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바네

Kubaneh
쿠바네
Yemenite Kubaneh.jpg
예멘의 전통 안식일 빵
대체 이름쿠바니, 쿠브네, 쿠바네
유형
원산지예멘이스라엘
작성자예멘계 유대인
주성분밀가루, 효모, 설탕, 소금, , 버터 또는 마가린, 식물성 기름

쿠바네히브리어: :כֻּבאהההההההההההה는 예멘의 전통적인 유대인 빵으로 이스라엘에서 인기있는 빵이다. 쿠바네는 전통적으로 하룻밤 사이에 구워져 하미나도스(빵과 함께 껍질 속에 구워지는 계란)와 함께 샤브밭 아침용으로 제공되며, agvaniyot(갈은 토마토)를 다시 굽는다.

역사

20세기까지 예멘에는 포그롬과 박해, 차별 등으로 유대인들이 대거 예멘을 탈출해 이스라엘로 피신할 수밖에 없었던 유대인 공동체가 수천 년 동안 존재했다. 오늘날 예멘에는 극소수의 유대인 공동체만이 남아 있다. 예멘계 유대인들은 전통적으로 정규 평일에는 수수가루옥수수 가루로 쿠바네를 만들었지만 안식일과 공휴일에는 밀가루를 사용했다.[1]

어떤 것들은 설탕, 꿀, 검은 쿠민 중 하나를 반죽에 넣는다. 제빵은 기름칠을 한 냄비에 넣고 단단히 밀봉한 후 하룻밤 동안 요리하도록 놔두었다. 쿠바네는 그 다음날 아직 뜨거울 때 먹혔으며, 많은 식객들은 그 맛이 섬세하기로 유명한 딱딱하고 기름기가 많은 하부 지각인 콰데를 요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겨울 동안, 몇몇은 양의 기름진 꼬리나 다른 고기 조각들을 쿠바네에 넣는 것으로 알려져 있었는데, 그것은 반죽과 함께 하룻밤에 구워져서 쿠바네를 잊을 수 없는 별미로 만들었다; 출산 후 여성들은 그런 쿠바네를 먹을 수 있을 것이다.[2][3]

개요

쿠바네는 예멘계 유대인들이 하룻밤 사이에 구워 샤브밧에서 아침이나 브런치로 먹으며,[4][5][6] 또한 더욱 널리 인기를 끌고 있다. 그것은 뚜껑을 꽉 닫은 용기에 낮은 온도에서 구워진다. 재료는 밀가루, 설탕, 소금, 버터(또는 마가린)를 포함한다. 껍질 속의 계란은 빵과 함께 요리에 넣어 요리할 수 있으며 반주로 제공된다. 빵에 설탕을 뿌리거나, 갈은 토마토를 곁들여 내놓거나,[6][7] 저그, 맑은 버터, 그리고 고춧가루 갈릭 처트니를 곁들여 내놓기도 한다.[5][7]

쿠바네, 갓 구운

대중문화에서

쿠바네는 이스라엘의 인기 텔레비전 시리즈인 "미녀와 베이커"에서 주인공 아모스 다하리(그 자신은 예멘인이고 튀니지 유대계)가 예멘계 유대인 집안 출신이어서 주인공으로 출연했다.

참고 항목

참조

  1. ^ Rachel Yedid & Danny Bar-Maoz (edd), Ascending the Palm Tree – An An Anthology of the Yalmatician Heritage, E'elle BeTamar: Lehovot 2018, 페이지 134 ISBN978-965-7121-33-7
  2. ^ 예멘의 요리》, 《아브살롬 미즈라치》(The 예멘인의 요리)는 샬롬 세리, 텔아비브 1993년, 페이지 97–98(헤브루)이 편집한 바트테만(Heb. "예멘의 딸")에서 처음 출판되었다.
  3. ^ 요세프 카피, 벤츠비 연구소 사나 유대인 생활: 예루살렘 1982년 페이지 210
  4. ^ Marks, Gil (2010). Encyclopedia of Jewish Food. Wiley. ISBN 9780470391303. Retrieved January 21, 2014.
  5. ^ Jump up to: a b "Shabbat Breakfast Bread (Kubaneh)". Food.com. December 21, 2004. Retrieved January 22, 2014.
  6. ^ Jump up to: a b Rao, Tejal (22 June 2017). "Before Croissants, There Was Kubaneh, a Jewish Yemeni Delight". New York Times Magazine. Retrieved 3 July 2017.
  7. ^ Jump up to: a b "Kubaneh – Yemeni Jewish breakfast bread". Bread Cakes and Ale (a blog). Wordpress. 23 July 2015. Retrieved 18 July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