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KX

MKX
MKX
식별자
에일리어스MKX, C10orf48, IFRX, IRXL1, mohawk homeobox
외부 IDOMIM: 601332 MGI: 2687286 HomoloGene: 72239 GeneCard: MKX
맞춤법
종.인간마우스
엔트레즈
앙상블
유니프로트
RefSeq(mRNA)

NM_001242702
NM_173576

NM_177595

RefSeq(단백질)

NP_001229631
NP_775847

NP_808263

장소(UCSC)Chr 10: 27.67 ~27.75 MbChr 18: 6.93 ~7 Mb
PubMed 검색[3][4]
위키데이터
인간 보기/편집마우스 표시/편집

이로쿼이 호메오박스 단백질 유사 1로 알려진 호메오박스 단백질 모호크는 사람에게서 MKX([5]모호크 호메오박스) 유전자에 의해 암호화되는 단백질이다.MKX는 호메오도메인의 [5][6]나선 I와 나선 II 사이의 루프 영역에서 3개의 추가 아미노산으로 특징지어지는 '3-아미노산 루프 익스텐션'(TALE) 비정형 호메오박스 단백질의 이로쿼이(IRX) 패밀리 관련 등급의 구성원이다.

기능.

MKX는 발생학적 발달 중 힘줄 분화를 조절하는 전사 인자이다.생쥐 배아에서 이 유전자를 녹아웃시키면 생쥐 배아에서 [7]I형 콜라겐을 덜 함유한 저형성 힘줄이 생긴다.MKX는 MyoD의 프로모터에 직접 결합하고 그 발현을 억제하여 근육 [8]분화를 부정적으로 조절합니다.

MKX의 발현은 성인 힘줄 조직에서 유지되며, 노화 또는 골관절염의 결과로 감소한다.힘줄에 있는 콜라겐 섬유는 [9]운동 결과 기계적 자극에 따라 더 촘촘하고 두꺼워지며, MKX는 이 기계적 감각 [10]과정에서 필수적이다.

레퍼런스

  1. ^ a b c GRCh38: 앙상블 릴리즈 89: ENSG00000150051 - 앙상블, 2017년 5월
  2. ^ a b c GRCm38: 앙상블 릴리즈 89: ENSMUSG000061013 - 앙상블, 2017년 5월
  3. ^ "Human PubMed Reference:". 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 U.S.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4. ^ "Mouse PubMed Reference:". 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 U.S.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5. ^ a b "Entrez Gene: mohawk homeobox".
  6. ^ Anderson DM, Arredondo J, Hahn K, Valente G, Martin JF, Wilson-Rawls J, Rawls A (March 2006). "Mohawk is a novel homeobox gene expressed in the developing mouse embryo". Developmental Dynamics. 235 (3): 792–801. doi:10.1002/dvdy.20671. PMID 16408284. S2CID 29018840.
  7. ^ Ito Y, Toriuchi N, Yoshitaka T, Ueno-Kudoh H, Sato T, Yokoyama S, Nishida K, Akimoto T, Takahashi M, Miyaki S, Asahara H (June 2010). "The Mohawk homeobox gene is a critical regulator of tendon differentiation".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107 (23): 10538–42. Bibcode:2010PNAS..10710538I. doi:10.1073/pnas.1000525107. PMC 2890854. PMID 20498044.
  8. ^ Chuang HN, Hsiao KM, Chang HY, Wu CC, Pan H (July 2014). "The homeobox transcription factor Irxl1 negatively regulates MyoD expression and myoblast differentiation". The FEBS Journal. 281 (13): 2990–3003. doi:10.1111/febs.12837. PMID 24814716. S2CID 19733342.
  9. ^ Nakahara H, Hasegawa A, Otabe K, Ayabe F, Matsukawa T, Onizuka N, Ito Y, Ozaki T, Lotz MK, Asahara H (August 2013). "Transcription factor Mohawk and the pathogenesis of human anterior cruciate ligament degradation". Arthritis and Rheumatism. 65 (8): 2081–9. doi:10.1002/art.38020. PMC 3840305. PMID 23686683.
  10. ^ Kayama T, Mori M, Ito Y, Matsushima T, Nakamichi R, Suzuki H, Ichinose S, Saito M, Marumo K, Asahara H (April 2016). "Gtf2ird1-Dependent Mohawk Expression Regulates Mechanosensing Properties of the Tendon". Molecular and Cellular Biology. 36 (8): 1297–309. doi:10.1128/MCB.00950-15. PMC 4836271. PMID 26884464.

추가 정보

이 기사에는 미국 국립 의학 도서관(미국 국립 의학 도서관)의 공공 도메인 텍스트가 포함되어 있습니다.