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라한 대 마이어스 사건

Callaghan v. Myers
칼라한 대 마이어스 사건
1888년 11월 8일부터 9일까지 논쟁
1888년 12월 17일 결정
전체 대문자 이름칼라한 대 마이어스 사건
인용문 128 US.617 ( 보기)
9 S. Ct. 177; 32 L. Ed. 547
보유 자산
퍼블릭 도메인 레코드의 배열은 저작권이 있는 지적 노력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법원 구성원 자격
대법원장
멜빌 풀러
배석 판사
사무엘 F.밀러 · 스티븐 J.
조지프 P. 브래들리 · 존 M. 할란
스탠리 매튜스 · 호레이스 그레이
새뮤얼 블래치포드 · 루시우스 Q. C. 라마 2세
사례의견
다수블래치포드, 만장일치로 합류

캘러헌 마이어스(128 U.S. 617 (1888))는 저작권을 다루는 미국 대법원의 판결이다.유진 B의 회사.마이어스와 호레이스 P로 구성된 마이어스 & 챈들러챈들러는 노먼 L.에 의해 편집된 일리노이 대법원 기록의 정리 저작권을 구입했다.프리먼.그들은 1865년부터 1867년까지 일리노이 보고서 32권부터 38권까지 이 작품들을 인쇄했다.마이어스만 프리먼의 39권부터 46권까지 판권을 가지고 있으며, 인쇄도 하고 있습니다.

갈등은 마이어스가 37권과 38권의 배열에 약간의 변경을 가하여 이 대체 작품에 대한 저작권을 획득하는 절차를 준수하면서 시작되었다.피고인인 Callaghan & Company는 이 새로운 버전의 37과 38을 발행하기 위한 라이선스를 구입하겠다고 제안했지만 마이어스의 대가는 지불하지 않았다.대신, 그들은 마이어스 버전에 아주 작은 변경을 가했고, 사실상 저작권이 있는 책의 일부를 그대로 베껴 자신의 작품으로 출판했다.마이어스는 저작권 침해로 그들을 고소했고, 그 사건은 결국 대법원으로 넘어갔다.

법원은 뱅크스 맨체스터같은 법정 문서가 공공영역에 속한다는 이전 판례법을 지지했다.본건에 대해서는, 그러한 사법 업무를 정리하거나 정리한 서적의 요소가 지적 노력에 해당한다고 판단해, 마이어스가 저작권을 가지는 것은, 1건을 제외한 모든 사건에서 저작권을 가지는 것이었다고 판단했습니다.법원은 저작물의 정식 저작권을 얻기 위해 필요한 제32권 사본이 늦게 도착했기 때문에 그 권에 저작권이 부여되지 않았다고 한다.그럼에도 불구하고, 원고인 마이어스는 만약 그가 침해 손해배상을 받는 것을 선택했다면,[1] 전액을 배상받을 권리가 있었다.

레퍼런스

  1. ^ Callaghan v. Myers, 128 U.S. 617(1888) 사건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