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모카논
Nomocanon다음 시리즈의 일부 |
동방 정교회 |
---|
![]() |
개요 |
![]() |
다음 시리즈의 일부 |
캐논의 법칙 가톨릭교회 |
---|
![]() |
노모카논(그리스어: νομοκαννν, 노모카노n; 그리스 노모스 - law and kanon - rule로부터)은 민법과 캐논법 양쪽에서 나온 원소들로 구성된 교회법의 모음집이다. 노모카논은 (동부 카톨릭 캐논법을 통해) 동방 가톨릭 교회와 동방 정교회의 캐논법의 일부를 이루고 있다.
비잔틴 노모카논
존 스콜라투스의 노모카논
6세기에 첫 번째 노모카논은 확실하지는 않지만 존 스콜라투스에게 귀속된다. 존 스콜라투스는 이 노모카논을 활용하고 완성한다. 그는 50개의 타이틀로 순수하게 정식 편찬된 (약 550년)을 작성했고, 이후 저스틴의 Novellae에서 나온 발췌문을 교회적인 문제와 관련된 87개의 장으로[1] 구성했다. 50개의 타이틀 각각에 같은 주제에 대한 제국법칙의 본문이 추가되었는데, 21개의 장이 추가되었는데, 거의 모두가 요한의 87장에서 빌려온 것이다.[2] 이리하여 존 스콜라투스의 노모카논이 만들어졌다.
14개 타이틀의 노모카논
두 번째 노모카논은 비잔틴 황제 헤라클리우스(610–641)의 통치로부터 유래한 것으로, 당시 라틴어는 제국법의 공식언어로 그리스어로 대체되었다. 콜렉리오 삼부자(저스틴의 황실법칙 모음집)와 카노니시 싱타그마(성체적 카논)를 융합해 만든 것이다. 이후 이 컬렉션은 14개의 타이틀로 노모카논으로 알려지게 된다.
노모카논
노모카논 14개 타이틀의 노모카논은 오랫동안 존경을 받아 러시아 교회로 넘어갔으나 883년 포토오스의 노모카논이 대신한 정도였다.
서양에서 그라티안과 비슷한 지위를 차지하고 있는 동방교회의 위대한 체계적 편찬자는 9세기 콘스탄티노플 총대주교인 포토우스였다. 그의 수집은 두 부분으로 나뉘는데, 연대순으로 순서가 정해지는 통조림 편찬과 노모카논의 개정은 그리스 교회의 고대 교회법의 고전적 근원을 형성하고 있다.[3]
여기에는 14개 직함에 노모카논이 포함되었는데, 트룰란 공의회 102개, 콘스탄티노플 공의회 861개, 콘스탄티노플 공의회 공의회 공의 공의 17개,[4] 그리고 869년 콘스탄티노플 공의 공의 공의 공의에 포토오스가 대체한 3개가 추가되었다. 14개 타이틀의 노모카논은 보다 최근의 황실법으로 완성되었다.
콘스탄티노폴리스에 거주하는 그리스 안티오키아 [5]총대주교 테오도르 발사몬이 1170년경 이 전집을 논평했다. 포토오스의 노모카논은 1800년 총대주교 네오페토스 7세가 인쇄한 동방 정교회의 코퍼스 쥬리스의 일종인 페달을리온(그리스어: πηδδλλ - - - - rodder)을 보충했다.
포토오스의 노모카논은 동방 정교회의 법률에 유지되었으며, 랄리스와 포틀리스(Athens, 1852–1859)가 간행한 《싱타그마》에 수록되었다.[6]
성 사바의 노모카논
생 사바의 노모카논 또는 세르비아 자코노프라빌로(사비노 자코노프라빌로)에서는 세르비아 최초의 헌법이자 세르비아 정교회에서 가장 높은 강령으로 1219년에 완성되었다. 이 법률행위는 잘 발전되었다. 성 사바의 노모카논(Nomocanon)은 로마법과[7][8] 캐논법에 근거하여 에큐메니컬 평의회에 근거하여 민법을 편찬한 것이다. 그것의 기본 목적은 젊은 세르비아 왕국과 세르비아 교회의 기능을 조직하는 것이었다.
네만지치 왕조(1166~1371) 동안 세르비아의 중세 국가는 정치, 종교, 문화의 영역에서 번성하고 있었다. 국가가 발전함에 따라 산업도 발전하여 법이 여러 가지 관계를 규제할 수밖에 없었다. 따라서 경제의 발달과 함께 로마법을 택하게 되었다. 당시 세르비아는 차이르쉬 제국이 아니었기 때문에, 세르비아의 통치자는 국가와 교회의 관계를 규제할 법전을 만들 수 없었다. 세르비아의 통치자들은 단일한 법적 행위와 법령을 가지고 통치했다. 이 문제를 극복하고 법 체계를 정비하기 위해, 종교의 독립을 획득한 후, 성 사바는 1219년에 자코노프라빌로를 끝마쳤다.
자코노프라빌로는 불가리아, 루마니아, 러시아에서 받아들여졌다. 그것은 17세기에 모스크바에서 인쇄되었다. 그래서 로마-바이잔틴 법칙은 자코노프라빌로를 통해 동유럽 사이에 이식되고 있었다. 세르비아에서는 신법의 암호로 간주되어 두샨의 암호로 이행되었다(세르비아어: 두샤노프 자코니크).
세르비아 혁명(1804) 동안 마테야 네나도비치 신부는 해방된 세르비아의 암호로 생 사바의 노모카논을 제정했다. 세르비아 민법(1844년)에서도 시행되었다. 자코노프라빌로(Zakonopravilo)는 여전히 세르비아 정교회에서 가장 높은 교회 강령으로 사용되고 있다.
동시리아크 전통
저자에 의한 동방교회 노모카논은 다음과 같다.
- 법조성서(페르시아어)의 저자 이스호보크트(8세기)
- 바스라의 가브리엘 (9세기 후반) 판례집(시리아크)의 저자
- 노모카논 아랍어(아랍어)의 저자 엘리야 이븐 ib우바이드 (10세기 초)
- 기독교의 법칙(아랍어)의 저자인 이븐 알샤이브(11세기)
- 『압디쇼바 브리카(d. 1318년)』, 노모카논(시리아크)의 저자.
참고 항목
참조
- ^ 정식 컬렉션은 Voellus와 Henri Justel, "Biblioteca juriis canonicici", 파리, 1661, II, 449 sq., 87장에 대해서는 Pitra, "Juris eclesiastici Gr historcorum historya et memborbita", 로마, 1864, II, 385)를 참조한다.
- ^ 보엘러스와 저스텔러스, 작전부, II, 603호
- ^ Fr. Justin Taylor, essay "Canon Law in the Age of the Fathers" (published in Jordan Hite, T.O.R., & Daniel J. Ward, O.S.B., "Readings, Cases, Materials in Canon Law: A Textbook for Ministerial Students, Revised Edition" (Collegeville, MN: The Liturgical Press, 1990), p. 61
- ^ "Photian Synods of Constantinople (861, 867, 879)". The Catholic Encyclopedia. 4. New York: Robert Appleton Company. 1908. Retrieved 24 October 2013.
- ^ Voellus and Justellus, II, 815; P. G, CIV, 441에서 발사몬의 해설이 실린 노모카논.
- ^ P. G. loc. cit.; 베버리지, 1672년 옥스포드 "시노디콘"
- ^ "S. P. Scott: The Civil Law". Retrieved 14 August 2018.
- ^ "Archived cop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2-08-31. Retrieved 2010-05-10.CS1 maint: 제목으로 보관된 복사본(링크)
원천
- 슬라브족이 크리스텐덤에 입성하는 것
- 중세 발칸 후기: 12세기 후반의 비판적 조사
Herbermann, Charles, ed. (1913). "Nomocanon". Catholic Encyclopedia. New York: Robert Appleton Company.
이 글에는 현재 공개 도메인에 있는 출판물의 텍스트가 통합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