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D312(분화 클러스터 312)라고도 불리는 EGF양 모듈 함유 뮤신양 호르몬 수용체양 2는 ADGRE2[3]유전자에 의해 코드된 단백질이다.EMR2는 접착성 GPCR [4][5]패밀리의 멤버입니다.접착성 GPCR은 GPCR-Autoproteolysis INducing([6]GAIN) 도메인으로 알려진 도메인을 통해 TM7 영역에 연결된 N 말단 단백질 모듈을 갖는 확장된 세포외 영역에 의해 특징지어진다.
EMR2는 단구/[7]대식세포, 수상세포 및 모든 유형의 과립구에 의해 발현된다.EMR2의 경우 N-말단 도메인은 대체적으로 스플라이스된 표피 성장인자 유사(EGF-like) 도메인으로 구성된다.EMR2는 EGF 유사 도메인에서 97%의 아미노산 정체성을 가진 CD97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EMR2의 N-Terminal fragment(NTF)는 사람에게 [8]2-5개의 EGF 유사 도메인을 나타낸다.쥐는 Emr2[9]유전자가 없다.이 유전자는 19번 염색체에 뮤신 유사 호르몬 수용체 3 EMR3을 포함한 EGF 유사 분자를 코드하는 유전자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관련된 CD97 단백질과 마찬가지로 EMR2의 네 번째 EGF 유사 도메인은 콘드로이틴 황산B를 결합시켜 세포 [10]부착을 매개한다.그러나 CD97 EMR2와 달리, CD55는 보체 조절 단백질과 상호작용하지 않으며, 매우 밀접하게 관련된 단백질이 비장 기능을 [11]가질 가능성이 있음을 나타낸다.
시그널링
HEK293 세포의 과잉 발현에 있어서의 Inositol phosphate(IP3) 축적 어세이에서 EMR2와 Gα의15[12]결합이 증명되었다.EGF모듈 함유 뮤신류 호르몬 수용체류 2(EMR2)는 혈장막으로 [13]운반되기 전에 GPS 자동단백질을 거치는 접착성 GPCR이다.또, 지질 뗏목내의 EMR2의 N말단 fragment(NTF) 및 N말단 fragment(CTF)의 분포, 전위, 공국재화가 세포신호에 영향을 [14]줄 수 있다.GPS의 돌연변이에 따르면 EMR2는 자가단백질 분해가 필요하지 않지만 기능을 상실한다.EMR2는 시험관내 세포 이동에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절단 시 N-terminus는 7TM과 관련지어지지만 분리되어 두 가지 기능을 제공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N 말단이 분리되면 지질 뗏목에서 발견될 수 있다.또한 분해된 EMR2 단백질 7TM은 EMR4 N-말단에 관련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기능.
활성화된 림프구와 골수세포에서 EMR2와 CD97의 발현은 말초 B세포에서 리간드 콘드로이틴 황산B와의 결합을 촉진하여 백혈구 [15]상호작용에서 역할을 나타낸다.염증이 있는 류머티즘 활액조직에서 EMR2와 콘드로이틴 황산 B 사이의 상호작용은 관절염 [16]환자의 활액에서 백혈구의 모집과 유지에 수용체의 역할을 시사한다.호중구가 활성화되면 EMR2는 세포 앞부분과 막 주름으로 빠르게 이동한다.또한 항체에 의한 EMR2의 결찰은 호중구 및 대식세포 이펙터 기능을 촉진하여 염증 [14][17]반응을 증강시키는 역할을 한다.
임상적 의의
EMR2는 종양 세포주와 종양에 의해 거의 발현되지 않지만 유방과 대장 선암에서 [18][19]발견되었습니다.유방암에서 EMR2의 강력한 발현과 다른 분포는 [20]생존과 반비례한다.특정 환자 코호트의 EMR2의 GAIN 영역 내 기능 돌연변이의 이득은 비만 세포에 의한 과도한 탈과민화를 초래하여 진동 두드러기를[21] 일으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Stacey M, Yona S (2011). Adhesion-GPCRs: Structure to Function (Advances in Experimental Medicine and Biology). Berlin: Springer. ISBN978-1-4419-7912-4.
^Langenhan T, Aust G, Hamann J (May 2013). "Sticky signaling--adhesion class G protein-coupled receptors take the stage". Science Signaling. 6 (276): re3. doi:10.1126/scisignal.2003825. PMID23695165. S2CID6958640.
^Lin HH, Stacey M, Hamann J, Gordon S, McKnight AJ (July 2000). "Human EMR2, a novel EGF-TM7 molecule on chromosome 19p13.1, is closely related to CD97". Genomics. 67 (2): 188–200. doi:10.1006/geno.2000.6238. PMID10903844.
^Kwakkenbos MJ, Matmati M, Madsen O, Pouwels W, Wang Y, Bontrop RE, Heidt PJ, Hoek RM, Hamann J (December 2006). "An unusual mode of concerted evolution of the EGF-TM7 receptor chimera EMR2". FASEB Journal. 20 (14): 2582–4. doi:10.1096/fj.06-6500fje. PMID17068111. S2CID16254868.
^Kwakkenbos MJ, Chang GW, Lin HH, Pouwels W, de Jong EC, van Lier RA, Gordon S, Hamann J (May 2002). "The human EGF-TM7 family member EMR2 is a heterodimeric receptor expressed on myeloid cells". Journal of Leukocyte Biology. 71 (5): 854–62. PMID11994511.
^Kop EN, Kwakkenbos MJ, Teske GJ, Kraan MC, Smeets TJ, Stacey M, Lin HH, Tak PP, Hamann J (February 2005). "Identification of the epidermal growth factor-TM7 receptor EMR2 and its ligand dermatan sulfate in rheumatoid synovial tissue". Arthritis and Rheumatism. 52 (2): 442–50. doi:10.1002/art.20788. PMID15693006.
^Aust G, Hamann J, Schilling N, Wobus M (July 2003). "Detection of alternatively spliced EMR2 mRNAs in colorectal tumor cell lines but rare expression of the molecule in colorectal adenocarcinomas". Virchows Archiv. 443 (1): 32–7. doi:10.1007/s00428-003-0812-4. PMID12761622. S2CID318127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