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안쿠 대 브루네티 사건

Iancu v. Brunetti
이안쿠 대 브루네티 사건
2019년 4월 15일 논쟁
2019년 6월 24일 결정
전체 대문자 이름Andrei Iancu, 지적재산권 상무차관 겸 특허상표국장 v. Erik Brunetti씨
문서 번호18-302
인용문588 미국 ( 보기)
139 S. Ct. 2294; 204 L. Ed. 2d 714
논쟁구두변론
케이스 이력
이전의 브루네티에서 F.3d 1330(Fed. Cir. 2017), 인증, 139 S. Ct. 782(2019).
보유 자산
'부도덕' 또는 '스캔달' 상표의 등록 금지는 수정헌법 제1조를 위반한다.
법원 구성원 자격
대법원장
존 로버츠
배석 판사
클라렌스 토머스 · 루스 베이더 긴스버그
스티븐 브레이어 · 사무엘 알리토
소니아 소토마요르 · 엘레나 케이건
닐 고르수치 · 브렛 캐버노
사례의견
다수카간, 토마스, 긴즈버그, 알리토, 고르수치, 카바노와 함께
컨커런스알리토
동의/불합치로버츠
동의/불합치브레이어
동의/불합치소토마요르, Breyer 합류
적용되는 법률

Iancu v. Brunetti, No. 18-302, 588 U.S. __(2019)는 [1][2]랜햄법에 따른 상표 등록과 관련된 미국 대법원의 소송이다.6 대 3으로 미국 특허상표청이 수정헌법 [3]제1조언론자유조항을 위반하는 관점 차별을 허용함으로써 '부도덕적' 또는 '스캔들'의 상표 등록을 금지하는 랜햄법의 조항은 위헌이라고 결정했다.

법적 배경

1946년 통과된 랜햄법 제2조(a)는 해당 주제가 '부도덕적, 기만적 또는 추악한 사항'으로 구성될 경우 미국 특허상표청에 의해 상표등록을 거부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다.제2조 (a)항은 또한 상표들이 개인 또는 단체에게 '비상적'으로 간주될 경우 거절될 수 있다고 주장했지만 대법원은 만장일치로 Matal v.에서 판결을 내렸다. Tam(2017)은 "파괴" 상표에 대한 제한은 [4]수정헌법 제1조에 따라 위헌이라고 밝혔다.

케이스 배경

에릭 브루네티는 1990년에 스케이트보드 선수 나타스 카우파스와 함께 의류 라인을 시작했고 Fuct ('FUCT'로 표현)라는 이름을 사용했다.펑트는 "믿을 수 없는 친구들"의 이니셜리즘으로 서있었지만 브루네티는 "fucked"라는 표현에 대한 발음적인 친밀감이 [5]유머러스하다고 느꼈다.2010년경 브루네티는 자신의 의류 라인의 모조품이 이베이와 다른 인터넷 사이트에서 팔려나가 "Fuct"[6]라는 라벨을 부적절하게 사용하는 것을 보았다.2011년, 브루네티는 모조품을 막기 위해 Fuct에 상표 등록을 시도했지만, Office Examiner에 의해 등록이 거부되었습니다.이 단어는 랜햄법 2조(a)에 따라 스캔들(scandalous) 단어로 잘 확립된 'fucked'라는 표현과 음성학적으로 유사하다고 밝혔다.이 결정은 2014년 [7]상표심판위원회(TTAB)에 의해 확정되었습니다.

브루네티는 미국시민자유연합(ACLU)의 지원을 받아 연방순회항소법원에 항소했다.ACLU는 1971년 코헨 캘리포니아 [5]사건에서 잠재적인 모욕적인 단어를 표시하는 것만으로 규제할 수 있을 때 대법원이 이미 더 높은 수준의 정밀 조사를 실시한다고 판결했다고 주장했다.2017년, 연방 서킷은 TTAB와 "Fuct"가 저속한 단어와 유사할 뿐만 아니라 의류 라인의 젊은 타깃 시장에서 그러한 단어를 사용하기 때문에 "스캔더블" 단어의 정의에 포함될 것이라고 합의했다.그러나 연방서킷은 또한 랜햄법 2조(a)의 "스캔들한" 단어에 대한 제한은 특히 정부가 인터넷을 통해 그러한 발언을 규제하기 위한 어떠한 조치도 취하지 않은 점을 고려할 때 브루네티의 언론 자유 권리를 침해했기 때문에 위헌이라고 판결했고, TAB의 보유를 뒤집었다.연방 순회재판소는 이전의 결정과 Matal v.에서 대법원의 확정을 참조했다. Tam은 상표권 영역 이외의 상표에 대해 사적인 발언으로 제한되지 않고 정부의 [8][5]발언으로 제한되지 않는 "파괴" 상표와 관련 있습니다.

대법원

특허상표청은 안드레이 이안쿠 이사의 지휘 아래 2019년 [10][11]4월 15일 구두변론을 통해 대법원에 증명서 영장을 신청했고 대법원은 [9]이 사건을 심리하기로 합의했다.관찰자들은 대다수의 판사들이 브루네티 사건을 지지하고 부분적으로 "부도덕적" 또는 "스캔들" 자료에 대한 상표 제한을 없앨 것이라고 믿었다. 왜냐하면 과거 "FCUK"와 "FUVAR"[6]에 대해 승인된 상표를 가지고 있었기 때문이다.

대법관은 "Fuct"에서 나온 암묵적인 단어가 의류업계의 젊은 층 대상 청중들에게 수치스러운 것으로 여겨질지에 대한 의문을 제기했지만, 그 단어가 광고에 등장할 것이라는 우려도 제기했는데, 이는 이 인구 통계학 외의 사람들이 부적절한 발언으로 [6]간주할 수 있다.법원은 다른 사람들이 다른 잘 확립된 저속한 단어와 거의 일치하도록 상표 붙이는 선례를 따를 수 있으며,[11] 그렇지 않으면 수정헌법 제1조를 위반하지 않는 보다 엄격한 선을 정의하는 것은 의회에 달려있다고 경고했다.

법원은 2019년 6월 24일 연방 순회 [3]법원의 결정을 확언하는 결정을 내렸다.다수의견은 토마스, 긴즈버그, 알리토, 고르수치, 카바노 판사가 참여한 엘레나 케이건 판사가 작성했다.Kagan은 법원이 Matal v. Tam에 대해 판결을 내렸기 때문에 상표권 요구가 "부도덕적"인지 "스캔달적"인지에 대한 애매한 정의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관점 차별"에 관여할 필요가 있다고 썼다.사무소를 정부기관으로 하는 것은 수정헌법 제1조의 권리를 침해하는 것이므로 랜햄법의 부분은 위헌으로 결정되었다.

새뮤얼 알리토 판사는 법안의 '부도덕'과 '스캔들' 용어가 모호하기 때문에 법원이 이 결정을 내려야 한다고 지적하면서 동의하는 의견을 썼지만 의회는 [12]관점에 대한 차별 우려를 없애기 위해 보다 좁은 결정을 내릴 수 있는 법을 만들 수 있는 권한을 갖게 됐다.

각각 다수의 의견에 반대한 다른 의견들은 대법원장 존 로버츠와 판사 스티븐 브레이어, 소니아 소토마요르가 작성했다.이들 3명은 랜햄법의 '부도덕적' 측면을 해석하는 것이 어렵다고 느꼈고,[13] 따라서 법의 그 부분을 타격하는 데 있어 다수의 의견에 동의했다.그러나 세 사람 모두 "스캔들"의 해석이 다수 의견만큼 모호하지 않다고 느꼈고 사무국은 그 행동을 통해 시각 차별에 관여하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했다.이 세 사람은 알리토와 같은 의견으로 이 결정이 조잡하다고 여겨지는 새로운 상표의 범람과 일부 사람들에게 [12][14]혐오감을 줄 수 있는 공공장소의 창조로 이어질 것이라고 우려를 표명했다.

레퍼런스

  1. ^ "Search - Supreme Court of the United States". Supremecourt.gov. Retrieved 2019-10-11.
  2. ^ "Iancu v. Brunetti OSG Department of Justice". Justice.gov. 2019-02-15. Retrieved 2019-10-11.
  3. ^ a b Iancu v. Brunetti, 제18-302호, 588 U.S. __ (2019)
  4. ^ Liptak, Adam (June 19, 2017). "Justices Strike Down Law Banning Disparaging Trademarks". The New York Times. Retrieved June 30, 2019.
  5. ^ a b c Chung, Andrew (April 12, 2019). "F-words and T-shirts: U.S. Supreme Court weighs foul language trademarks". Reuters. Retrieved April 12, 2019.
  6. ^ a b c Totenberg, Nina (April 16, 2019). "Supreme Court Dances Around The F-Word With Real Potential Financial Consequences". NPR. Retrieved April 16, 2019.
  7. ^ "Trademark documents" (PDF). ttabvue.uspto.gov. August 1, 2014. Retrieved 2019-10-11.
  8. ^ "Court opinion" (PDF). www.cafc.uscourts.gov. December 15, 2017. Retrieved 2019-10-11.
  9. ^ "Iancu v. Brunetti: SCOTUS To Hear "Scandalous Marks" Case". Natlawreview.com. Retrieved 2019-10-11.
  10. ^ "Argument preview: Justices to consider constitutionality of banning trademark registration for immoral and scandalous marks". SCOTUSblog. 2019-04-08. Retrieved 2019-10-11.
  11. ^ a b Wolf, Richard (April 15, 2019). "F-word: Supreme Court struggles with law blocking trademark protection in cases of vulgarity". USA Today. Retrieved April 15, 2019.
  12. ^ a b Collins, Terry (June 24, 2019). "FUCT Clothing Can Now Get Trademark Protection, Supreme Court Rules". Fortune. Retrieved June 24, 2019.
  13. ^ Chung, Andrew (June 24, 2019). "Supreme Court allows foul language trademarks in F-word case". Reuters. Retrieved June 25, 2019.
  14. ^ de Vogue, Adrian; Sullivan, Kate (June 24, 2019). "Supreme Court says law banning registration of 'scandalous' trademarks violates First Amendment". CNN. Retrieved June 24, 2019.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