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터교의 역사
History of Lutheranism다음에 대한 시리즈 일부 |
루터교 |
---|
종교 운동으로서의 루터교는 16세기 초 신성 로마 제국에서 로마 가톨릭 교회를 개혁하려는 시도로 시작되었다. 이 운동은 당시 비텐베르크의 젊은 성서 교수였던 마틴 루터가 가톨릭 교회 내부의 여러 가지 문제에 대해 공개적인 토론을 요구하면서 시작되었다. 루터교는 주요 선출자들의 지지와 인쇄기의 광범위한 채택으로 인해 신성 로마 제국 내에서 곧 더욱 광범위한 종교 및 정치 운동이 되었다. 이 운동은 곧 북유럽 전역으로 확산되어 보다 광범위한 개신교 개혁의 원동력이 되었다. 오늘날, 루터교는 유럽에서 인구밀도가 높은 6개 대륙으로 퍼져나갔다.
개혁의 뿌리 (15세기)
15세기는 유럽 사회에 많은 변화를 보였는데, 이 변화들은 각각 루터 운동의 확산을 가능케 한 학문적, 정치적 풍토에 공헌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마틴 루터 이전의 많은 종교 운동들은 후스파, 왈덴스파, 지롤라모 사보나롤라의 추종자들을 포함하여 그가 채택하게 된 사상을 장려했다. 중요한 것은 르네상스가 만들어낸 조건들이 데시데리우스 에라스무스와 같은 사상가들이 교회 자체의 역할과 본성에 의문을 제기할 수 있게 했다는 점이다.
유럽의 사회 격변
16세기 초, 유럽 대륙은 지난 200년 동안 사회와 문화의 질서에 엄청난 변화를 겪었다. 흑사병으로 인한 급격한 인구 감소는 사회의 하층민들 사이에 새로운 경제적 기회와 이동성을 만들어냈다. 노동력 부족과 생산성 증대의 필요성을 해결하기 위한 신기술이 등장했고, 이는 제조와 무역을 지원하는 새로운 사회의 계층을 만들었다. 마틴 루터의 아버지인 한스 루터는 이 새로운 중산층의 일원이었다. 한스 루터는 구리광산과 제련소를 임대해 운영하며 생활했다. 루터 가문은 한스가 아들의 변호사로 대학 교육과 경력을 구상할 수 있을 만큼 충분한 수입과 사회적 지위를 누렸다.
14세기 역시 세기의 초기의 서구 슈교의 결의로 로마 가톨릭 교회에서 격변, 르네상스 시대의 유파를 둘러싼 논란, 새롭게 부상하고 있는 오스만 제국의 크리스텐덤 침공이 가져온 새로운 압력 등을 낳았다.
읽고 쓰는 능력의 확산
책의 보급과 고등교육은 루터교 개혁자들에게 분명한 영향을 끼쳤다. 구텐베르크 성경은 1455년에 처음 인쇄되었는데, 이후 성경과 다른 책들이 그 어느 때보다도 널리 보급되어 빠르게 보급되고 있다. 책의 보급과 함께 대학들은 로마 가톨릭 교회의 즉각적인 통제 밖에 존재하는 새로운 학문 문화의 중심지가 되고 있었다. 1502년 작센의 프레데릭 3세가 '마틴 루터'라는 이름의 '성경 교수'로 젊은 아우구스티누스 수도사를 수용하는 대학인 비텐베르크 대학을 설립하였다.
종교개혁의 시작
1516–17년, 도미니카 수도회 목사 겸 교황 면죄부 집행관인 요한 테첼은 로마 가톨릭 교회에서 면죄부를 팔기 위해 독일로 보내졌다.[2]
1517년 10월 31일 루터는 알브레히트 마인츠 대주교와 마그데부르크 대주교에게 편지를 보내 면죄부 판매에 항의했다. 그는 편지에 '구백오십일학'으로 알려지게 된 자신의 '마틴 루터의 권력과 효능에 대한 모욕' 한 권을 동봉했다. 한스 힐러브란드는 루터가 교회에 대항할 생각은 없었지만 그의 분열을 교회 관행에 대한 학자적 거부로 보았고, 따라서 글의 어조는 "교조적이라기보다는 탐구적"이라고 쓰고 있다.[3] 힐러브란드는 특히 논문 86에서 "왜 오늘날 가장 부유한 크라수스의 재산보다 더 큰 교황이 성 성당 성당을 짓느냐"고 묻는 논문에는 도전이라는 저류가 있다고 쓰고 있다. 자기 돈보다는 가난한 신자들의 돈으로 베드로?"[3]
루터는 요한 테첼이 "커피 속의 동전이 울리자마자, 연옥의 샘에서 나오는 영혼"[4]이라고 한 말에 반대하며, 용서가 허락하는 것은 하나님 혼자였기 때문에, 면죄부를 준다고 주장하는 사람들은 모든 처벌로부터 구매자들을 용서하고 그들에게 구원을 허락했다고 주장하는 사람들은 잘못되었다고 주장했다. 그는 기독교인들은 그러한 거짓된 확약을 이유로 그리스도를 따르는 데 게으름을 피워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필립 멜랑크톤에 따르면, 1546년에 쓴 '아흔다섯 개의 Thes' 사본은 루터가 같은 날 비텐베르크의 성 교회 문에 못을 박아 놓았는데, 그것은 현재 개신교 개혁을 촉발시키는 것으로 보여지는 사건이며,[5] 매년 10월 31일을 종교개혁의 날로 기념했다. 일부 학자들은 멜랑크톤에 대한 동시대적인 증거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지적하면서 멜랑크톤에 대한 설명의 정확성에 의문을 제기했다.[6] 다른 사람들은 이것이 루터 시대에 대학 캠퍼스에서 행사를 광고하는 관습적인 방법이었기 때문에 그러한 증거는 필요하지 않다고 반박했다.[7]
'아흔다섯 개의 논문'은 라틴어에서 독일어로 빠르게 번역되어 인쇄되고 널리 베껴져 이 논란이 인쇄기의 도움을 받은 역사상 첫 번째 논란이 되었다.[8] 2주 안에, 그 논문들은 독일 전역으로 퍼졌고, 2개월 안에 유럽 전역으로 퍼졌다.
신앙 석죄
1510년부터 1520년까지 루터는 시편과 히브리인, 로마인, 갈라트인 등의 책을 강의하였다. 그는 성경의 이러한 부분을 연구하면서 로마 가톨릭 교회의 참회, 의와 같은 용어의 사용을 새로운 시각으로 보게 되었다. 그는 교회가 부패했다고 확신하게 되었고 기독교의 몇 가지 중심적 진리로 본 것을 놓치게 되었는데, 그 중 가장 중요한 것은 루터에게 있어서 하나님의 은총을 통해 오직 믿음만으로 죄인을 의롭게 선포한 하나님의 행위인 명분주의 교리였다. 구원과 구원은 하나님의 은총의 선물이며, 오직 메시아로서의 예수에 대한 믿음을 통해서만 얻을 수 있다는 것을 가르치기 시작했다.[9] 그는 "우리가 명분주의 교리라고 부르는 이 하나뿐인 굳은 바위"라며 "모든 경건함에 대한 이해를 이해하는 전체 기독교 교리의 주요 조항"이라고 썼다.[10]
루터는 정당성을 전적으로 하나님의 일로 이해하게 되었다. 루터는 신자들의 의로운 행위가 하나님과 협력하여 행해진다는 당대의 가르침에 반하여, 기독교인들은 전적으로 외부로부터 그러한 의를 받는다고 썼다; 의로운 것은 그리스도에게서만 오는 것이 아니라 실제로 그리스도인에게 귀속된 그리스도의 의라는 것이다.h [11]믿음 그는 "그래서 믿음만이 누군가를 정의롭게 만들고 법을 이행하는 것"이라고 썼다. "신앙은 그리스도의 장점을 통해 성령을 인도하는 것이다."[12] 루터에게 믿음은 신이 내린 선물이었다. 그는 스말칼드 조항에서 "정당한 것"에 대한 자신의 개념을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
첫 번째와 주요 기사는 다음과 같다: 우리의 하나님과 주 예수 그리스도는 우리의 죄를 위해 죽으시고 우리의 정당성을 위해 다시 양육되었다(롬 3:24–25). 그 혼자만이 세상의 죄(요 1:29)를 앗아가는 하나님의 어린양이고, 하나님은 우리 모두의 죄(이사야 53:6)를 그에게 내려 주셨다. 모든 사람은 자신의 업적과 공적이 없이 그리스도의 은혜로 말미암아 그리스도의 피 속에 있는 구원을 통하여(로맨 3:23–25) 죄를 지었고 자유롭게 정당화되었다. 이것은 믿을 필요가 있다. 이것은 다른 방법으로는 어떤 일, 법률 또는 공적에 의해서도 획득되거나 파악될 수 없다. 그러므로 이 믿음만이 우리를 정당화한다는 것은 분명하고 확실하다... 하늘과 땅과 그 밖의 모든 것이 무너지더라도 이 글의 어떤 것도 양보하거나 항복할 수 없다(마크 13:31).[13]
교황의 반응
확폭구간 균열
루터의 글은 널리 퍼져 1519년경 프랑스, 영국, 이탈리아에 이르렀고 학생들은 그의 말을 듣기 위해 비텐베르크로 몰려들었다. 그는 갈라디아인들과 시편들에 대한 그의 작품에 대한 짧은 논평을 발표했다. 동시에, 그는 이탈리아와 보헤미아의 우트라퀴스트들로부터 대표단을 받았고, 울리히 폰 허튼과 프란츠 폰 시팅겐은 루터를 그들의 보호하에 두겠다고 제안했다.[why?][14]
루터 경력의 이 초기 부분은 그의 가장 창의적이고 생산적인 부분 중 하나였다.[15] 그의 가장 잘 알려진 세 작품은 1520년에 출판되었다. 독일 국가의 기독교 귀족, 교회의 바빌로니아 포로, 그리고 기독교인의 자유에 대하여.
마침내 1518년 5월 30일 교황이 해명을 요구하자 루터는 교황에게 자신의 논문 요약과 설명을 썼다. 교황은 일부 요점을 인정했을지 모르지만, 그는 자신의 권위에 대한 도전을 좋아하지 않았기 때문에 루터를 로마로 불러 이들에 대해 답변했다. 그 때 색슨 엘렉터인 Wise Frederick이 끼어들었다. 그는 자신의 신하 중 하나가 가톨릭 성직자들의 심판을 받는 것을 원치 않았기 때문에 프레데릭의 지원이 필요한 신성로마 황제 찰스 5세가 타협안을 마련하도록 우세했다.
그러나 합의는 발효되었고, 이에 따라 소환이 취소되었고, 루터는 1518년 10월 교황 공관인 토마스 카제탄 추기경을 만나기 위해 아우크스부르크로 갔다. 논쟁은 길었지만 아무것도 해결되지 않았다. 라이프치히 토론은 1519년 6월과 7월 독일 라이프치히의 플레이센부르크 성에서 열렸다. 그 목적은 마틴 루터의 가르침을 논하는 것이었으며, 루터의 적수인 작센 공작 조지가 지켜보는 가운데 시작되어 행해졌다.
통신 해제
1520년 6월 15일 교황은 교황 황소(독재) 엑수르지 도미네와 함께 루터에게 "구십오 세제를 포함한 자신의 저술에서 뽑은 41개의 문장을 60일 이내에 철회하지 않으면 파문을 감수할 위험이 있다"고 경고했다.
그해 가을 요한 에크는 마이센과 다른 마을에 황소를 선포했다. 교황 수녀가 된 카를 폰 밀티츠는 해결책을 중개하려 했으나, 지난 10월 교황에게 '기독교인의 자유에 관한' 사본을 보냈던 루터가 1520년 12월 10일 비텐베르크에서 공개적으로 소와 데크레탈에 불을 지른 것은 [16]왜 교황과 그의 최근 저서가 불타고 모든 조항에 관한 주장에서 옹호한 행위였다.
그 결과, 루터는 1521년 1월 3일 소 데케 로마눔 폰티페렘에서 레오 X에 의해 파문되었다.
망명
벌레의 식단
41개 문장에 대한 금지의 집행은 세속 당국에 떨어졌다. 1521년 4월 18일 루터는 벌레의 식전에 명령한 대로 나타났다. 이것은 라인 강에 있는 마을인 웜스에서 일어난 신성로마제국 영지의 총회였다. 1521년 1월 28일부터 5월 25일까지 황제 찰스 5세가 주재한 가운데 실시되었다. 작센의 선출자인 프레데릭 3세 왕자는 루터가 이 회의에 안전하게 드나들 것을 약속받기로 합의하였다.
요한 에크는 트리에르 대주교의 조수로 제국을 대신하여 연설하면서 루터에게 그의 저술 사본을 탁자 위에 펼쳐놓고, 그 책들이 그의 것이 맞는지, 그리고 루터에게 그 책들의 내용을 지켜주었는지를 물었다. 그는 자신이 작가임을 확인했지만, 두 번째 질문에 대한 답을 생각해 볼 시간을 요구했다. 그는 기도하고, 친구들과 상의한 다음 날 이렇게 대답하였다. "내가 성경의 증언이나 분명한 이성으로 확신하지 않는 한... 양심에 어긋나는 행동을 하는 것은 안전하지도 않고 명예롭지도 않기 때문에 나는 어떤 철회도 할 수 없고 할 수 없다."[17] 그는 또한 다음과 같이 덧붙였다고 알려져 있다: "Hier stehe ich. Ich Kann Nicht Anders. 갓이 미르를 조종했다. 아멘."("여기 서 있다. 다른 건 할 수 없어. 하느님이 날 도와 주시길. 아멘.")). 선언문에 대한 이러한 설명은 동시대적 설명에 마지막 네 단어만 나타나기 때문에 불확실할 수 있다.[18]
이후 5일 동안 루터의 운명을 결정하는 비공개 회의가 열렸다. 황제는 1521년 5월 25일 루터를 무법자로 선언하고, 그의 문학을 금지하며, "우리는 그가 악명 높은 이단으로 체포되어 처벌받기를 원한다"[19]는 내용의 벌레의 칙령 최종 초안을 제시했다. 또한 루터에게 음식이나 은신처를 주는 것은 독일의 어느 누구라도 범죄로 만들었다. 그것은 누구든지 법적인 영향 없이 루터를 죽일 수 있도록 허락했다. 칙령은 보다 온건한 사람들, 특히 데시데리우스 에라스무스를 괴롭히는 분열적인 움직임이었다.[citation needed]
바르트부르크 성에서 망명
루터의 귀환 중 실종은 계획되었다. 작센의 프레데릭 3세는 집으로 돌아가는 길에 복면을 쓴 기병들에게 조심스레 가로채서 아이제나흐의 바르트부르크 성 경비대로 호송하도록 시켰는데, 그곳에서 루터는 수염을 기르고 거의 11개월 동안 미행 생활을 하면서 준커 ö르그라는 기사 행세를 했다.[20]
로"내 성"[21]루터는 그리스어에서 독일어로 신약 성경이 번역해 Luther가(도 될까 1521–March 1522년),에서 그가 머무는 동안 그는 하고, 10월에 대주교 알브레히트 마인츠의, 그의 episcopates,[22]에서 면죄부 판매를 중단하는으로 많은 것을 부끄러워했다 새로운 공격 등과 격론을 벌이는 교리적 글을 부었다는 언급했다.d가``는라토무스의 주장에 대한 진술"에서 그는 루바인 출신의 철학자 야코부스 라토무스에게 정당성의 원리를 설명했다.[23] 그는 1521년 8월 1일 멜랑크톤에게 보낸 편지에서 다음과 같이 썼다. "너의 죄는 강해지되 그리스도에 대한 신뢰는 강해지도록 하라. 그리고 죄와 죽음과 세상을 이기는 그리스도를 기뻐하라. 이 생명은 정의가 깃든 곳이 아니니 우리가 여기 있는 동안 죄를 짓겠다."[24]
루터는 1521년 여름, '사적 미사 철폐에 대하여'에서 자신의 목표를 면죄부나 순례와 같은 개별적인 소아성애에서 교회 실천의 핵심에 있는 교리로 넓혔다. 그의 수필 '고백에 관한 것'은 로마 카톨릭 교회의 고백 요구 조건을 거부했지만, 그는 사적인 고백과 용서라는 가치를 긍정했다. 1522년 9월에 출판되어 두 달 만에 5,000부를 판매한 그의 신약성경에 대한 소개에서 그는 선한 작품은 믿음에서 우러나온 것이라고 설명했는데, 그들은 그것을 생산하지 않는다.
비텐베르크에서는 후에 전 아우구스티니아인 가브리엘 즈윌링의 지원을 받은 안드레아스 칼슈타트가 루터가 예상한 어떤 것을 능가하는 분열적인 개혁 프로그램을 제정하여, 이전 아우구스티니아 수도사들의 반란을 일으켰고, 교회에서의 동상과 이미지의 파괴, 치안판사의 규탄 등 소란을 일으켰다. 루터는 1521년 12월 초 비밀리에 비텐베르크를 방문한 후, 반란과 반란을 막기 위해 모든 기독교인에게 마틴 루터의 '성실한 훈계'를 썼지만, 이른바 즈위카우 예언자 무리들이 크리스마스 이후 인간의 평등, 성인 세례, 치리(Chrii)를 설교하는 데 도착하면서 비텐베르크의 변덕이 더욱 심해졌다.성씨의 귀국이 임박했고, 다른 혁명적인 교리들이 있었다.[22] 루터는 이제 행동을 취해야 할 때라고 결정했다.
비텐베르크로 돌아가기
1521년 크리스마스 무렵 즈위카우 출신의 아나밥티스트들이 비텐베르크에 들어가 상당한 시민 소요를 일으켰다. 그들의 급진적인 견해에 철저히 반대하고 결과를 두려워한 루터는 1522년 3월 6일 비밀리에 비텐베르크로 돌아왔다. "내가 없는 동안에, 사탄은 나의 양피지에 들어가서, 내가 글로써 고칠 수 없는, 다만 나의 존재와 살아 있는 말만으로 고칠 수 없는 폐허를 저질렀다."[22]라고 그는 선거인단에게 썼다.
사순절에서 8일간, 3월 9일, 인보카비트 선데이를 시작으로 그 다음 일요일까지 루터는 8개의 설교를 설교했는데, 이 설교는 '인보카비트 설교'로 알려지게 되었다. 그는 이 설교에서 사랑, 인내, 자선, 자유 등 기독교의 핵심 가치에 대한 프라이머리(primacy)를 고취하고 시민들에게 필요한 변화를 이끌어내기 위해 폭력보다는 하나님의 말씀을 믿으라고 일깨워 주었다.
사람들이 복음을 전파하기 위해 폭력을 사용하는 것을 보면 악마가 어떻게 생각하는지 아십니까? 그는 지옥의 불 뒤에 팔짱을 끼고 앉아 악랄한 표정과 무서운 미소를 지으며 말한다: "아, 이 미친놈들이 내 게임을 하다니 얼마나 현명한가! 그들을 놓아 주어라. 나는 이익을 얻겠다. 나는 그것을 즐긴다고 말했다. 그러나 그 말이 혼자서 전장에서 뛰고 다투는 것을 보면, 그는 무서워서 몸을 떨며 몸을 떨기도 한다.[22]
1534년 에티오피아 정교회의 집사 미카엘은 비텐베르크로 건너가 마틴 루터를 만났는데, 두 사람 모두 루터 미사와 에티오피아 정교회가 사용하는 미사가 서로 일치한다는 데 동의했다.[25][26] 그들의 토론에서 마이클 디콘은 루터의 기독교 신앙 조항에 대해서도 "좋은 신조"[27]라고 단언했다. 마틴 루터는 에티오피아 정교회가 '양종, 토속, 기혼 성직자' 등 신앙의 요소를 실천하는 것을 보고 루터교회에서 이런 실천이 관행화됐다.[28] 루터교인들에게 "이티오피아 교회는 로마 가톨릭 교황의 권한 밖의 교회에 대한 루터의 신흥 개신교적 비전에 대해 정당성을 부여했다"는 것은 '사도들과 직접적인 유대관계를 가진 고대 교회'[29]였기 때문이다.
정치·종교 갈등
엄격히 신학적, 학문적 논쟁으로 시작되었던 것이 이제는 루터, 그의 독일 동맹국들 그리고 북유럽 지지자들을 찰스 5세, 프랑스, 이탈리아 교황, 그들의 영토와 다른 동맹국들에 대항하여 괴롭히면서 사회와 정치적 갈등의 어떤 것으로도 변질되어 있었다. 이 갈등은 신성로마제국의 정치적 풍토와 양측의 강한 성격에 의해 촉발된 루터의 죽음 이후 종교전쟁으로 분출될 것이다.
뉘른베르크 식단이 루터를 체포하는 목적을 달성하지 못하자, 1526년 제1차 스피어 식단에서 총회가 마틴 루터에 의해 제기된 신학적 문제를 만나 해결할 수 있을 때까지 벌레의 칙령을 시행하지 않고 각 왕자가 루터의 가르침과 예배가 허용될지를 결정할 수 있다고 결정되었다.그의 영토에서. 1529년, 제2차 스피어 의회에서, 루터 왕자들, 자유 도시들, 그리고 일부 Zwinglian 영토의 강력한 반대에도 불구하고 이전의 스피어 의회가 번복되었다. 이 주들은 곧 개신교도로 알려지게 되었다. 처음에, 이 개신교라는 용어는 벌레의 칙령에 저항하는 국가들을 위해 정치적으로 사용되었다. 그러나 시간이 흐르면서 이 용어는 16세기 로마 가톨릭 전통에 반대하는 종교 운동에 쓰이게 되었다.
루터교는 찰스 5세가 성장하는 개신교 운동을 막기 위해 소집한 아우크스부르크 1530년 이후 별도의 운동으로 알려지게 된다. 의회에서 필립 멜랑크톤은 아우크스부르크 고백이라고 불리는 루터교 신앙에 대한 요약서를 발표했다. 독일 왕자들 중 몇 명(이후 다른 나라의 왕과 왕자들)이 "루테란" 영토를 규정하는 문서에 서명했다. 그것에 대한 로마 가톨릭의 반응은 아우크스부르크의 1530년 국회에서도 콘푸타티오 아우구스타나였다. 콘푸타시오에 대응하여 필리프 멜랑크톤은 프리마 델라인라티오를 준비했다. 이는 황제에 의해 거부되었지만, 멜랑숑은 슈말칼다르크연맹 회의에서 아우크스부르크고백의 1537년 사과로 서명될 때까지 사문서로서 개선하였으나, 1545-63년 트렌트 평의회가 있을 때까지 가톨릭측은 이에 응하지 않았다.
차례로 작센의 존 프레데릭 1세(John Frederick I) 당선자와 헤세의 랜드그레이브 필립 1세가 이끄는 여러 루터주의 주들이 슈말칼덴 마을에서 만나 1531년 슈말칼데릭 연맹을 창설했다. 처음에 1532년의 뉘른베르크 종교 평화는 슈말칼딕 연맹 회원들에게 종교적인 자유를 부여했다. 이 시기에 마틴 루터는 자신의 정치적 영향력을 이용해 전쟁을 막았지만, 침략이 일어나도 자기 땅을 지킬 지배자의 권리를 인정했다(루터의 '맥주늑대 통치자 개념' 참조).[30]
마틴 루터와 종교개혁은 또한 교회 건축과 디자인에 급진적인 변화의 시기를 가져왔다. 개신교 개혁의 이상에 따라 구어인 설교가 교회 예배에서 중심적 행위가 되어야 한다. 이는 강단이 교회 내부의 구심점이 되었고 모든 사람이 목사를 듣고 볼 수 있도록 교회를 설계해야 함을 시사했다.[31][page needed] 천진난만한 강조보다는 말씀을 전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성찬식탁자는 그리스도의 희생이 영원히 한 번 이루어졌다는 것을 강조하기 위해 나무가 되었고, 그리스도를 통해 인간이 하나님께 직접 접근하는 것을 강조하기 위해 회중에게 더욱 즉각적으로 만들어졌다. 그러므로, 가톨릭 교회들은 개혁될 때 다시 꾸몄다: 그림들과 성자들의 조각상들은 제거되었고 때때로 제단 테이블은 1524년 스트라스부르 성당처럼 강단 앞에 놓였다. 콩깍지가 설교단 쪽으로 향하게 되었다. 처음 새로 지어진 개신교 교회는 1543년 누부르크 성의 궁정 예배당이었고, 그 뒤 1544년 10월 5일 마틴 루터가 성성한 토르가우 하텐펠스 성의 궁정 예배당이었다.
루터는 1546년에 죽었다. 1547년, 슈말칼드 전쟁은 두 루터 통치자의 싸움으로 시작되었으나, 곧 신성로마제국군이 전투에 참가하여 슈말칼딕 연맹원들을 정복하여 평화를 통해 루터인들에게 종교적 자유가 보장될 때까지 아우크스부르크 과도기의 조건을 강행하면서 많은 루터인들을 탄압하고 면직시켰다.1552년 파사우와 1555년 아우크스부르크의 평화.[32]
크립토-칼빈주의자들, 필리프주의자, 새크라멘타리인, 유비퀴타리아인, 그리고 그네시오-루테리아인 사이의 종교적 논쟁은 일련의 논란 중에 루터교 내에서 격렬하게 일어났다.
콩코르디아: 교조적 조화
그러나 루터 운동은 패배와는 거리가 멀었다. 1577년, 다음 세대의 루터 신학자들이 전 세대의 작품을 모아 지속되는 루터교회의 교리를 규정하였다. 이 문서는 콩코드의 공식으로 알려져 있다. 1580년 아우크스부르크 고백, 아우크스부르크 고백의 사과, 마틴 루터의 크고 작은 교리학, 스말칼드 기사, 교황의 권력과 프라이마시에 관한 논문과 함께 출간되었다. 그들은 함께 <콩코드의 서>라는 책으로 배포되었다. 이 교조적 표준은 이전의 불완전한 교리의 수집을 대체하여 모든 독일 루터교도를 동일한 교리로 통일시키고 루터교 정교회의 시대를 시작하였다. 루터교회는 전통적으로 자신을 그리스도와 사도들이 세운 '역사적 기독교 나무의 주줄기'로 보고 있으며, 종교개혁 과정에서 로마교회가 떨어져 나간 것을 들고 있다.[33][34] 이와 같이 아우크스부르크 고백은 "루터와 그의 추종자들이 고백한 신앙은 새로운 것이 아니라 진정한 가톨릭 신앙일 뿐이며, 그들의 교회는 진정한 가톨릭 또는 보편적 교회를 대표한다"고 가르친다.[35] 루터교인들이 신성로마제국 황제 찰스 5세에게 아우크스부르크 고백서를 제시하자 "성경에는 무엇보다도 믿음과 실천의 각 조항이 진실이고, 그 다음에는 교회 아버지와 의회의 가르침에도 진실"이라고 설명했다.[35]
초기 정교회: 1580–1600
콩코드 책은 주로 그네시오-루테란과 필리프주의자들 사이에 많은 논쟁을 벌였던 루터니즘에 로마 카톨릭의 외압과 "크립토-칼비니즘"의 영향력에 내적 단결을 주었다. 루터 신학은 그 이론적 정의에서 더욱 안정적이 되었다.
하이 정교회: 1600–1685
루터 학설은 점차 발전하여, 특히 예수회와의 논쟁을 목적으로 하여, 마침내 요한 게르하르트에 의해 성립되었다. 아브라함 칼로비우스는 정통 루터교에서 학문적 패러다임의 절정을 나타낸다. 다른 정통 루터 신학자들은 예시였다. Martin Chemnitz, Aegidius Hunnius, Leonhard Hutter, Nicolaus Hunnius, Jesper Rasmussen Brochmand, Salomo Glassius, Johann Hülsemann, Johann Conrad Dannhauer, Johannes Andreas Quenstedt, Johann Friedrich König and Johann Wilhelm Baier.
필립 멜랑숑의 신학적 유산은 헬름스테트 스쿨에서, 특히 '싱크레티즘 논란'을 일으켰던 게오르기우스 칼릭스투스의 신학에서 다시 일어났다. 또 다른 신학적 이슈는 크립토-케노틱 논쟁이었다.[36]
후기 정교회 (1685–1730)
일반적으로 17세기는 30년 전쟁으로 인해 초기 개혁 시기보다 더 어려운 시기였다. 핀란드는 1696–1697년에 현재 리틀 빙하기라고 불리는 것의 일부로 심각한 기근을 겪었고, 인구의 거의 3분의 1이 죽었다.[37] 살아남기 위한 이러한 투쟁은 찬송가나 헌신적인 글에서 흔히 볼 수 있다.
후기 정교회는 이성주의, 이성에 바탕을 둔 철학, 그리고 개인적인 헌신, 도덕, 감정, 성경의 연구 등을 강조하고자 했던 루터교의 부흥운동인 피에티즘의 영향으로 갈팡질팡했다. 피에티스트 신학자 필리프 야콥 스페너와 아우구스트 헤르만 프랑케는 루터의 정통성이 인생을 바꾸는 문자적 진리를 무의미한 지적주의와 형식주의로 전락시켰다고 경고했다. 피에티즘은 정통성을 희생하면서 증가했지만, 그들이 강조하는 개인적인 도덕성과 신성화는 정당성의 교리를 가르치는 데 희생되었다. 독실한 감정을 자극하는 데 초점을 맞춘 피에티시즘은 합리주의 철학의 논쟁에 민감했다.[38]
계몽주의와 신학 이전에 마지막으로 눈에 띄는 정통 루터 신학자는 데이비드 홀라츠였다. 후기 정통 신학자 발렌틴 에른스트 뢰셔는 피에티즘에 대한 논쟁에 참가했다. 마르틴 몰러, 요한 아른트, 요아힘 뤼트케만 등의 작품에서는 평범하고 신비로운 전통이 계속되었다. 피에티즘은 정통성의 경쟁자가 되었지만, 아른트, 크리스티안 스크리버, 스테판 프래토리우스와 같은 일부 정통적인 이탈 문학들을 채택했는데, 이 문학은 후에 피에티즘 문학과 자주 혼합되어 왔다.
합리주의와 부활
합리주의
이 복잡한 종교 현장 속으로 독일 합리주의자인 크리스티안 울프, 고트프리드 라이프니즈, 임마누엘 칸트와 함께 프랑스와 영국의 합리주의 철학자들이 엄청난 영향을 끼쳤다. 신에 대한 믿음과 성경과 기독교 교리의 약속에 대한 신뢰 대신, 사람들은 그들 자신의 이성과 감각을 신뢰하도록 배웠다. 기껏해야 합리주의는 막연한 초자연주의에 대한 믿음을 남겼다. 도덕과 교회 지향은 함께 급락했다.[38]
진정한 경건함은 거의 오로지 작은 피에티스트 모임에서만 발견된다. 그러나 일부 평신도들은 요한 게르하르트, 하인리히 뮐러, 크리스티안 스크리버 등이 저술한 것을 비롯하여 옛 교리, 찬송가집, 우편물, 일탈문헌 등을 재사용하여 피에티즘과 합리주의로부터 루터교정설을 보존하였다.[39] 그러나 그것과는 별개로 루터교는 합리주의 철학의 여파로 사라졌다.[38]
리바이벌
각성
나폴레옹의 독일 침공은 합리주의를 조장하고 독일 루터교도들을 화나게 하여, 루터의 신학을 합리주의 위협으로부터 보존하고자 하는 열망을 국민들 사이에 불러일으켰다. 이 에르웨쿵, 즉 각성(Awarning)은 이성이 불충분하다고 주장하면서 정서적 종교적 체험의 중요성을 지적했다. 성경 공부, 헌신적인 글 읽기, 부흥 모임에 전념하는 대학에서는 소그룹들이 생겨났다.[40] 이 운동의 구성원들은 결국 네오루테리아 운동에서 루터교회의 전통적인 교리와 교리를 회복하는 데 착수했다. 평신도인 루터의 학자 요한 게오르크 하만은 이성주의에 대항하고 각성을 진전시킨 것으로 유명해졌다.[41]
이 각성은 또한 스칸디나비아를 휩쓸었고, 독일의 신루테란주의와 피에티즘의 영향을 받았다. 덴마크의 목사 겸 철학자 N. F. S. 그룬트비그는 1830년부터 시작된 개혁 운동을 통해 덴마크 전역의 교회 생활을 재구성했다. 그는 또한 하나님의 말씀이 우리의 위대한 유산이라는 것을 포함하여 약 1,500개의 찬송가를 썼다.[42] 노르웨이에서는 평신도 길거리 설교자인 한스 닐슨 하우지가 영적 규율을 강조하면서 하우잔 운동에 불을 붙였다.[43] 스웨덴에서는 라르스 레비 뤼스타디우스가 도덕적 개혁을 강조하는 라스타디안 운동을 시작했다.[43] 핀란드에서는 농민인 파보 뤄살라이넨이 회개와 기도에 대해 설교하면서 개혁 운동을 시작했다.[43]
옛 루터교도
1817년 프로이센의 프레데릭 윌리엄 3세는 자신의 영토에 있는 루터교회와 리폼드교회가 연합할 것을 명령하여 프러시아 연합의 복음교회를 결성하였다. 독일 개신교의 두 분파 통일은 구 루터교도의 슈이즘에 불을 붙였다. '올드 루터교인'으로 불리는 많은 루터교인들은 투옥과 군사력에도 불구하고 기성교회를 떠나 독립된 교회단체, 즉 '자유교회'를 결성하는 것을 선택했고,[41] 다른 루터교인들은 미국과 호주로 떠났다. 실레시아에서 이와 유사한 법률이 제정된 합병은 수천 명의 사람들이 구 루터 운동에 참여하도록 자극했다. 에큐메니즘에 대한 논쟁은 독일 루터교 내부의 다른 논쟁들을 무색하게 했다.[44]
네오루테란스
교회 생활에 정치적 간섭에도 불구하고 지역 지도자들은 기독교의 회복과 부흥을 모색했다. 고등학교 교사 아우구스트 크리스티안 빌마르는 합리주의에서 신앙으로 전향했고, 그렇게 함으로써 수정되지 않은 아우크스부르크 고백과 다른 루터교 신앙고백의 중요성을 깨달았다. (합리주의에 반대하는 구 루터교도와 연합한) 네오루테리아 운동의 주창자였던 그는 루터교회의 고해성사를 통해 교회를 새롭게 하기 위해 노력했다.[41] 네오루테란 요한 콘라드 빌헬름 뢰헤와 올드 루터교 자유교회 지도자 프리드리히 아우구스트 브룬은[45] 모두 청년들을 해외로 보내 독일계 미국인들에게 목회자로 봉사했으며, 내부는 본국의 상황을 새롭게 만드는 데 초점을 맞췄다.[46] 이너 미션 운동의 일부인 요한 고트프리드 헤르더 바이마르 교육감이 이성주의로부터 인간의 감정과 경험을 보존하고자 하는 그의 노력으로 낭만주의 운동에 동참했다.[47]
결과.
네오루테란 운동은 세속주의를 가까스로 늦추고 무신론적인 마르크스 사회주의에 대항할 수 있었지만 유럽에서 완전히 성공하지는 못했다.[46] 그것은 부분적으로 피에티스트 운동의 사회적 잘못을 바로잡고 개인의 전환에 초점을 맞추려는 운동을 지속하는 데 성공했다. 네오루테란의 갱신 요구는 점점 산업화되고 세속화된 유럽과 연결되지 않는 고매하고 이상주의적인 낭만주의에 뿌리를 두고 있었기 때문에 널리 받아들여지는 데 실패했다.[48] 기껏해야 지역 지도자들의 활약으로 특정 지역이 생기면서 활기찬 영적 갱신이 이루어졌지만, 루터 지역 사람들은 전반적으로 교회 생활과 점점 멀어져 갔다.[46] 1867년부터, 고해적이고 자유주의적인 독일 루터교도들이 연합하여, 개혁파와의 법적 구속력이 있는 연합의 전망에 맞서 공동 복음주의 루터 회의를 결성하였다.[49] 그러나 교회연합을 위해 교리에 대한 합의가 얼마나 필요한지에 대해서는 그들끼리 의견 일치를 보지 못했다.[46] 결국 파시스트 독일 기독교인 운동은 1933년 루터교도와 리폼드교회의 최종 전국적인 합병을 지금은 독일 복음주의 교회인 단일제국교회로 강요했다.
참고 항목
참조
- ^ 럽, 에른스트 고든 브리태니커 백과사전 "마틴 루터"는 2006년에 접속했다.
- ^ 브리태니카 백과사전 '조한 테첼' 2007년 : "테첼의 면죄부 전도사로서의 경험, 특히 1503년에서 1510년 사이 테첼의 경험은 마인츠의 대주교 알브레히트에 의해 총위원으로 임명되게 되었는데, 그는 거액의 은인 축적을 위해 빚더미에 앉아야만 했고, 세인트 리빌딩에 상당한 금액을 기부해야 했다. 로마의 베드로 대성당. 알브레히트는 교황 레오 10세로부터 특별 전관 면죄부(즉, 죄의 일시적 처벌의 해제)의 판매 허가를 받았는데, 이 수익금의 절반은 알브레히트가 자신의 은인들의 수수료를 지불하라고 주장하는 것이었다. 실제로 테첼은 독일에서 스캔들을 일으켜 서구 교회 역사상 가장 큰 위기(Reformation)로 진화한 제품을 판매원이 됐다."
- ^ a b 힐러브랜드, 한스 J. "마틴 루터: 관용과 구원," 브리태니커 백과사전, 2007.
- ^ 베인턴, 롤랜드 여기 내가 서 있다: 마틴 루터의 삶. 뉴욕: 펭귄, 1995, 60; 브레히트, 마틴. 마틴 루터. tr. 제임스 L. 샤프, 필라델피아: 포트리스 프레스, 1985-93, 1:182; 키텔슨, 제임스. 개혁가 루터. 미니애폴리스: 아우크스부르크 포트리스 출판사, 1986년 104년
- ^ 2004년 10월 22일 BBC 뉴스의 "루더의 화장실은 전문가들을 흥분시킨다."
- ^ 이세로, 어윈 그 논문들은 게시되지 않았다. 토론토: 1966년 토론토의 선더스.
- ^ 정건스, 헬머. 도널드 K.(에드) 맥킴의 '루더의 비텐베르크' 마틴 루터의 캠브리지 동반자. 뉴욕: 케임브리지 대학 출판부, 2003, 26.
- ^ 브레히트, 마틴 마틴 루터. tr. 제임스 L. 샤프, 필라델피아: 포트리스 프레스, 1985-93, 1:204-05
- ^ 워트, 마르쿠스. 루터의 캠브리지 동반자에 나오는 "루더의 신학" 뉴욕: 케임브리지 대학 출판부, 2003, 88-94.
- ^ 부만, 허버트 J. A. "루터 고백에서의 정당성의 교리" 2008-05-12년, 콩코드아 신학 월간 웨이백머신, 1955년 11월 26일 11:801에 보관.
- ^ 도만, 테드 M "치유로서의 정당화: 잘 알려지지 않은 루터가 웨이백머신에 2007-09-23을 보관했다."Quodlibet Journal: 제2권 제3호, 2000년 여름. 2007년 7월 13일 회수.
- ^ "Luther's Definition of Faith".
- ^ 루터, 마틴 콩코르디아에 있는 "스말칼드 기사"는 다음과 같다. 루터 고백. (세인트루이스: 콩코드리아 출판사, 2005년, 289년, 제2부, 제1조.
- ^ 마카오 잭슨, 사무엘, 길모어, 조지 윌리엄 (eds.) "Martin Luther", "The New Shaff-Herzog Ecential of 종교지식 백과사전, 뉴욕, 런던, 펑크 및 와그널스 Co, 1908–1914; 미시간주 그랜드 래피즈: 베이커 북 하우스, 1951), 71.
- ^ 스피츠, 루이스 W. 르네상스와 개혁 운동, 세인트 루이스: 1987년 338년 콩코드리아 출판사
- ^ 브레히트, 마틴. (tr. 볼프강 카텐츠) 한스 J (ed.) 옥스퍼드 종교개혁 백과사전 힐러브란드에 있는 "루더, 마틴" 뉴욕: 옥스퍼드 대학 출판부, 1996년, 2:463.
- ^ 마카오 잭슨, 사무엘, 길모어, 조지 윌리엄 (eds.) "Martin Luther", "The New Shaff-Herzog Ecential of 종교지식 백과사전, 뉴욕, 런던, 펑크 및 와그널스 Co, 1908–1914; 미시간주 그랜드 래피즈: 베이커 북 하우스, 1951, 72.
- ^ 힐러브랜드, 한스 J. "마틴 루터: 벌레의 식단," 브리태니커 백과사전, 2007.
- ^ 브래처, 데니스. "지렁이의 칙령" (1521) 음성: 성장하는 기독교인들을 위한 성서 및 신학적 자원. 2007년 7월 13일 회수.
- ^ 샤프-허조그, "루더, 마틴" 72; 제프리 엘튼, 개혁 유럽: 1517–1559, 런던: 폰타나, 1963년, 페이지 53; 디아마이드 맥컬로치, 리폼: 유럽 하원, 1490–1700, 런던: 앨런 레인, 2003, 페이지 132.
- ^ 루터, 마틴 루터의 작품에서 "Letter 82". 야로슬라프 얀 펠리칸, 힐튼 C. 오스왈드와 헬무트 T. 레만(eds), 제48권: 레터 I, 필라델피아: 포트리스 프레스, 1999, c1963, 48:246. 요한계시록의 작가인 존은 팻모스 섬으로 유배되었다.
- ^ a b c d 샤프, 필립, 기독교 교회의 역사, Vol VII, Ch4.
- ^ 마틴 브레히트와 제임스 F. 샤프, 마틴 루터, 포트리스 프레스, 1993, 페이지 7. ISBN 0-8006-2814-4.
- ^ 마틴 루터, "당신의 죄가 강해지도록 하라" 1521년 8월, 비텐베르크 프로젝트가 2006년 10월 1일 회수되었다.
- ^ Daniels, David D. (2 November 2017). "Martin Luther and Ethiopian Christianity: Historical Traces". University of Chicago. Retrieved 9 April 2018.
In that year Luther welcomed a new voice into his ecumenical dialogue: Michael the Deacon, an Ethiopian cleric. Recalling his dialogue with Michael, Luther stated: “We have also learned from him, that the rite which we observe in the use of administration of the Lord’s Supper and the Mass, agrees with the Eastern Church.” Luther expressed his approval of the Church of Ethiopia along with his embrace of Deacon Michael in a letter dated July 4, 1534: “For this reason we ask that good people would demonstrate Christian love also to this [Ethiopian] visitor.” According to Luther, Michael responded positively to his articles of the Christian faith, proclaiming: “This is a good creed, that is, faith” (see Martin Luther, Table-Talk, November 17, 1538 [WA, TR 4:152–53, no. 4126]).
- ^ Luther Digest: An Annual Abridgment of Luther Studies, Volumes 2-4. Luther Academy. 1994. p. 146.
During the summer of 1534, an Ethiopian monk Deacon Michael visited Wittenberg. With great satisfaction Luther recorded that among the Christians in Ethiopia neither the private Mass nor the Mass canon was known, and their order of service generally corresponded to that of evangelical congregations of Germany (WA Tr 5:450, #6045).
- ^ Daniels, David D. (31 October 2017). "Martin Luther's fascination with Ethiopian Christianity". The Christian Century. Retrieved 9 April 2018.
For his part, after having Luther’s Articles of the Christian Faith interpreted to him, Deacon Michael proclaimed: “This is a good creed, that is, faith.”
- ^ Daniels, David D. (28 October 2017). "Martin Luther's 'dream' church? It wasn't in Europe". Religion News Service. Retrieved 9 April 2018.
- ^ Daniels, David D. (21 October 2017). "Honor the Reformation's African roots". The Commercial Appeal. Retrieved 9 April 2018.
- ^ 브레히트, 마틴 마틴 루터. tr. 제임스 L. 샤프, 필라델피아: 포트리스 프레스, 1985–93, 3:199–228.
- ^ Hosar, Kåre (1988). Sør-Fron kirke. Lokal bakgrunn og impulser utenfra (Dissertation, Art History) (in Norwegian). University of Oslo.
- ^ 푸어브링거, L, 콩코드리아 사이클로피디아 콩코드아 출판사. 1927. 페이지 425
- ^ Junius Benjamin Remensnyder (1893). The Lutheran Manual. Boschen & Wefer Company. p. 12.
- ^ Frey, H. (1918). Is One Church as Good as Another?. 37. The Lutheran Witness. pp. 82–83.
- ^ a b Ludwig, Alan (12 September 2016). "Luther's Catholic Reformation". The Lutheran Witness.
When the Lutherans presented the Augsburg Confession before Emperor Charles V in 1530, they carefully showed that each article of faith and practice was true first of all to Holy Scripture, and then also to the teaching of the church fathers and the councils and even the canon law of the Church of Rome. They boldly claim, "This is about the Sum of our Doctrine, in which, as can be seen, there is nothing that varies from the Scriptures, or from the Church Catholic, or from the Church of Rome as known from its writers" (AC XXI Conclusion 1). The underlying thesis of the Augsburg Confession is that the faith as confessed by Luther and his followers is nothing new, but the true catholic faith, and that their churches represent the true catholic or universal church. In fact, it is actually the Church of Rome that has departed from the ancient faith and practice of the catholic church (see AC XXIII 13, XXVIII 72 and other places).
- ^ 1580년 이후 루터교 신학 2009-10-17년 기독 사이클로피디아에 있는 웨이백머신 기사에 보관됨
- ^ 핀란드의 역사. 2011-04-27년 웨이백 머신에 보관된 핀란드 연대기
- ^ a b c 푸어브링거, L, 콩코드리아 사이클로피디아 콩코드아 출판사. 1927. 페이지 426
- ^ 웨이백머신에 2015-09-24 보관된 디비전 문학 프로젝트
- ^ 수엘플로우, 로이 A. 현명한 사람들과 함께 걷는 것. 밀워키: 사우스 위스콘신 주(LCMS), 1967. 페이지 10.
- ^ a b c 그리치, 에릭 W. 루터교의 역사. 미니애폴리스: 포트리스 프레스, 2002 페이지 180.
- ^ 그리치, 에릭 W. 루터교의 역사. 미니애폴리스: 포트리스 프레스, 2002 페이지 182.
- ^ a b c 그리치, 에릭 W. 루터교의 역사. 미니애폴리스: 포트리스 프레스, 2002. 페이지 183.
- ^ Benton, William, ed. (1974). "Lutheran Churches". Encyclopædia Britannica. 11 (15 ed.). Chicago: Encyclopædia Britannica, Inc. p. 198. ISBN 0-85229-290-2.
- ^ 브룬에 관한 크리스티안 사이클로피디아 기사
- ^ a b c d 그리치, 에릭 W. 루터교의 역사. 미니애폴리스: 포트리스 프레스, 2002 페이지 184.
- ^ 그리치, 에릭 W. 루터교의 역사. 미니애폴리스: 포트리스 프레스, 2002. 페이지 187.
- ^ 그리치, 에릭 W. 루터교의 역사. 미니애폴리스: 포트리스 프레스, 2002 페이지 188.
- ^ 그리치, 에릭 W. 루터교의 역사. 미니애폴리스: 포트리스 프레스, 2002 페이지 185.
추가 읽기
- 아란드, 찰스 P, 로버트 콜브, 에드. 루터 고백: 콩코드 책의 역사와 신학(2012년)
- 보덴섹, 줄리어스, 에드 루터교회의 백과사전 (3권 1965) 제1권 및 제3권 온라인 무료
- 브라우어, 제임스 레너드, 프레드 L. 프레히트, 에드스. 루터교배: 역사와 실천(1993)
- 그랜퀴스트, 마크. 미국의 루터교도: 새로운 역사 (2015)
- 마이어, 칼 S. 무빙 프런티어: 미주리 시노드 (1986) 루터교회의 역사에서 읽은 책
- Roeber, A. G. Palatines, Liberty and Property: 식민지 영국 아메리카의 독일 루터교도 (1998년)
- 벵거트, 티모시 J, 마크 그랜퀴스트, 에드. 루터와 루터 전통 사전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