓨렌스 760–761 (110–111쪽)에서도 반복됩니다.
  65. ^ Pirithous TrGF 43 F1 가설 (Collard and Cropp, pp. 640–641)
  66. ^ 디오도로스 시쿨루스, 4.26.1
  67. ^ 아리스토텔레스, 개구리 465-469; Ogden 2013b, pp. 65-66
  68. ^ 세네카, 헤라클레스 퓨렌스 797–812 (112-113쪽)
  69. ^ 오비드, 메타모포스 7.409–413.
  70. ^ Ogden 2013a, pp. 107–108, 112–113.
  71. ^ 스트라보, 8.5.1.
  72. ^ 세네카, 헤라클레스 푸렌스 663 (pp. 102–105) (입구), 813 (pp. 112–113) (출구)세네카의 설명은 밀레투스의 헤카테우스에 의해 합리화된 훨씬 오래된 전통을 반영하는 것일 수 있습니다. fr. *27 a 파울러 (Fowler 2000, p. 136) (apud Pausanias, 3.25.4–5), (cf. FGrH 1 F27), Ogden 2013a, p. 112 참조.
  73. ^ 아폴로도로스, 2.5.12. Chzetzes, Chiliades 2.36.404 (그리스어: Keessling, pp. 55–56; 영어 번역:베르코위츠(Berkowitz, p. 48)도 세르베루스를 트로이젠에서 키웠습니다.
  74. ^ 파우사니아스, 2.31.2
  75. ^ Ogden 2013a, pp. 107–108, 112; Ogden 2013b, pp. 68–69; Fowler 2013, pp. 305 ff.;헤로도루스 단편 31 파울러(= Euphorion fragment 41a Lightfoot);Euphorion, 단편 41 Lightfoot (Lightfoot, pp. 272–275); Diodorus Siculus, 14.31.3; Ovid, Metamorphoses 7.406–419; Pomponius Mela, 1.92; Pliny, 자연사 27.4; Schol니칸데르 알렉시파마카 13b; Dionysius Periegetes, 788–792; Eustathius, Dionysius Periegetes 788–792; 제1차 바티칸 신화학자, 1.57(Ogden 2013b, pp. 73–74; Pepin, pp. 36)헤라클레아 근처의 코나이트에 대해서는 테오프라스토스, 히스토리아 플랜타룸 9.16.4 페이지 298-299; Strabo, 12.3.7; Pliny, 자연사 6.4; Arian, FGrH 156 F76a Apud Eustathius of Tesalonica, Dionysius Periegetes 788-792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76. ^ Schol. Apollonius of Rhodes Argonautica 2.353 (Ogden 2013b, p. 68); Euphorion과 비교하여, fragment 41a Lightfoot, (Lightfoot, pp. 272–275 = Herodorus fragment 31 Fowler).
  77. ^ 오비드, 메타모포스 7.413–419, 이것은 케르베루스가 "스키티아의 해안가에 있는 동굴을 통해 지하 세계에서 자라나게 했는데, 그곳은 전설적인 것으로, [아코나이트] 식물이 케르베루스의 이빨에 의해 감염된 토양에서 자라나게 된 곳입니다."
  78. ^ 세네카, 헤라클레스 푸렌스 797–821 (112–115쪽); 케르베루스가 "알 수 없는 빛의 색깔을 두려워"하고 있는 아가멤논, 859–862 (198–199쪽) 참조.
  79. ^ 파우사니아스, 2.35.10; 에우리피데스, 헤라클레스 615 (Ogden 2013b, pp. 69–70).
  80. ^ 파우사니아스, 9.34.5
  81. ^ Ogden 2013a, 112-113쪽
  82. ^ Ogden 2013a, p. 113; Ogden 2013b, pp. 69–71.
  83. ^ Euphorian, fragment 71 Lightfoot 14–15 (Lightfoot, pp. 300–303; Ogden 2013b, pp. 69–70).
  84. ^ 디오도로스 시쿨루스, 4.26.1
  85. ^ 세네카, 헤라클레스 퓨렌 46–62 (pp. 52–53)
  86. ^ 세네카, 헤라클레스 퓨렌스 827–829 (114–115쪽)
  87. ^ 아폴로도로스, 2.5.12.
  88. ^ 알렉산드리아의 헤시키우스 s.v. 일레우더론 히도르(Ogden 2013b, pp. 69–71); Ogden 2013a, pp.
  89. ^ 출처에 대한 논의는 Ogden 2013a, pp. 104–114; Ogden 2013b, pp. 63–74; Gantz, pp. 22–23, 413–416 참조.
  90. ^ 호머, 일리아드 8.367–368, 오디세이 11.620–626
  91. ^ Homer, Iliad 5.395-397; Kirk, p. 102; Ogden 2013a, pp. 110-111; Gantz, pp. 70, 414, 416
  92. ^ 헤시오도스, 테오고니 300–312.
  93. ^ Hesiod, Theogony 767–774; Ogden 2013b, pp. 65.
  94. ^ Bowra, 94쪽; Ogden 2013a, 105 n. 182쪽.
  95. ^ Gantz, p. 22; Ogden 2013a, p. 106, n. 184; LIMC Herakles 2553.
  96. ^ 보우라, 120쪽.
  97. ^ Gantz, p. 22; Ogden 2013a, p. 106, n. 185; LIMC Herakles 2605 2017년 7월 10일 웨이백 머신에서 보관; Schefold 1992, p. 129; Pipili, 그림 8.
  98. ^ Iliad, Gantz p. 22; Ogden 2013a, p. 105, n. 182와 함께, 지하세계의 헤라클레스에 대한 Pindar partment F249a/b SM.
  99. ^ 바킬리데스, 송가 5.56–62
  100. ^ 소포클레스, 트라키스여인들 1097–1099
  101. ^ 소포클레스, 콜로누스에서 오이디푸스 1568-1578; 마르칸토나토스, 129-130쪽.
  102. ^ 에우리피데스 헤라클레스 1276–1278
  103. ^ 에우리피데스 헤라클레스 22승 25패.
  104. ^ 에우리피데스 헤라클레스 22승 25패.
  105. ^ Euripides Heracles 612-613; Papadopoulou, p. 163; Ogden 2013b, pp. 69-70
  106. ^ 에우리피데스 헤라클레스 22승 25패.
  107. ^ Pirithous TrGF 43 F1 가설 (Collard and Cropp, pp. 640–641)저자에 대한 질문은 Gantz, p. 293; Collard and Cropp, pp. 629–635, p. 636 참조.
  108. ^ 플라톤 공화국 588c.
  109. ^ Euphorian, fragment 71 Lightfoot (Lightfoot, pp. 300-303; Ogden 2013b, pp. 69-70); Ogden 2013a, p. 107
  110. ^ Schol. Apollonius of Rhodes Argonautica 2.353 (Ogden 2013b, p. 68); Euphorion과 비교하여, 단편 41a Lightfoot (Lightfoot, pp. 272–275).
  111. ^ 디오도로스 시쿨루스, 4.25.1, 26.1-2; Ogden 2013b, 페이지 66.
  112. ^ Virgil, Aeneid 6.417–425; Ogden 2013b, p. 71; Ogden 2013a, p. 109; Ogden 2013b, p. 69.Apuleius와 비교해 보면, Metamorphoses 6.19 (pp. 284–285), 버질을 따라 지하세계를 탈출하는 것(진입하는 것은 물론)은 Cerberus에게 미드에 적신 보리 케이크를 줌으로써 달성됩니다.
  113. ^ 버질, 아이네이드 8.296-297
  114. ^ 버질, 조지 4.483
  115. ^ Horace, Odes 3.11.13–20; West, David, pp. 101–103; Ogden 2013a, p. 108. Odes 2.13.33–36 ("백두, 아마도 뱀 백 마리를 지칭하는 말"), Odes 2.19.29–32 ("세 개의 혀")와 비교.
  116. ^ Ovid, Metamorphos 4.500–501.
  117. ^ Ovid, Metamorphoses 7.406 fff.;Ogden 2013a, 페이지 108.
  118. ^ 세네카, 헤라클레스 퓨렌스 782-821 (pp. 110-115); 오그덴 2013b, pp. 66-68
  119. ^ 세네카, 헤라클레스 퓨렌스 782–791 (110-113쪽)
  120. ^ 세네카, 헤라클레스 푸렌스 797–821 (112–115쪽); 케르베루스가 "알 수 없는 빛의 색깔을 두려워"하고 있는 아가멤논, 859–862 (198–199쪽) 참조.
  121. ^ 세네카, 헤라클레스 퓨렌 46–62 (pp. 52–53)
  122. ^ 아폴로도로스, 2.5.12; Ogden 2013b, 페이지 64-65.
  123. ^ 의사-논누스, 4.51 (니모 스미스, 페이지 37); Ogden 2013a, 페이지 114.
  124. ^ Lexicon Iconographicum Mythologiae Classicae (LIMC), Herakles 1697–1761 (보드맨, pp. 5–16), 2553–2675 (Smallwood, pp. 85–100); Schefold 1992, pp. 129–132
  125. ^ LIMC Herakles 2553 (Smallwood, pp. 87, 97–98); Schefold 1966, p. 68 fig. 23; Schefold 1992, p. 129; Ogden 2013a, pp. 106, 111; Gantz, pp. 22, 413–414.
  126. ^ LIMC Herakles 2621 (Smallwood, pp. 92, 97); Ogden 2013a, p. 108.케르베루스는 헤라클레스가 이끌고 있을지 모르지만 왼팔만 보존되어 있습니다.스몰우드에 따르면 헤라클레스와 세르베루스의 동일시는 "던바빈이 제안하고 셰퍼가 확실시했다"(92쪽)며 "안전한 동일시를 위해 조각이 너무 적게 보존된다"고 합니다.
  127. ^ LIMC Herakles 2605 2017년 7월 10일 웨이백 머신에서 보관(Smallwood, p. 91); Schefold 1992, pp. 129-130; Pipili, p. 5, fig. 8, Gantz, p. 22; Ogden 2013a, p. 106, 111 with n. 185, p. 111 with n. 230).
  128. ^ Schefold 1992, 페이지 98.
  129. ^ Schefold 1992, p. 129; Smallwood, p. 87.예외: LIMC 헤라클레스 2570, 2576 (한 머리).
  130. ^ 스몰우드, 87쪽, 93쪽.예외는 다음과 같습니다: LIMC 헤라클스 2553, 2591, 2621 (한 머리), 2579 (두 머리).
  131. ^ LIMC 헤라클스 2640, 2642, 2656, 2666, 스몰우드, 페이지 93
  132. ^ LIMC Herakles 2604 (Smallwood, p. 91); Beazley Archive 301639.
  133. ^ 스몰우드, 페이지 87; Ogden 2013b 페이지 63.를 들어, LIMC Herakles 2553–4, 2560, 2571, 2579, 2581, 2586, 2588, 2595, 2600, 2603–6, 2610–11, 2616, 2621, 2628).
  134. ^ 스몰우드, 87쪽.
  135. ^ LIMC Herakles 2604 (Smallwood, p. 91); Beazley Archive 301639.
  136. ^ LIMC 헤라클스 2554 2017년 7월 10일 웨이백 머신에서 보관 (Smallwood, pp. 87, 98); Schefold 1992, pp. 130–131, fig. 152; Beazley Archive 200011; Perseus Louvre F 204 (Base)
  137. ^ 스몰우드, 8, 91쪽
  138. ^ LIMC 헤라클레스 2610 (작은 나무, 페이지 91); 뷰이트론, 우스터 MA 1935.59; 비즐리 아카이브 351415.
  139. ^ LIMC 헤라클레스 2628 (작은 나무, 페이지 93)
  140. ^ LIMC 헤라클레스 2618 (작은 나무, 페이지 92)
  141. ^ 스몰우드, 98쪽.
  142. ^ 스몰우드, 99쪽.
  143. ^ Stern, p. 7; Ogden 2013a, p. 183.
  144. ^ Ogden 2013a, 184-185쪽
  145. ^ 밀레투스의 헤카테우스, fr. *27 a 파울러 (Fowler 2000, p. 136) (apud Pausanias, 3.25.4–5), (cf. FGrH 1 F27); Hawes, p. 8; Hopman, p. 182; Ogden 2013a, p. 107; Ogden 2013b, p. 72–73.
  146. ^ 파우사니아스, 3.25.6
  147. ^ 팔레파투스, 믿을 수 없는 이야기 39 (스턴, pp. 71–72)
  148. ^ Ogden 2013a, 페이지 187.
  149. ^ Philochorus, FGrH 328 F18a (= Flutarch, Tesus 35.1), F18b, F18c; Harding, pp. 68–70; Ogden 2013b, p. 73; Ogden 2013a, p. 109; Gantz, p. 295; Colard and Cropp, p. 637.플루타르코스, 테세우스 31.1–4; Chzetzes, Chiliades 2.36.388–411 (그리스어: Keessling, pp. 55–56; 영어 번역:Berkowitz, 페이지 48), 4.31.911–916 (Kiessling, 페이지 153; Berkowitz, 페이지 138).
  150. ^ Ogden 2013b, 페이지 73.
  151. ^ 세르비우스버질, 아이네이드 6.395; 오그덴 2013a, p. 190.세르비우스를 따라 문자적 의미와 도덕적 의미 모두에서 세르베루스를 육체의 부패를 상징하는 것으로 해석한 다른 사람들은 Brumble, 68-69쪽을 참조하십시오.
  152. ^ Fulgentius, Mythologies 1.6 (Whitbread, pp. 51-52); Ogden 2013a, pp. 190
  153. ^ 유세비우스, 복음서 작성 3.11.16
  154. ^ 제1차 바티칸 신화학자, 1.57 (Ogden 2013b, 73-74쪽; Pepin, 36쪽); 제2차 바티칸 신화학자, 173 (Pepin, 171쪽);제3차 바티칸 신화학자, 13.4 (Pepin, pp. 324)
  155. ^ 제2차 바티칸 신화학자, 13 (Pepin, p. 106)
  156. ^ 제3차 바티칸 신화학자 6.22 (Pepin, p. 171)
  157. ^ 제2차 바티칸 신화학자, 13 (Pepin, p. 106);제3차 바티칸 신화학자 6.22 (Pepin, p. 171)세르베루스의 머리 세 개를 세 개의 대륙과 연관시킨 다른 사람들은 Brumble, 페이지 69를 참조합니다.
  158. ^ 버질, 아이네이드 6.421입니다
  159. ^ Wilson-Okamura, p. 169; Brumble, p. 69.
  160. ^ 단테, 인페르노 6.13–18
  161. ^ 단테, 인페르노 6.25-27; 랜싱, p. 154
  162. ^ "Ian Ridpath's 'Star Tales'". Ianridpath.com. Retrieved 7 July 2012.
  163. ^ Boleens, Bo; Watkins, Michael; Grayson, Michael (2011).파충류의 이름을 딴 사전.볼티모어: 존스 홉킨스 대학 출판부.139 + 296 pp.ISBN 978-1-4214-0135-5.("Cerberus", 페이지 50).

참고문헌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