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루킨29

Interleukin 29
IFNL1
Protein IL28RA PDB 3OG4.png
사용 가능한 구조물
PDB휴먼 유니프로트 검색: PDBe RCSB
식별자
별칭IFNL1, IL-29, IL29, 인터페론, 람다 1, 인터페론 람다 1
외부 IDOMIM: 607403 호몰로진: 131189 GeneCard: IFNL1
직교체
인간마우스
엔트레스
앙상블
유니프로트
RefSeq(mRNA)

NM_172140

n/a

RefSeq(단백질)

NP_742152

n/a

위치(UCSC)Cr 19: 39.3 – 39.3Mbn/a
PubMed 검색[2]n/a
위키다타
인간 보기/편집

인터루킨-29(IL-29)는 사이토카인(cytokine)으로, 타입 III 인터페론 그룹에 속하며, 인터페론 if(IFN-sublic)이라고도 한다.IL-29(대체명 IFNλ1)는 병원체 및 특히 I형 간섭체와 유사한 메커니즘에 의한 바이러스에 대한 면역 반응에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주로 상피 기원과 간세포의 세포를 대상으로 한다.[3][4]

IL-29는 인간의 19번 염색체에 위치한 IFNL1 유전자에 의해 암호화된다.[3][5]생쥐의 유사성인데 IL-29 단백질이 생쥐에서 생성되지 않는다는 뜻이다.[3]

구조

IL-29는 IFN-10 계열의 나머지 부분과 함께 구조적으로 IL-10 계열과 관련이 있지만, 1차 아미노산 염기서열(및 기능도 I형 인터페론과 더 유사하다.[3]IFN-10 계열 사이토카인 간에 공유되는 IFNL1RIL-10RB의 1개 서브유닛으로 구성된 이질결합 수용체에 결합된다.[3]

함수

면역반응이 병원균에 미치는 영향

IL-29는 I형 인터페론과 유사한 신호 경로를 유도하여 항바이러스 효과를 나타낸다.[3]JAK-STAT 경로를 통한 IL-29 수용체 신호로 인해 인터페론 자극 유전자발현이 활성화되고 항바이러스 단백질이 생성된다.[6]IL-29 신호화의 추가 결과는 IFN-α의 주요 생산국인 pDC에서 MHC 등급 I 분자의 상향 조절된 표현 [3]또는 비용 조절 분자와 케모카인 수용체의 강화된 표현으로 구성된다.[6]

IL-29의 표현은 호흡기, 위장 요오드화합물의 바이러스에 감염된 상피세포에서 지배적이며, 다른 점막조직피부에서도 지배적이다.HCVHBV 바이러스에 감염된 간세포는 I형 인터페론이 아닌 IL-29(일반적으로 IFN-regency)를 생성해 면역반응을 자극한다.[3][4]또한 대식세포, 덴드리트 세포 또는 마스트모세포의 성숙에 의해서도 생성된다.[4]

바이러스와는 별개로 병원균을 방어하는 역할을 한다.[3]그것은 선천적 면역 체계와 적응적 면역 체계 모두의 기능에 영향을 미친다.항바이러스 효과를 기술한 것 외에도 IL-29는 다른 세포의 사이토카인 생성을 변조하는데, 를 들어, 단세포와 대식세포에 의한 IL-6, IL-8, IL-10의 분비를 증가시키고 IFN-GR1의 표현력 증대로 대식세포의 IFN-18에 대한 반응성을 향상시키며 Th1 표현형에 대한 T세포 양극화를 자극하며 IL에 대한 B세포 반응도 자극한다.-29명 보고됐다.[6]

항균성 면역

IL-29가 암세포에 미치는 영향은 암세포 유형에 따라 복잡하다.피부암, 폐암, 대장암, 간세포암 등 많은 경우에서 보호종양 억제효과를 보이나 다발성 골수종 세포에 효과를 촉진하는 종양을 보여준다.[4]IFN은 암 치료로서 잠재성을 가지고 있으며, IFN은 I형 간섭보다 더 제한적인 세포유형에 대한 영향과 더 적은 부작용에 대한 영향을 가지고 있다.[3][4]

자가면역질환

IL-29의 비정상적인 표현은 염증성 사이토카인, 케모카인 및 기타 자가면역 관련 성분의 생산을 강화함으로써 자가면역질환병원생식에 관여할 수 있다.류머티스 관절염, 골관절염, 전신 루푸스 에리테마토수스, 쇠그렌 증후군, 건선, 아토피 피부염, 하시모토 갑상선염, 전신 경화증, 우비염 환자에게서 높은 수준의 IL-29가 관찰되었다.[6]

참조

  1. ^ a b c GRCh38: 앙상블 릴리스 89: ENSG00000182393 - 앙상블, 2017년 5월
  2. ^ "Human PubMed Reference:". 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 U.S.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3. ^ a b c d e f g h i j Lazear HM, Nice TJ, Diamond MS (July 2015). "Interferon-λ: Immune Functions at Barrier Surfaces and Beyond". Immunity. 43 (1): 15–28. doi:10.1016/j.immuni.2015.07.001. PMC 4527169. PMID 26200010.
  4. ^ a b c d e Kelm NE, Zhu Z, Ding VA, Xiao H, Wakefield MR, Bai Q, Fang Y (October 2016). "The role of IL-29 in immunity and cancer". Critical Reviews in Oncology/hematology. 106: 91–8. doi:10.1016/j.critrevonc.2016.08.002. PMC 7129698. PMID 27637354.
  5. ^ "Entrez Gene: interleukin 29 (interferon".
  6. ^ a b c d Wang JM, Huang AF, Xu WD, Su LC (December 2019). "Insights into IL-29: Emerging role in inflammatory autoimmune diseases". Journal of Cellular and Molecular Medicine. 23 (12): 7926–7932. doi:10.1111/jcmm.14697. PMC 6850914. PMID 31578802.

추가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