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유전자에 대해 두 개의 다른 아이소폼을 코드하는 두 개의 전사 변형이 발견되었으며, 이 중 한 개만이 호메오도메인[8]영역을 포함하고 있다.
기능.
척추동물에서 호메오박스 유전자라고 불리는 전사 인자의 클래스를 코드하는 유전자는 4개의 분리된 염색체 상의 A, B, C, D라는 이름의 군집 안에서 발견됩니다.이들 단백질의 발현은 배아발달 중에 공간적 및 시간적으로 조절된다.이 유전자는 7번 염색체의 A클러스터의 일부이며 유전자 발현, 형태 형성, 세포 분화를 조절할 수 있는 DNA 결합 전사인자를 암호화한다.호메오박스 단백질 Hox-A1은 발달 [8]중 후뇌 세그먼트를 전-후 축을 따라 적절한 위치에 배치하는 데 관여할 수 있다.
임상적 의의
HOXA1 유전자의 일반적인 다형성은 자폐 스펙트럼 장애에 대한 감수성과 관련되며, 이러한 유전자 변이를 가진 개인은 장애를 [9]발병할 위험이 약 2배 증가한다.녹아웃 생쥐에 대한 연구는 이 유전자가 뇌간(특히 얼굴과 상위의 감람핵)의 배아학적 발달을 바꿀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귀 [10]모양과 같은 다른 신체적인 변화를 유발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 주었다.이 두 가지 변화 모두 자폐증 환자들에게서 볼 수 있다.
다른 HOXA1 돌연변이는 Bosley-Salih-Alorainy 증후군(BSAS) 또는 Athabascan 뇌간 이상 생성 증후군(ABDS)[11]과 관련이 있다.
^"Human PubMed Reference:". 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 U.S.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Mouse PubMed Reference:". 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 U.S.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Hong YS, Kim SY, Bhattacharya A, Pratt DR, Hong WK, Tainsky MA (July 1995). "Structure and function of the HOX A1 human homeobox gene cDNA". Gene. 159 (2): 209–14. doi:10.1016/0378-1119(95)92712-G. PMID7622051.
^Apiou F, Flagiello D, Cillo C, Malfoy B, Poupon MF, Dutrillaux B (1996). "Fine mapping of human HOX gene clusters". Cytogenetics and Cell Genetics. 73 (1–2): 114–5. doi:10.1159/000134320. PMID8646877.
Li J, Tabor HK, Nguyen L, Gleason C, Lotspeich LJ, Spiker D, Risch N, Myers RM (January 2002). "Lack of association between HoxA1 and HoxB1 gene variants and autism in 110 multiplex families". American Journal of Medical Genetics. 114 (1): 24–30. doi:10.1002/ajmg.1618. PMID11840501.
Kosaki K, Kosaki R, Suzuki T, Yoshihashi H, Takahashi T, Sasaki K, Tomita M, McGinnis W, Matsuo N (February 2002). "Complete mutation analysis panel of the 39 human HOX genes". Teratology. 65 (2): 50–62. doi:10.1002/tera.10009. PMID11857506.
Devlin B, Bennett P, Cook EH, Dawson G, Gonen D, Grigorenko EL, McMahon W, Pauls D, Smith M, Spence MA, Schellenberg GD (August 2002). "No evidence for linkage of liability to autism to HOXA1 in a sample from the CPEA network". American Journal of Medical Genetics. 114 (6): 667–72. doi:10.1002/ajmg.10603. PMID122102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