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복죽
Jeonbok-juk한국이름 | |
한글 | 전복죽 |
---|---|
한자 | 全鰒粥 |
수정 로마자 표기법 | 전복죽 |
매쿠네-라이샤워 | 춘복축 |
IPA | [tɕʌn.bok̚.t.t.͈ukuk̚] |
전복죽[2](全福竹; 全鰒粥) 또는 전복죽은[2] 전복과 백미로 만든 죽(竹)의 일종이다. 전복은 한국 요리의 고급 재료로 여겨지며 종종 한국의 왕에게 선물로 제공되었다.[3] 전복은 흔히 수확되는 제주도의 특산물이다. 전복죽은 별미뿐만 아니라 영양보충제, 소화보조제로도 알려져 있는데, 특히 병환자나 노인을 대상으로 한다.[3][4] 전복죽은 전복의 내장이나 내장 없이 만들 수 있다. 전복죽은 녹색의 색조를 띠는 반면 후자는 더 상아색이다.[5]
준비 및 서빙
전복은 우선 물에 붓으로 닦아서 준비하고, 살은 작은 부엌칼로 납작하고 껍질 가운데에서 꺼낸다. 내장기관은 살에서 분리하여 제거한다(손상되지 않도록 주의한다). 살은 끓는 물이 담긴 냄비에 살짝 데친 후 얇게 썬다. 밥은 요리하기 3~4시간 전에 물그릇에 담근다. 전복 살은 냄비에 참기름으로 중간 불 위에 볶은 후 물에 적신 밥을 넣는다. 튀김을 잠시 저은 뒤 냄비에 물을 붓고 더 높은 온도에서 요리가 된다. 끊임없이 저어 재료가 냄비 바닥에 달라붙는 것을 막는다. 접시가 끓어오르면 열을 내리고 끓어오른다. 이 요리는 소금이나 간장으로 양념이 되어 있다.[6]
참고 항목
참조
- ^ "jeonbok-juk" 전복죽. Korean Food Foundation (in Korean). Retrieved 16 May 2017.
- ^ Jump up to: a b (한국어) "주요 한식명(200개) 로마자 표기 및 번역(영, 중, 일) 표준안" [Standardized Romanizations and Translations (English, Chinese, and Japanese) of (200) Major Korean Dishes] (PDF).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 2014-07-30. Retrieved 2017-02-15. Lay summary.
- ^ Jump up to: a b "Jeonbokjuk (Rice porridge with abalone)". The Jeju-do government's official website / EncyKorea. Retrieved 2008-05-31.
- ^ (한국어로) 전복죽 2011-06-10년 한국 문화백과사전 웨이백머신에 보관
- ^ (한국어로) 제주 바다의 색깔인 전복죽, 제주소리 2009-02-19. 2010-07-02 검색됨
- ^ (한국어로) 두산 백과사전 전복죽
- "Korean cuisine" (PDF). Jeonbokjuk (Abalone Porridge). Korea Tourism Organization. p. 20.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2009-04-08.
외부 링크
![]() | 위키미디어 커먼즈에는 전복죽과 관련된 미디어가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