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AM17

ADAM17
ADAM17
Protein ADAM17 PDB 1bkc.png
사용 가능한 구조물
PDB직교 검색: PDBe RCSB
식별자
별칭ADAM17, ADAM18, CD156B, CSVP, NISBD, NISBD1, TACE, ADAM 메탈펩타아제 도메인 17
외부 IDOMIM: 603639 MGI: 1096335 HomoloGene: 2395 GeneCard: ADAM17
직교체
인간마우스
엔트레스
앙상블
유니프로트
RefSeq(mRNA)

NM_003183
NM_001382777
NM_001382778
NM_021832

NM_001277266
NM_009615
NM_001291871

RefSeq(단백질)

NP_003174

NP_001264195
NP_001278800
NP_033745

위치(UCSC)Chr 2: 9.49 – 9.56MbChr 12: 21.37 – 21.42Mb
PubMed 검색[3][4]
위키다타
인간 보기/편집마우스 보기/편집

TACE(tumor necrosis factor-α-converting efficiency)라고도 불리는 분해인 및 야금단백효소 17(ADAM17)은 분해인과 야금단백질의 ADAM 단백질군에 속하는 70kDa 효소다.

화학적 특성

ADAM17은 824-아미노산 폴리펩타이드다.[5][6]

함수

ADAM17은 세포 표면의 종양 괴사 인자 알파(TNF-α)의 처리와, 전골기 망세포내막 내에서의 처리에 관여하는 것으로 이해된다.'차단'이라고도 하는 이 과정은 막 결합 프로단백질(pro-TNF-α 등)에서 수용성 엑토도메인을 쪼개서 배출하는 것을 수반하며, 생리적으로 중요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ADAM17은 최초로 확인된 '쉐다아제'로서, 다양한 종류의 막 부착 사이토카인, 세포 접착 분자, 수용체, 리간드, 효소의 방출에도 역할을 하는 것으로도 이해되고 있다.

TNF-α 유전자의 복제는 성숙기에 세포막에 삽입되는 26 kDa 타입 II transmbrane pro-polyptide를 인코딩하는 것을 밝혀냈다.세포 표면에서 프로TNF-α는 생물학적으로 활발하며, 헥스타크린 세포간 신호 신호를 통해 면역 반응을 유도할 수 있다.단, 프로 TNF-α는 그것의 알라76-Val77 아마이드 결합에서 프로 TNF-α 분자로부터 수용성 17kDa 세포외 영역(엑토도마인)을 방출하는 단백질 분열을 겪을 수 있다.이 수용성 엑토도메인은 흔히 TNF-α로 알려진 사이토카인으로 파라신 신호에서 중추적인 중요성을 갖는다.수용성 TNF-α의 단백질 분해 해방은 ADAM17에 의해 촉매로 작용한다.

최근, ADAM17은 방사선 치료에 대한 저항의 중요한 중재자로 발견되었다.방사선치료는 활성 ADAM17로 용량 의존적인 ADAM17 프로폼의 후린 매개 갈라짐 증가를 유도할 수 있으며, 이는 체외 및 체내 ADAM17 활성도를 향상시키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또한 비소세포 폐암에서 방사선치료가 ADAM17을 활성화시켜 다발성 생존인자, 성장인자 경로활성화, 방사선치료를 유도하는 치료 저항성을 유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7]

ADAM17은 리간드 결합 후 발생하는 노치 세포 내 영역(Natch1 수용체로부터)의 단백질 분해성 방출 동안 노치 신호 경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ADAM17은 또한 유선의 EGFR 리간드 암피레굴린 분비를 조절하여 MAP 키나제 신호 경로를 조절한다.[8]ADAM17은 세포 접착 분자L-selectin을 분쇄하는 역할도 한다.[9]

상호작용

ADAM17은 다음과 상호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활성화

ADAM17의 현지화는 탈피 활동의 중요한 결정 요인이 될 것으로 추측된다.TNF-α 처리는 골기 트랜스 네트워크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분류적으로 이해되었으며, 수용성 TNF-α의 세포 표면으로의 운반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드리핑은 또한 AADAM17의 기질인 막 결합 TNF를 지질 뗏목에서 클러스터링하는 것과도 관련이 있다.[14] 전체적인 과정을 기질 발현이라고 하며 콜레스테롤에 의해 조절된다.또한 연구 결과에 따르면 성숙하고 내생적인 ADAM17의 대부분은 세포 표면에 적은 양의 TACE만 존재하는 초핵 구획으로 국부화될 수 있다고 한다.따라서 성숙한 ADAM17을 핵융합 구획에 국산화함으로써 기존 모델과 대조적으로 세포내 환경에서도 ADAM17 매개 엑토도마인 분해가 발생할 가능성이 제기된다.

기능성 ADAM17은 염증성 장질환의 주요 형태인 궤양성 대장염 환자의 대장 점막에서 활동이 증가하면서 인간 대장 내에 보편적으로 표현되는 것으로 입증되었다.다른 실험에서도 ADAM17의 발현이 에탄올에 의해 억제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했다.[15]

임상적 유의성

아담17은 SARS-CoV‑2 바이러스의 진입을 촉진할 수 있으며, 아마도 세포질 막과 바이러스 입자의 융합을 가능하게 할 것이다.[16]아담17은 TMPRSS2ACE2 갈라짐 활성도가 유사하지만, 수용성 ACE3를 형성함으로써 아담17은 실제로 순환하는 사스-CoV-2 바이러스 입자를 차단하는 보호 효과를 가질 수 있다.[16]

아담17 셰다제 활성은 TNF-α 수용체와 인터루킨-6 수용체의 갈라짐으로 COVID-19 염증에 기여할 수 있다.[16]

모형 유기체

아담17 녹아웃 생쥐 표현형

모델 유기체는 ADAM17 기능 연구에 사용되어 왔다.Adam17이라고tm1a(EUCOMM)Wtsi[22][23] 불리는 조건부 녹아웃 마우스 라인은 International Knockout Mouse Consortium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생성되었는데, 이것은 관심 있는 과학자들에게 질병의 동물 모델을 만들어 배포하는 고투과 돌연변이 유발 프로젝트였다.[24][25][26]

수컷과 암컷은 삭제 효과를 판단하기 위해 표준화된 표현식 화면을 거쳤다.[20][27]돌연변이 생쥐에 대한 28개의 테스트가 수행되었고 2개의 유의한 이상이 관찰되었다.[20]임신 중 동란 돌연변이 배아는 거의 확인되지 않았다.나머지 테스트는 이질 돌연변이 성인 생쥐에 대해 수행되었다. 이러한 동물들에서는 Micro-CT를 사용하여 뼈 미네랄 함량이 증가하였다.[20]

참조

  1. ^ a b c GRCh38: 앙상블 릴리스 89: ENSG00000151694 - 앙상블, 2017년 5월
  2. ^ a b c GRCm38: 앙상블 릴리스 89: ENSMUSG000052593 - 앙상블, 2017년 5월
  3. ^ "Human PubMed Reference:". 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 U.S.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4. ^ "Mouse PubMed Reference:". 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 U.S.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5. ^ Black RA, Rauch CT, Kozlosky CJ, Peschon JJ, Slack JL, Wolfson MF, Castner BJ, Stocking KL, Reddy P, Srinivasan S, Nelson N, Boiani N, Schooley KA, Gerhart M, Davis R, Fitzner JN, Johnson RS, Paxton RJ, March CJ, Cerretti DP (February 1997). "A metalloproteinase disintegrin that releases tumour-necrosis factor-alpha from cells". Nature. 385 (6618): 729–33. Bibcode:1997Natur.385..729B. doi:10.1038/385729a0. PMID 9034190. S2CID 4251053.
  6. ^ Moss ML, Jin SL, Milla ME, Bickett DM, Burkhart W, Carter HL, Chen WJ, Clay WC, Didsbury JR, Hassler D, Hoffman CR, Kost TA, Lambert MH, Leesnitzer MA, McCauley P, McGeehan G, Mitchell J, Moyer M, Pahel G, Rocque W, Overton LK, Schoenen F, Seaton T, Su JL, Becherer JD (February 1997). "Cloning of a disintegrin metalloproteinase that processes precursor tumour-necrosis factor-alpha". Nature. 385 (6618): 733–6. Bibcode:1997Natur.385..733M. doi:10.1038/385733a0. PMID 9034191. S2CID 4335616.
  7. ^ Sharma A, Bender S, Zimmermann M, Riesterer O, Broggini-Tenzer A, Pruschy MN (September 2016). "Secretome Signature Identifies ADAM17 as Novel Target for Radiosensitization of Non-Small Cell Lung Cancer". Clinical Cancer Research. 22 (17): 4428–39. doi:10.1158/1078-0432.CCR-15-2449. PMID 27076628.
  8. ^ Sternlicht MD, Sunnarborg SW, Kouros-Mehr H, Yu Y, Lee DC, Werb Z (September 2005). "Mammary ductal morphogenesis requires paracrine activation of stromal EGFR via ADAM17-dependent shedding of epithelial amphiregulin". Development. 132 (17): 3923–33. doi:10.1242/dev.01966. PMC 2771180. PMID 16079154.
  9. ^ Li Y, Brazzell J, Herrera A, Walcheck B (October 2006). "ADAM17 deficiency by mature neutrophils has differential effects on L-selectin shedding". Blood. 108 (7): 2275–9. doi:10.1182/blood-2006-02-005827. PMC 1895557. PMID 16735599.
  10. ^ Peiretti F, Deprez-Beauclair P, Bonardo B, Aubert H, Juhan-Vague I, Nalbone G (May 2003). "Identification of SAP97 as an intracellular binding partner of TACE". Journal of Cell Science. 116 (Pt 10): 1949–57. doi:10.1242/jcs.00415. PMID 12668732.
  11. ^ Nelson KK, Schlöndorff J, Blobel CP (November 1999). "Evidence for an interaction of the metalloprotease-disintegrin tumour necrosis factor alpha convertase (TACE) with mitotic arrest deficient 2 (MAD2), and of the metalloprotease-disintegrin MDC9 with a novel MAD2-related protein, MAD2beta". The Biochemical Journal. 343 Pt 3 (3): 673–80. doi:10.1042/0264-6021:3430673. PMC 1220601. PMID 10527948.
  12. ^ Poghosyan Z, Robbins SM, Houslay MD, Webster A, Murphy G, Edwards DR (February 2002). "Phosphorylation-dependent interactions between ADAM15 cytoplasmic domain and Src family protein-tyrosine kinases". The Journal of Biological Chemistry. 277 (7): 4999–5007. doi:10.1074/jbc.M107430200. PMID 11741929.
  13. ^ Díaz-Rodríguez E, Montero JC, Esparís-Ogando A, Yuste L, Pandiella A (June 2002). "Extracellular signal-regulated kinase phosphorylates tumor necrosis factor alpha-converting enzyme at threonine 735: a potential role in regulated shedding". Molecular Biology of the Cell. 13 (6): 2031–44. doi:10.1091/mbc.01-11-0561. PMC 117622. PMID 12058067.
  14. ^ Tellier, Edwige; Canault, Matthias; Rebsomen, Laure; Bonardo, Bernadette; Juhan-Vague, Irène; Nalbone, Gilles; Peiretti, Franck (10 December 2006). "The shedding activity of ADAM17 is sequestered in lipid rafts". Experimental Cell Research. 312 (20): 3969–3980. doi:10.1016/j.yexcr.2006.08.027. PMID 17010968.
  15. ^ Taïeb J, Delarche C, Ethuin F, Selloum S, Poynard T, Gougerot-Pocidalo MA, Chollet-Martin S (December 2002). "Ethanol-induced inhibition of cytokine release and protein degranulation in human neutrophils". Journal of Leukocyte Biology. 72 (6): 1142–7. PMID 12488495.
  16. ^ a b c Zipeto D, Argañaraz GA, Argañaraz ER (2020). "ACE2/ADAM17/TMPRSS2 Interplay May Be the Main Risk Factor for COVID-19". Frontiers in Immunology. 11: 576745. doi:10.3389/fimmu.2020.576745. PMC 7575774. PMID 33117379.
  17. ^ "Dysmorphology data for Adam17". Wellcome Trust Sanger Institute.
  18. ^ "Salmonella infection data for Adam17". Wellcome Trust Sanger Institute.
  19. ^ "Citrobacter infection data for Adam17". Wellcome Trust Sanger Institute.
  20. ^ a b c d Gerdin AK (2010). "The Sanger Mouse Genetics Programme: High throughput characterisation of knockout mice". Acta Ophthalmologica. 88: 0. doi:10.1111/j.1755-3768.2010.4142.x. S2CID 85911512.
  21. ^ 마우스 리소스 포털, 웰컴 트러스트 생어 연구소.
  22. ^ "International Knockout Mouse Consortium".
  23. ^ "Mouse Genome Informatics".
  24. ^ Skarnes WC, Rosen B, West AP, Koutsourakis M, Bushell W, Iyer V, Mujica AO, Thomas M, Harrow J, Cox T, Jackson D, Severin J, Biggs P, Fu J, Nefedov M, de Jong PJ, Stewart AF, Bradley A (June 2011). "A conditional knockout resource for the genome-wide study of mouse gene function". Nature. 474 (7351): 337–42. doi:10.1038/nature10163. PMC 3572410. PMID 21677750.
  25. ^ Dolgin E (June 2011). "Mouse library set to be knockout". Nature. 474 (7351): 262–3. doi:10.1038/474262a. PMID 21677718.
  26. ^ Collins FS, Rossant J, Wurst W (January 2007). "A mouse for all reasons". Cell. 128 (1): 9–13. doi:10.1016/j.cell.2006.12.018. PMID 17218247. S2CID 18872015.
  27. ^ van der Weyden L, White JK, Adams DJ, Logan DW (2011). "The mouse genetics toolkit: revealing function and mechanism". Genome Biology. 12 (6): 224. doi:10.1186/gb-2011-12-6-224. PMC 3218837. PMID 21722353.

추가 읽기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