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티스빌 역
Otisville station오티스빌 | |||||||||||||
---|---|---|---|---|---|---|---|---|---|---|---|---|---|
![]() 오티스빌 역에 도착하는 호보켄행 열차. | |||||||||||||
위치 | 뉴욕 오렌지 카운티 오티스빌 켈리힐 로드 1개 10963 | ||||||||||||
좌표 | 41°28′19″N 74°31′51″w / 41.4720°N 74.5308°W좌표: 41°28′19″N 74°31′51″W / 41.4720°N 74.5308°W/ | ||||||||||||
플랫폼 | 1측 플랫폼 | ||||||||||||
트랙스 | 2 | ||||||||||||
역사 | |||||||||||||
열린 | 1846년[1] 11월 1일 | ||||||||||||
리빌드 | –1954년[2] 1월 | ||||||||||||
서비스 | |||||||||||||
| |||||||||||||
|
오티스빌은 메트로-노스 철도 포트제르비스 선의 통근 철도 정류장으로, 뉴욕 오렌지 카운티의 호프산 마을과 함께 오티스빌 마을을 운행하고 있다. 그곳은 뉴욕 211번지에서 가까운 거리에 동부 마을 회선 근처에 위치해 있다. 이 역은 오랫동안 메트로-북 시스템상 가장 개발이 덜 된 곳으로, 맨 콘크리트 저층 승강장에 대피소가 있지만 지붕은 없고, 건너편에 104칸 규모의 주차장이 있다. 역에서 서쪽으로 조금 떨어진 곳에 있는 열차는 사왕궁크 능선 아래 5314피트(1,620m) 길이의 오티스빌 터널로 진입하는데, 이는 메트로-북 시스템 중 가장 길고 도시 밖에서는 단 두 곳 중 하나이다. 역 바로 서쪽에서 출발하는 긴 측면이 있어 터널을 통과하면 열차가 대기할 수 있다. 그 결과 오티스빌은 기술적으로 복선 역이다. 반대 방향에서 오는 열차가 다가오면 선로 위의 나무 플랫폼을 통해 승객들이 측면에 탑승한다.
오티스빌 역은 1843년 5월 26일부터 종착역이었던 [1]미들타운에서 뉴욕, 이리 호수, 웨스턴 철도(Later Erie Railway)의 연장선의 일환으로 1846년 11월 1일에 개통되었다.[3] 이는 1847년 12월 31일 포트제르비스까지 서비스가 연장될 때까지 그대로였다.[4] 이 역은 1954년 1월 에리가 하웰스와 그레이엄 역 사이의 선로를 (기마드의) 그레이엄 선으로 재편성하면서 옛 본선의 11마일(18km)을 버리면서 현재의 위치로 옮겨졌다.[2]
측점 배치도
역에는 2개의 트랙과 플랫폼과 바이패스 트랙을 연결하는 통로가 있는 저상 측면 승강장이 있다.
참고 문헌 목록
- Hungerford, Edward (1946). Men of Erie: A Story of Human Effort. New York, New York: Random House.
참조
- ^ a b 헝거퍼드 1946, 페이지 76.
- ^ a b "Erie Will Send Traffic Through Tunnel Cutoff". The Journal-News. White Plains, New York. January 30, 1954. p. 5. Retrieved September 29, 2021 – via Newspapers.com.
- ^ "Now & Then Erie Railroad Station - Middletown". The Times Herald-Record. Middletown, New York. October 8, 2020. Retrieved September 26, 2021.
- ^ 헝거포드 1946, 페이지 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